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교인의 직업윤리 |
|
독약·무기 등 생명살상 관련 직업 금지
원래 인도는 계급사회였기 때문에 사회적 신분에 따라 할 수 있는 일이 제한되어 있었다. 직업선택의 자유가 없었던 것이다. 바라문교의 교리에 의하면 “성자는 베다를 학습하고, 임금은 토지를 영유하며, 서민들은 농경에 종 .. |
|
[2003-12-24] |
|
|
|
|
불교의 상업 윤리 |
|
부정한 화폐·수단·저울 사용 배척
현대산업사회로 들어오면서 불교도들의 고민 중의 하나가 자본의 확충과 이익의 극대화를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불교적인가에 대한 것이라 말하고 싶다. 이것은 아마도 필자의 속내를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겠지만 살아가면서 사 .. |
|
[2003-12-17] |
|
|
|
|
자비의 경제윤리 2 |
|
공업중생 정신 바탕…분배에 더 비중
재산을 많이 얻는 것이 일반인들의 소박한 소망이다. 물론 화폐경제의 발달은 재산을 화폐로 계량화한다. 그러나 과거로 올라가면 재산이란 재화 즉 생산물의 과다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결국 재산을 많이 얻는다는 것은 생산을 .. |
|
[2003-12-10] |
|
|
|
|
자비의 생산윤리 |
|
재산 형성 욕망에 적절한 절제 요구
생산의 문제에 대한 불교의 입장은 무엇인가. 생산이 없이는 인간의 생활이 유지될 수 없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초기불경에서는 두 가지의 생산 방식을 역설하고 있다. 정신적인 생산과 물질적인 생산 .. |
|
[2003-12-03] |
|
|
|
|
정치와 평화 |
|
인간 존엄성 어떠한 가치보다 우월
세상이 혼란스럽다. 그런 만큼 심리적인 불안을 떨쳐버리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어떠한 명분이든 사람의 생명이 걸린 전쟁이 아직도 지구상에서 벌어지고 있으며, 전쟁의 위협이 도처에 도사리고 있다. 죽이고 죽는 과정에도 명분 .. |
|
[2003-11-26] |
|
|
|
|
보시 |
|
진리·평화·재물의 조건없는 나눔
최근 우리나라에도 보시문화가 확산되고 있어서 다행이라 생각하고 있다. 얼마 전 기빙 엑스포(giving expo)가 열리기도 했다. 단순히 특정한 종교의 교리가 아니라 인간들이 살아가는 동안에 지키면 좋은 사회적 미덕으로 자 .. |
|
[2003-11-19] |
|
|
|
|
4무량심 |
|
이웃을 위한 한량없는 4가지 마음
초기불교의 사회유대 위한 가르침
초기불교시대에 사회적 유대감을 함양하기 위해 강조한 가르침이 4무량심이다. 물론 사회연대의식을 확인하기 위해 강조하는 가르침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불교의 기본 핵심 교리에 해당하는 .. |
|
[2003-11-12] |
|
|
|
|
자비 |
|
종교적 실천의 핵심키워드 중 하나
종교와 철학의 차이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은 불교를 종교가 아닌 철학이라 말하기도 한다. 혹자는 불교를 철학과 같은 종교로 생각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불교는 종교이기도 하고 철학이기도 한 것인가? 아니면 철학적 요소가 강 .. |
|
[2003-11-05] |
|
|
|
|
세가지 삼매의 조건-無願 |
|
무원이란 아프라니히따(a-pra-ni-hita)라는 산스크리뜨를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다. 여기서 아프라니히따라는 말은 축자적으로 해석하자면 ‘앞에 아무것도 놓아두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것이 전이되어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지 않는 사람, 미래에 대한 희망을 .. |
|
[2003-10-29] |
|
|
|
|
세가지 삼매의 조건-無相 |
|
무상이란 단어를 사전적으로 풀이하면 ‘특징적인 것이 아무 것도 없는 것’을 의미하며 일체의 집착을 떠난 경지를 말한다. 원래 한문의 상(相)이란 글자는 모습을 지칭하지만 정해진 특별한 모습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특징이나 형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집착을 떠 .. |
|
[2003-10-2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