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3.26 (음)
> 종합 > 연재보기
[권탄준] 경전읽기 (2003.1~2004.6) [김재일] 티베트 의학산책 (2005.1~2005.12)
[안양규] 경전이야기 (2004.1~2004.9) [우희종] 불교와 생명과학 (2005.1~2005.12)
[윤원철] 선의 세계 (2003.7~2004.12) [이제열] 경전속의 수행법 (2004.1~12)
[장지현] 잊혀진 가람탐험 (2002.10~2004.3) [정목스님] 원효의 염불선 (2004.4~12)
[정병모] 불교미술의 미 (2002.10~2003.12) [짱유화] 보이차이야기 (2006.1~7)
[차차석] 불교ㄱㄴㄷ (2002.10~2003.12) [최윤근] 아유르베다읽기 (2004.1~12)
[조태호] "주장자따라"(2004.1~2005.12) [배종훈] 행복동 사람들 (2006.1.1~8.30)
[한형조] 금강경 강의(2004.6.30-2006.12.31) [박상혜] 5천원으로 만드는 사찰음식 (2006. 1.11-12.31)
[구병진] 붓다의 경제학(2006.1.18-2006.12.31) [이미령] 행복을 주는 부처님말씀 (2004.9.29-2006.12.31)
[원철스님] 할로 죽이고 방으로 살리고 (2005.1.12-2006.12.31) 스님 이야기 (2000.1.1~2005.12.21)
세계불교여성지도자 (2003.1~2004.6) 한국의 비구니스님 (2004.1~2005.3)
[이병두] 오늘의 세계불교 (2006.2~2007.1) [박영준] 과학기술과 불교 (2005.1~2007.6)
한형조 교수의 금강경 강의
 
(76) 2부 22강 윤리 vs 창조/한국학중앙연구원
진실을 말한다는 입을 참회하자 그렇지만 제 믿음의 기초는 아직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황우석 교수가 말한, “그럼에도 줄기세포의 원천기술은 있다!” 입니다. 있지도 않은 기술을 가지고 세계를 상대로 사기를 친다? 그것은 거의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
[2006-01-01]
 
(75) 2부 21강 추상적 이념 vs 구체적 고통
진실, 그보다 더 소중한 희망 불교처럼 실용과 구체성을 중시하는 사유는 ‘자유’나 ‘민주’같은 추상적 이념을 절대화하지 않는다. 그는 또한 역사가 모종의 궁극적 목표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는 것도 믿지 않는다. 역사는 회귀하는 것, 우리는 그 음양의 순환회전 ..
[2005-12-21]
 
(74)2부 20강 개인의 가치 vs 공동체적 덕목(1)/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난자’ 실험용으로 못 쓰나? 삼계유식(三界唯識), 세계는 이미지(相)이다! 우리가 쓰는 말은 바로 그 이미지들의 이름표인데, 이들은 홀로 있지 않고, 연관된 가치의 그물로 짜여져 있다. 말에는 자성(自性)이 없고, 의타기(依他起)로만 존재한다. ..
[2005-12-14]
 
(73) 2부 19강 불교로 세상을, 세상으로 불교를
‘불교와 사회 포럼’에 대한 ‘후기’ 지난 11월 23일 ‘불교와 사회’의 창립 포럼이 열렸습니다. 플래카드는 “현대사회에 있어 불교는 무엇인가”입니다. 장소가 조계사 옆에 새로 지어진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이라는 것이 더욱 뜻 깊었습니다. 붓다의 옛 ..
[2005-12-07]
 
(72)2부 18강 붓다, 세존, 여래는 같은 분들인가/한국학중앙연구원
이미, 그리고 늘 여기 계시는 여래들 수보리가 일어나 “합장 공경하면서, 붓다(佛)께 사뢰었다. ‘희귀한 일입니다. 세존(世尊)이시여. 여래(如來)는 보살들을 잘 지켜주시며, 또한 잘 이끌어 주십니다.’” 而白佛言, 希有世尊, 如來善護念諸菩薩, 善付囑諸菩薩 ..
[2005-11-30]
 
(71) 2부 17강 무엇이 그리도 희유(稀有)한가/한국학중앙연구원
부처님의 몸은 왜 우리와 다를까 2장은 수보리가 예를 갖추어 붓다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혜능은 제자가 선생에게 가르침을 청할 때는, 지금 수보리처럼 다섯 가지 의식(儀式)을 갖추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리하자면, “1) 자리에서 일어나, ..
[2005-11-23]
 
(70)2부16강 제2장, 수보리 일어나 가르침을 청하다/한국학중앙연구원
<반야심경> 사리불, <금강경> 수보리 몇 회의 해설로, 야부의 격외의 선, 촌철살인이 우리가 읽는 <금강경>과는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았을 것입니다. 그의 전광석화 같은 선기를 제 무딘 붓이 한사코 붙들어 보려 했는데, 그 번개의 꼬리를 잡기, 글쎄, 턱 ..
[2005-11-16]
 
(69) 2부15강 손님을 어떻게 접대하지
재(在), “아담아, 네가 어디 있느냐” 저번 시간에 내 드린 화두를 점검하기로 합니다. 그때 이렇게 말했습니다. “객이 오거든 꼭 내다보아야 한다. 그대로 보내서도 안 되고, 뒤따라가다간 맞는다.” 이게 무슨 수수께끼같은 말일까요. 전체 이야기를 ..
[2005-11-09]
 
(67)-2부 13강 불이(不二)의 법(法), 그 입구(門)
야부의 시를 읽을 준비가 되셨나요. 이거 하나는 꼭 기억해 두셔야 길을 잃지 않습니다. 그것은 저번 강의에 일러 드린 대로, “보디스바하, 모든 것이 이미 이루어졌으니, 젖 달라고 징징대지 마라. 진리조차도 그렇다”입니다. 다음을 읽어보겠습니다. 2. ..
[2005-10-26]
 
2부 12강 여시(如是)란 무엇인가
노장과 불교는 왜 언어를 미워할까 야부의 글은 명문이지만, 그만큼 읽기가 까다롭습니다. 오늘은 맨 첫 구절 여시아문의 여시(如是)를 읊은 대목부터 보겠습니다. 원문 1. [如是]. 古人道, 喚作如如, 早是變了也. 且道, 變向甚 處去. . ..
[2005-10-19]
이전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