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문화
 
건축문화재 총서 출간 
전국 각지의 국가 및 지방 지정 목조건축물을 체계적으로 모아 정리한 '한국의 건축문화재'(기문당刊) 4권이 나왔다. 전10권중 1권 서울편(홍대형 지음.2만5천원)과 3권 강원편(박경림 지음.1만6천원),5권 충남편(이왕기 지음.1만6천원),7권 경남편(강 ..
[2001-08-04]
 
노랑머리들을 위한 참선 이야기 
1970년대 시집만을 전문으로 판매하는 서점 ‘시점(詩店)’을 열어 세간의 관심을 모았던 시인 조해인 시인이 <천재로 만드는 선>과 <부처를 살리는 선>(명상)을 동시에 내놓았다. <천재로 만드는 선>은 노랑머리들을 위한 참선 지침서로 정신적인 갈등과 혼란 ..
[2001-07-28]
 
스님들의 일상담은 수상집 
승가대학ㆍ율원ㆍ선원에서 공부한 현진 스님이 내놓은 개정판 <탁발하는 날>(호미)은 수행자들의 산사의 일상을 있는 그대로 적은 수상집이다. 처음 이 책이 발간된 것은 1993년, 깨달음을 향한 수행자들의 의지만큼은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절 집안의 풍속 ..
[2001-07-28]
 
예수의 생애와 그리스도교의 역사적 진실은? 
“나는 예수 그리스도를 사랑하나, 크리스천은 싫어한다. 예수를 닮지 않았기 때문이다.”(마하트마 간디).“비록 예수 그리스도가 그리스도교의 시작이며 중심이긴 하지만, 예수 자신은 그리스도교 세계에서 다만 한 가지 요소에 지나지 않는다. 예수는 그리스도교의 창시자 ..
[2001-07-27]
 
신간 ‘삶과 죽음의 다르마’ 
“살아 있는 동안에는 두려워하지 않다가 죽을 때가 되어서야 두려워하는 것보다는, 살아 있는 동안에 죽음을 두려워하고 죽을 때는 두려워하지 않는 편이 훨씬 낫다.” 티베트에 전에 내려오는 격언이다. 티베트인들은 명상을 통해서 자신들의 삶을 돌아보며 내면을 풍 ..
[2001-07-26]
 
신간 ‘깨달음의 꽃2’ 
한국불교사에 있어 비구니는 극단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불교전래 이후 여성성불 불가론을 내세워 깨침을 얻을 수 없음을 강조하는가 하면, 비구니팔경계(比丘尼八警戒)로 비구니와 여성을 경시하는 풍조가 만연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불교사에는 덕망 높은 여러 비구니 ..
[2001-07-26]
 
고준환 교수 "성경엔 없다" 
예수의 생애를 새롭게 조명한 <성경엔 없다>(불지사)가 나왔다. 이 책은 지금 전승되고 있는 성경에는 없는 많은 문헌 자료들을 탐구해, 예수의 탄생, 결혼, 인도순례, 십자가 사건 등에 이르기까지 예수 생애와 그리스도교의 역사적 진실을 밝히고 있다. ..
[2001-07-25]
 
주제별로 가려뽑은 마하르쉬 어록 
라마나 마하르쉬(1879-1950)는 진아를 깨달은 뒤 오랫동안 침묵에 잠겼다. 그래서 마하르쉬의 가르침은 침묵으로 시작되어 침묵으로 끝났다고 한다. 그는 아루나찰나의 암자에 살면서 제자들을 가르쳤고, 후에는 아쉬람에서 인도에 및 세계 각지에서 찾아오는 사람들에 ..
[2001-07-25]
 
최인호 소설집 ‘달콤한 인생’ 
<길 없는 길>의 작가 최인호 씨가 창작집 <달콤한 인생>(문학동네)를 냈다. 지난 82년 출간된 <위대한 유산>이후 20년 만의 창작집으로 ‘달콤한 인생’, ‘이별 없는 이별’, ‘산문’, ‘몽유도원도’를 비롯해 82년 발표된 ‘깊고 푸른 밤’ 등 6편이 실려 ..
[2001-07-21]
 
조연현 ‘나를 찾아 떠나는 17일간의 여행’ 
“나는 누구인가.” “나는 왜 여기 있는가.” 존재에 대한 근원적 물음은 숨 가쁘게 돌아가는 일상 속에서도 늘 우리 곁을 맴도는 화두들이다. 속도 지상주의로 치달으며 인간 소외를 부추기는 최근의 흐름에서는 특히 그렇다. 최근 종교계를 중심으로 이러한 의문을 서로 ..
[2001-07-21]
 
이규조 옮김 ‘듣기의 달인이 되는 법칙’ 
사람들은 누구나 ‘듣기’보다 ‘말하기’를 좋아한다. 자신이 말하는 시간은 짧게 느껴지지만, 상대의 말을 듣는 시간은 길게 느껴진다. 예로부터 자기 말이 많은 사람은 속이 허하고, 남의 말을 잘 듣는 사람이 속이 차 있다고 있다. 그렇다면 듣기란 무엇인가. ..
[2001-07-21]
 
정찬주 실크로드 견문록 
중국과 중앙아시아를 잇는 실크로드의 요충지로서 동서교역과 문화교류의 중심지였던 돈황. 신간 <돈황가는길>(김영사)은 그 속에서 만나는 동서문화 교류의 발자취를 따라간다. 지은이는 정찬주.그는 돈황 막고굴의 벽화 속에서 우리의 국악기 장구를 만나 그 ..
[2001-07-20]
-10 이전 페이지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페이지 +10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