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2 (음)
> 종합 > 연재보기
[권탄준] 경전읽기 (2003.1~2004.6) [김재일] 티베트 의학산책 (2005.1~2005.12)
[안양규] 경전이야기 (2004.1~2004.9) [우희종] 불교와 생명과학 (2005.1~2005.12)
[윤원철] 선의 세계 (2003.7~2004.12) [이제열] 경전속의 수행법 (2004.1~12)
[장지현] 잊혀진 가람탐험 (2002.10~2004.3) [정목스님] 원효의 염불선 (2004.4~12)
[정병모] 불교미술의 미 (2002.10~2003.12) [짱유화] 보이차이야기 (2006.1~7)
[차차석] 불교ㄱㄴㄷ (2002.10~2003.12) [최윤근] 아유르베다읽기 (2004.1~12)
[조태호] "주장자따라"(2004.1~2005.12) [배종훈] 행복동 사람들 (2006.1.1~8.30)
[한형조] 금강경 강의(2004.6.30-2006.12.31) [박상혜] 5천원으로 만드는 사찰음식 (2006. 1.11-12.31)
[구병진] 붓다의 경제학(2006.1.18-2006.12.31) [이미령] 행복을 주는 부처님말씀 (2004.9.29-2006.12.31)
[원철스님] 할로 죽이고 방으로 살리고 (2005.1.12-2006.12.31) 스님 이야기 (2000.1.1~2005.12.21)
세계불교여성지도자 (2003.1~2004.6) 한국의 비구니스님 (2004.1~2005.3)
[이병두] 오늘의 세계불교 (2006.2~2007.1) [박영준] 과학기술과 불교 (2005.1~2007.6)
한형조 교수의 금강경 강의
 
(86)2부 32강 무지의 양상에 따라 생명을 분류하는 혜능/한국학중앙연구원
멸도(滅度), 얻은 바 없다 혜능이 중생들을 분류하는 방식은 독창적이다. 인도식 전통은 무시한다. 예컨대 그는 태생이며 난생을 동물들의 수태방식으로 읽지 않고 인간들의 무지의 양상으로 읽는다. 기실 생명을 뜻하는 불교식 용어 ‘중생’은 깨치지 못한 생명이란 ..
[2006-03-08]
 
(85)2부 31강 무아로 여는 평화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상, 고통 낳는 무명의 핵심 <금강경> 제 3장은 말한다. “보살은 우주 안의 모든 생명을, 사람을 포함하여 미물과 천상의 존재들에 이르기까지, 다들 무여(無餘)열반에 들도록 인도(滅度)한다. 그러나 그들 모두를 인도한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아무도 인도된 ..
[2006-03-01]
 
(84)2부 30강 : 사생(四生), 생명의 네 가지 형태에 대하여/한국학중앙연구원
33천(天) 세계는 의식의 단계 오늘은 불교가 생명을 분류하는 독특한 방식을 읽기로 한다. 3장은 보살이 “일체중생(一切 衆生)의 류(類), 난생(卵生)과 태생(胎生)과 습생(濕生)과 화생(化生)과, 유색(有色)과 무색(無色)과, 유상(有相)과 무상(無相) ..
[2006-02-22]
 
(83)2부 29강 : 보살마하살은 누구인가/한국학중앙연구원
보살, ‘자비 샤워’ 틀어주는 사람들 대승은 보살을 새로운 인간상으로 내세웠다. 그와 더불어 성문과 연각의 이승(二乘)은 소승의 길로 낮춰 평가되었다. <반야경> 가운데 하나는 이 둘의 차이를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성문의 길과 연각(벽지불)의 수레에 ..
[2006-02-15]
 
(82)2부 28강 <금강경> 3장 : 아라한과 보살/한국학중앙연구원
보살마하살에겐 자의식이 없다 지지부진, 더딘 강의가 이제 3장으로 들어섰다. 언해, 원문, 현대어역을 풀은 다음, 사설로 들어간다. 3장의 여러 번역들 부처께서 수보리에게 일르시되, “諸 보살마하살이 반드시 이같이 그 마음을 항복시킬지니: 있는 一 ..
[2006-02-08]
 
(81)2부 27강 : 야부도천의 <금강경> 2장 송/한국학중앙연구원
절벽에서 손을 놓는 자가 대장부 오늘 <금강경> 야부송 2장을 읽는다. 본문을 따라 세 곡조를 지었다. 1. 수보리가 “희유하십니다”하고 찬탄한 대목을 두고, 야부는 이렇게 읊고 있다. 如來不措一言, 須菩提便興讚歡. 具眼勝流, 試著眼看. 隔嗇見角 ..
[2006-02-01]
 
(80)2부26강 : <금강경>의 콘즈 영역 소개/한국학중앙연구원
마하살, 깨달음의 위대한 영적 영웅 산스크리트에서 번역한 콘즈(E. Conze)의 <금강경> 영역본을 한번 맛보여드리도록 한다.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이제는 한역보다 영역이 더 우리말에 가까운 세상이 되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구마라습의 한역 ..
[2006-01-25]
 
(79)2부 25강 혜능의 돈교(3): 새로운 교판(敎判)/한국학중앙연구원
소승, 문자 숲에서 헤매는 사람들 혜능 포교의 특징은 자성불(自性佛)을 재창한데 있다. 성의 정통은 바로 이 토대위에 서 있다. 누가 내게 선의 핵심은 무어냐고 묻는다면 그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전폭적 신뢰’라고 답할 것이다. 자성불(自性佛), 즉 나 ..
[2006-01-18]
 
(78)2부 24강 혜능의 돈교(2) : <금강경 구결>과 <육조단경>/한국학중앙연구원
돈교, “번뇌가 곧 깨달음!” 선은 이를테면 불교의 사춘기적 각성에 해당한다. “밥 먹고 학교 가라는 엄마의 말이 지겨워질 때쯤” 사춘기가 찾아온다는 어느 여중생의 말처럼, 불교가 오랜 세월 온축해온 팔만대장경의 가르침이 갑갑해질 때쯤, 선이 태동되었다. ..
[2006-01-11]
 
(77) 2부 23강 혜능의 돈교(1): 자성여래(自性如來)의 자선호념(自善護念)
살인도(殺人刀) 활인검(活人劍) 마음은 우선 죽여야 할 물건이니, 왜냐. 그것은 한시도 가만있지 않고, 나무 사이를 폴짝이는 원숭이처럼 바깥 경계에 끄달려 다니기 때문이다. 혜능은 이렇게 말한다. 1. 항복 “수보리는 보았다. 우리네 중생들이 예 ..
[2006-01-04]
이전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페이지
   
   
2024. 11.2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