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문화
 
한국禪 해외포교 35년 행적 
1966년 일본 신주쿠 홍법원 개설을 시작을 지금까지 32개국 120여 개의 국제선원을 개설하는 등 우리나라 선불교를 세계에 알리고 있는 숭산(74ㆍ화계사 조실)스님의 해외 포교 35주년을 맞아 숭산행원선사 전집이 나왔다. 숭산행원선사 문도회가 출간한 <세 ..
[2001-09-01]
 
깨달음이 있는 중동 구도 여행기 
<자전거에 사막을 싣고>(마당넓은집)는 독일 함부르크대학 인도학ㆍ티베트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는 행창스님의 중동 여행기를 담은 책이다. 행창스님은 1989년 인도ㆍ네팔 배낭여행을 시작으로 지난해 동유럽 배낭여행 등 15년에 걸쳐 50여 국가를 여행했으며, 여 ..
[2001-09-01]
 
바이화원 지음 ‘중국사원문화 기행’ 
불교학자로 경전ㆍ사원ㆍ문학ㆍ불교미술 등 불교문화 연구에 평생을 바쳐온 중국의 대학자 바이화원(白化文). 특히 불교사원 속의 문화와 미술에 대한 그의 연구는 중국문화사에 있어 선구적이다. 신간 <중국사원문화기행>(배진달 옮김, 예경)은 바이화원 교수가 한문 ..
[2001-08-31]
 
행창스님 ‘자전거에 사막을 싣고’ 
<자전거에 사막을 싣고>(마당넓은집)는 독일 함부르크대학 인도학ㆍ티베트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는 행창스님의 중동 여행기를 담은 책이다. 행창스님은 1989년 인도ㆍ네팔 배낭여행을 시작으로 지난해 동유럽 배낭여행 등 15년에 걸쳐 50여 국가를 여행했으며, ..
[2001-08-31]
 
스티븐 베철러 지음 ‘붓다는 없다’ 
‘법천(法天)’이란 법명으로 순천 송광사에서 10년 동안 수행했던 불교학자 스티븐 베철러의 책이 우리말로 번역됐다. 도서출판 이론과실천의‘아하 붓다’시리즈 두 번째 권인 <붓다는 없다>가 바로 그것. 책은 집착과 습관 그리고 중독 속에서 허우적대는 현대인을 위한 ..
[2001-08-29]
 
주민황 ‘신비의 티베트 명상법’ 
<나쁜 기운을 없애고 행목을 부르는 24가지 신배의 티베트 명상법>(숨)은 이미 세계 도처에서 생활 명상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티베트 명상 입문서다. 마음과 명상의 원리에서부터 처음 명상을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조언 그리고 마음을 다스리는 명상, 삶을 ..
[2001-08-28]
 
‘전시회에 간 예수, 영화관에 간 부처’ 
문화라는 프리즘을 통해 종교의 세계를 살핀 <전시회에 간 예수, 영화관에 간 부처>(시공사)가 나와 눈길을 끈다. 특정 종교를 믿든 믿지 않든 종교는 우리 곁에 있다. 다만 우리들의 그 문화 속에 녹아 있는 종교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뿐이다. 지금도 ..
[2001-08-28]
 
[스테디셀러] 부처님이 계신다면 
근세 한국불교계의 대표적 스님을 꼽는다면 탄허(1913-1983) 스님을 빼놓을 수 없다. 스님은 6살 때부터 부친으로부터 한문학을 배우기 시작해 유학과 도교학을 두루 섭렵했다. 20세 때 한암 스님과 우주 및 인생의 근본이치에 대한 서신문답을 할 정도로 ..
[2001-08-25]
 
수행하다 샛길 안 빠지려면 
염불수행을 할 때 눈물이 날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 절을 할 때 몸이 저리거나 몸이 절을 거부하면 어떻게 할 것이다. 이런 현상들을 수행자들의 가장 큰 어려움이다. 신간 <불교수행요론>(바나리)은 수행 중에 나타날 수 있는 이런저런 현상에 대한 실제적인 ..
[2001-08-25]
 
박현 지음, ‘불교수행요론’ 
염불수행을 할 때 눈물이 날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 절을 할 때 몸이 저리거나 몸이 절을 거부하면 어떻게 할 것이다. 이런 현상들을 수행자들의 가장 큰 어려움이다. 신간 <불교수행요론>(바나리)은 수행 중에 나타날 수 있는 이런저런 현상에 대한 실제적인 ..
[2001-08-24]
 
질환ㆍ증상ㆍ대상별 토종약초 가이드북 
<약이 되는 우리 풀ㆍ꽃ㆍ나무>(전2권, 한문화)는 우리 땅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기존의 약초도감이나 한방서적에서는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토종약초의 효능과 그 약초를 이용해 여러 질병을 다스리는 방법을 적은 책이다. 지은이는 30여 년간 전국의 산야를 ..
[2001-08-24]
 
‘미타신앙 미타기도법’ 
한국불교 신앙사에 있어 큰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미타신앙. 이 미타신앙의 중심에 있는 ‘아미타불’은 이 땅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 모든 사람들의 귀의하고 염하였던 부처님이었다. 그래서 사찰에서는 극락전을 세우고 염불당을 만들어 미타신앙을 고취하였으며, 마을 어귀에 ..
[2001-08-23]
-10 이전 페이지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페이지 +10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