불기 2568. 10.22 (음)
> 종합 > 연재보기
[권탄준] 경전읽기 (2003.1~2004.6) [김재일] 티베트 의학산책 (2005.1~2005.12)
[안양규] 경전이야기 (2004.1~2004.9) [우희종] 불교와 생명과학 (2005.1~2005.12)
[윤원철] 선의 세계 (2003.7~2004.12) [이제열] 경전속의 수행법 (2004.1~12)
[장지현] 잊혀진 가람탐험 (2002.10~2004.3) [정목스님] 원효의 염불선 (2004.4~12)
[정병모] 불교미술의 미 (2002.10~2003.12) [짱유화] 보이차이야기 (2006.1~7)
[차차석] 불교ㄱㄴㄷ (2002.10~2003.12) [최윤근] 아유르베다읽기 (2004.1~12)
[조태호] "주장자따라"(2004.1~2005.12) [배종훈] 행복동 사람들 (2006.1.1~8.30)
[한형조] 금강경 강의(2004.6.30-2006.12.31) [박상혜] 5천원으로 만드는 사찰음식 (2006. 1.11-12.31)
[구병진] 붓다의 경제학(2006.1.18-2006.12.31) [이미령] 행복을 주는 부처님말씀 (2004.9.29-2006.12.31)
[원철스님] 할로 죽이고 방으로 살리고 (2005.1.12-2006.12.31) 스님 이야기 (2000.1.1~2005.12.21)
세계불교여성지도자 (2003.1~2004.6) 한국의 비구니스님 (2004.1~2005.3)
[이병두] 오늘의 세계불교 (2006.2~2007.1) [박영준] 과학기술과 불교 (2005.1~2007.6)
한형조 교수의 금강경 강의
 
(65)2부11강 혜능과 야부의 스타일/한국학중앙연구원
“불이야” 소리 친다고 입이 타겠느냐 저번 강의가 읽을 만했는지 모르겠습니다. 편집데스크는 늘 왜 또 엉뚱한 얘기를 끼워넣어 연재의 흐름을 끊고 수미상관을 다치느냐고 볼이 멥니다. 그때마다 저는 그게 그렇지 않다고, “이것이 곧 금강경이 고구정녕 전하려는 ..
[2005-10-12]
 
(68)2부 14강 평지에 풍파를 일으키신 부처님/한국학중앙연구원
“우리가 남이가!”, 그 不二의 법문 이제 그만 남 쫓아가지 말고 <금강경>도 덮고, 제 허접한 사설도 그만 읽으라는 권유에 좀 황당하셨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야부도 그만 그 파격적 노래를 그칠 일인데, 아직 노파심이 남았나 봅니다. 혼돈(混沌) ..
[2005-10-02]
 
(62)2부7강 기원정사에 대하여/한국학중앙연구원
나아가라 장자여, 물러서지 마라 <금강경>이 설해진 장소는 기수급고독원(祗樹給孤獨園)이다. 붓다가 오래 머물며 법을 펴던 기원정사(祇園精舍)는 그 정원에 세워졌다. 그것을 세우기까지의 과정이 예사롭지 않은데, 오늘은 그 인연설화를 소개하기로 한다. ..
[2005-09-21]
 
(61)-2부 6강 <금강경> 1장 “법회가 열리기까지(法會因由分)”의 해설 (1)
고타마 붓다 이전 설해진 대승의 이치 <금강경>의 본문으로 진입하기로 한다. 1장은 이 법회가 열리기까지의 사정(因由)을 적었다. 번역 세 개를 우선 선보인다. 첫 번째는 세조 때의 언해본을 읽기 쉽도록 약간 손본 것이고, 두 번째는 구마라습역의 경문이 ..
[2005-09-14]
 
(60)2부5강 육조해 서문 번역 (3) /한국학중앙연구원
人我山崩處(인아산붕처) 無爲道自高(무위도자고) 자기 안의 불성만 믿고 안심해서는 결코 안 된다. 그 불성을 삶에서 개화시키는 노력이 시시각각 있어야 그 불꽃이 꺼지지 않는다. 왜 금강에 비유했는가 12. “여래가 굳이 금강(金剛)에 빗댄 것은 다만 ..
[2005-09-07]
 
(59)-2부 5강 혜능의 혁신, 자성불(自性佛)의 제창
번뇌, 지혜, 그리고 불성 사이 혜능은 불성을 전면에 세움으로써 돈교의 가르침을 제창했다. 자성불(自性佛), “너는 이미 부처이다”가 이후 선의 표어가 되었다. 이렇게 인간의 본성을 전폭 신뢰함으로써 그는 불교사의 한 기원을 열었다. 그런데 이 불성이 ..
[2005-08-31]
 
(58)2부 4강 <금강경> 육조 해 서문 (1)/한국학중앙연구원
자성의 노다지로 ‘부자 되세요’ 대개 서문은 책의 표정이다. 거기 지은이의 수준과 스타일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3회에 걸쳐 혜능의 <금강경 구결>, 그 서문 전체를 소개해 주기로 한다. 혜능은 이 짧은 글 안에 자신이 읽은 <금강경>의 근본 취지와, ..
[2005-08-24]
 
<57> 2부3강 <금강반야바라밀경>이라는 제목
깨지지 않는 ‘다이아몬드 불성’ 금강 금강은 다이아몬드를 가리킨다. 그래서 콘즈도 이 경전을 “다이아몬드의 경전(Diamond Sutra)”이라고 번역했다. 그러나 그 투명한 보석이 중국에서는 나지 않은 듯하다. 적어도 혜능은 몰랐던 것 같다. 그는 ‘쇠 ..
[2005-08-17]
 
(56)2부 2강 강의를 어떻게 진행해 나갈까/한국학중앙연구원
혜능의 ‘금강경’과 함께 춤을 <금강경>은 <반야심경>과 더불어 대승 반야의 핵심적 경전이다. 둘 다 기원후 4세기 무렵 성립된 듯하고, 취지 또한 같지만, 둘의 스타일은 좀 다르다. 반야심경과 금강경의 차이 <반야심경>은 압축적이고 조직적이다 ..
[2005-08-10]
 
<55> 2부 1강 <금강경>의 소(疏)를 시작하며
불교는 어렵지 않습니다 소문과는 달리 불교는 어렵지 않습니다. 너무 겁주지 마십시오. 팔만대장경이라 운을 떼면, 사람들은 그 엄청난 분량과 어려운 한문에 놀라, 혹은 한숨을 쉬며 발길을 돌렸고, 혹은 숨을 멈추고 시렁에 고이 모셨습니다. 둘 다 길이 아닙니 ..
[2005-08-03]
이전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페이지
   
   
2024. 11.2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