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문화
 
제3회 창작찬불가 공모 20일 마감 
조계종총무원이 실시하는 제3회 창작찬불가 공모대회 작품접수가 10월 20일 마감된다. 공모작품은 불교적인 정서가 함축적으로 표현된 미발표 창작 찬불가여야 하며, 예선을 거쳐 최종 본선 진출자를 선발한다. 1인 2곡만 응모가능하며, 응모작품은 가사가 적힌 멜 ..
[2001-10-15]
 
"문화의 날" 거리행사 
10월 20일 "문화의 날"을 맞아 서울 곳곳이 문화예술 마당으로 변한다. "문화의 달 행사 추진위원회"는 "2001 문화의 달" 행사를 위해 이날 대학로, 목동 등지에서 시민들과 함께 하는 열린 문화 마당을 펼친다. 문예회관 대극장에서는 오후 2시 문화 ..
[2001-10-15]
 
원대한 中문화 이해 디딤돌 
문화는 인류가 창조한 물질문명과 정신 문명의 총화로 한 사회집단을 이해하는 디딤돌이다. 이런 점에서 한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그들의 문화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신간 <중국문화사>(을류문화사)는 중국 최고의 문화유적이 피어난 하 ..
[2001-10-15]
 
문화축제로 환생하는 보우스님 
봉은사가 불교 중흥조인 보우 스님의 뜻을 기리고 사라져가는 우리 문화를 불자와 시민에게 일깨우기 위해 10월 17일부터 25일까지 제9회 보우제를 개최한다. 올해 보우제는 불교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느껴볼 수 있는 프로그램 중심이라는 것이 특징. 먼저 17일 ..
[2001-10-09]
 
대장경 평화염원 '세계로' 
<팔만대장경>에 담긴 평화와 인고의 정신이 인류 보편의 가치로 세계인의 가슴에 담긴다. 초대형 총체음악극 ‘고려의 아침’이 2002년 월드컵을 여는 기념 공연으로 선보이는 것이다. 음악, 연극, 무용 등 독립된 무대 예술의 여러 장르를 아울렀기 때문에 총 ..
[2001-10-09]
 
정암외 역 "정토경전의 세계" 
불교의 다양한 측면들을 한국불교의 일반 신앙적인 입장에서 <금강경>과 <아미타경> 그리고 <관음경>과 <미륵상생경>의 대표적인 경전들을 통해 정리했다. 그 사상적 부분에 있어서는 정토 즉 불사라는 의미적인 해석과 이로인한 원융적인 회통을 통해 정토사상을 ..
[2001-10-09]
 
자비의 말씀 게시판 책으로 묶다 
지하철 역사에 마련된 ‘자비의 말씀’ 게시판이 책으로 엮어졌다. ‘법음을 전하는 사람들의 모임 풍경소리’(대표이사 성운)는 9월 28일 전국 지하철역 1천 3백여 개소에 게시됐던 60여 편의 글과 전각 작품을 모안 단행본 <풍경소리>를 펴냈다. <풍 ..
[2001-10-09]
 
'해동의 神筆' 김생 "스님이었다" 
신라의 신필(神筆) 김생(金生, 711~791)이 스님이 되어 우리 곁으로 다시 왔다. 중국 명필 왕희지의 글씨를 능가하는 명필로 전해오는 김생. 예서, 행서, 초서에 뛰어나서 해동의 서성(書聖)으로 불리우는 그가 스님이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2001-10-09]
 
이현주 목사의 "바가바드기타" 
이현주 목사가 인도의 완전독립과 힌두, 이슬람문화의 융화를 위해 힘쓴 간디가 쓴 <바가바다 기타>해설서를 우리말로 옮겼다. 자신 안에 있는 두 본성, 선과 악사이에 벌어지는 전쟁을 통해 사람들에게 많은 교훈을 주는 바가바드기타에 담긴 의미를 자세하게 서술했 ..
[2001-10-09]
 
부여 능산리 절터 보고서 발간 
최근 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부여 능산리 절터(434호)의 발굴 보고서가 국립부여박물관에서 나왔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 4차에 걸친 발굴 성과를 담은 보고서 <능사(陵寺)>는 '능을 지키는 절'이란 제목에서부터 일부 이견이 제기됐던 이 유적지의 성격 ..
[2001-10-08]
 
20세기 가장 영적인 책 한권 
“그의 일생은 종교적 가르침의 실천 그 자체였다.”마하트마 간디는 근대 인도의 영적 스승으로 평가받고 있는 라마크리슈나(1836?1886)를 이렇게 평했다. 신간 <라마크리슈나>(정창영 옮김, 한문화)가 라마크리슈나의 생애와 가르침을 담은 최초의 어록이다. ..
[2001-10-08]
 
금강경 핵심은 '인식 뛰어넘기' 
출가 이후 송광사, 칠불암 등 제방선원에서 정진하던 한 수좌가 돌연 팔리 삼장을 우리말로 역해하겠다는 원을 세우고 인도로 떠난다. 각묵 스님이 바로 그 주인공. “87년 여름 쌍계사 칠불암 운상선원에서 반 철 지나면서 외국에 나가야겠다는 망상(?)이 들었습 ..
[2001-10-08]
-10 이전 페이지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페이지 +10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