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연재보기
[권탄준] 경전읽기 (2003.1~2004.6) [김재일] 티베트 의학산책 (2005.1~2005.12)
[안양규] 경전이야기 (2004.1~2004.9) [우희종] 불교와 생명과학 (2005.1~2005.12)
[윤원철] 선의 세계 (2003.7~2004.12) [이제열] 경전속의 수행법 (2004.1~12)
[장지현] 잊혀진 가람탐험 (2002.10~2004.3) [정목스님] 원효의 염불선 (2004.4~12)
[정병모] 불교미술의 미 (2002.10~2003.12) [짱유화] 보이차이야기 (2006.1~7)
[차차석] 불교ㄱㄴㄷ (2002.10~2003.12) [최윤근] 아유르베다읽기 (2004.1~12)
[조태호] "주장자따라"(2004.1~2005.12) [배종훈] 행복동 사람들 (2006.1.1~8.30)
[한형조] 금강경 강의(2004.6.30-2006.12.31) [박상혜] 5천원으로 만드는 사찰음식 (2006. 1.11-12.31)
[구병진] 붓다의 경제학(2006.1.18-2006.12.31) [이미령] 행복을 주는 부처님말씀 (2004.9.29-2006.12.31)
[원철스님] 할로 죽이고 방으로 살리고 (2005.1.12-2006.12.31) 스님 이야기 (2000.1.1~2005.12.21)
세계불교여성지도자 (2003.1~2004.6) 한국의 비구니스님 (2004.1~2005.3)
[이병두] 오늘의 세계불교 (2006.2~2007.1) [박영준] 과학기술과 불교 (2005.1~2007.6)
한형조 교수의 금강경 강의
 
(127·끝)2부 73강 횡설수설의 강의를 마치며…/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불교신문은 ‘신판 대장경’ 2년 반의 긴 횡설수설을 어떻게 마감할까 하고 고민하던 차에, 날벼락같은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현대불교신문을 폐간하겠다는 것입니다. 불교의 등불 하나가 위태롭게 깜박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 그리고 사부대중 여러분, 그래도 ..
[2006-12-29 오후 4:18:40]
 
(126)2부 72강 왜 불교인가/한국학중앙연구원
無實無虛, 삶의 역설적 기술 <금강경>은 50회의 횡설수설에도 결코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다. 그러나 또 한편 절반의 본문 강좌 곳곳에 <금강경>은 자신의 얼굴을 보여주었다.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에, 불교는 문자와 경전 밖의 불교를 말하지만, 또 한편 충분히 ..
[2006-12-16 오전 11:35:51]
 
(125)2부 71강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14/한국학중앙연구원
체루비읍, 법문 듣고 뜨겁게 울다 13장으로 <금강경>의 또 한번의 연주가 끝났다. 변주는 이번에도 핵심의 주 노트를 반복하고 있다. 그것이 무엇인지는 다들 잘 알고 있으리라 믿는다. “주(住), 즉 심리적 토대 없이 사는 법을 연습하라.” 저 너머 초 ..
[2006-12-11 오전 11:12:14]
 
(124)2부 70강 일념지경(一念持經), 아인돈진(我人頓盡)/한국학중앙연구원
32상을 애착 갈구만 할 것인가 32상을 애착 갈구만 할 것인가정말 혜능은 독창적이다. 그의 32상 해석은 그동안의 우리 해석과 다른 길을 간다. 여래는 보통 사람의 평범한 얼굴로 우리 곁에서 늘 있으니, 다시 오고 가시는 분이 아니라는 것, 경전은 이 ..
[2006-12-04 오전 10:57:40]
 
(123)2부 69강 먼지이면서 먼지가 아닌/한국학중앙연구원
불꺼진 화로, 먼지덮인 사당 혜능의 해석이 ‘실천적’ 혹은 체험적 지평을 철저히 고수한다고 한 바 있다. 지금 13장의 “먼지는 먼지가 아니다. 그래서 먼지라고 한다.”를 두고 한 혜능의 해석은 이렇다. “이 말은 념념이 반야바라밀을 올바로 수행함으로써 ..
[2006-11-27 오전 11:12:54]
 
(122)제2부 68강 혜능이 설파하는 무착(無著)과 무상(無相)의 행(行)/한국학중앙연구원
식(識)의 눈높이가 세상을 결정한다 “어리석은 마음에 출몰하는 생멸(生滅)을 ‘지혜’로, 반성과 자각으로 제거하십시오.” 혜능의 권고가 이 한 마디에 집약되어 있다. 그의 노파심은 이어진다. “이 생멸 안에는 생멸의 치유와 소멸을 통해 심리적 자산과 자존을 ..
[2006-11-20 오후 2:50:57]
 
(121)2부 67강 혜능의 실천적 충고/한국학중앙연구원
“아무 것도 태어나지 않는다” 13장은 지금까지의 독특한 설파에 ‘반야바라밀’이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이 명명이 혹 오해를 부를까 싶어, 몇 가지 다짐을 잊지 않았다. 혜능은 이 피날레에 대고 무슨 노파심을 언설했을까. 그는 다음에 보듯이 <금강경>의 불 ..
[2006-11-13 오후 1:43:33]
 
(120)2부 66강 불교로 읽은 <님의 침묵>/한국학중앙연구원
침묵은 ‘부재’가 아니다 만해는 <님의 침묵> ‘반비례’라는 시에서 이렇게 읊었다. “당신의 소리는 침묵인가요? 당신이 노래를 부르지 아니 하는 때에 당신의 노래가락은 역력히 들립니다그려. 당신의 소리는 침묵이여요.” 침묵 안에 님의 소리가 들린다? 이 ..
[2006-11-06 오후 3:14:18]
 
(119)2부 65강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제 13/한국학중앙연구원
13장은 지금까지의 재즈식 설법을 총괄하여, ‘이름’을 부여한다. ‘금강반야바라밀’이 그것이다. 이로서 설법은 완성되었다! 그러고도 혹 오해할까 싶어 노파심의 당부가 이어진다. 원문 爾時,須菩提白佛言, 世尊, 當何名此經, 我等云何奉持. 佛告須菩提, 是經名 ..
[2006-10-28 오전 10:42:35]
 
(118)2부 64강 12장 자심(自心)의 수지독송(受持讀誦)/한국학중앙연구원
금강경은 어디 있는가? 11장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은 무엇이라 했던가. 갠지스강의 모래알같은 은하계들을 다이아몬드로 도배한다해도, 그 보시 복덕은 ‘이 경전’의 글귀 하나 들려주는 공적에 까마득히 못 미친다고 했다. 이어 지금 12장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
[2006-10-23 오전 10:56:3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페이지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