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복 65주년 남북공동발원문 발표 |
|
광복 65주년을 맞아 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본부장 명진)과 조선불교도련맹 중앙위원회(위원장 심상진)이 8월 13일 남북공동발원문을 채택 발표했다.
“남과 북의 불교도들은 변함없는 통일 염원과 의지를 담아 부처님 전에 서원을 올린다” 며 시작한 공동발 .. |
|
[2010-08-13 오후 2:46:00] |
|
|
|
“국제포교와 생명살림 근본도량으로 가꿀 터” |
|
“숭산 스님의 세계일화 정신과 수경 스님의 생명살림 정신이 활짝 꽃피는 도량으로 가꾸겠습니다.”
수경 스님의 뒤를 이어 화계사 주지에 임명된 수암 스님(전 화계사 총무국장)은 8월 11일 주지 임명 후 화계사를 국제포교와 생명살림의 도량으로 가꾸겠다 .. |
|
[2010-08-12 오후 6:09:00] |
|
|
|
김대중 前대통령 서거 1주기 추모법회 |
|
김대중 前대통령 서거 1주년을 맞아 김대중前대통령추모법회추진위원회가 8월 11일 조계사 대웅전에서 추모법회를 봉행했다.
추모법회는 삼귀의, 반야심경, 헌화 및 분향, 약력보고, 추모사, 추모법어, 유가족인사, 추모시 낭독, 추모동영상 상영 순으로 진행됐다 .. |
|
[2010-08-11 오후 6:37:00] |
|
|
|
신임 화계사 주지에 수암 스님 |
|
수경 스님의 사임으로 공석이던 서울 화계사 신임 주지에 수암 스님이 임명됐다.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은 8월 11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수암 스님에게 임명장을 수여했다.
이 자리에서 자승 스님은 “수경 스님의 공백이 아쉽긴 해도 신임 주 .. |
|
[2010-08-11 오후 4:55:00] |
|
|
|
“개신교의 갈등 조장 종단이 나서 막아라” |
|
지난 7월 일간지 광고에 이어 8월 10일 한국교회언론인회가 거듭 불교계를 폄훼하고 나선 것에 조계종 종책모임인 무차회가 종단 차원의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무차회(회장 동광)는 11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개신교 단체의 반사회적 행위에 대하여 .. |
|
[2010-08-11 오후 4:34:00] |
|
|
|
“불교계, 종교편향 빌미 예산 더 따냈다” |
|
개신교계가 7월 중순 일간지 광고를 통해 정부의 불교계에 대한 예산 지원을 비판한데 이어, 이를 반박하는 불교계에 또 다시 날선 비판을 쏟아냈다.
한국교회언론회(대표회장 김승동)는 8월 10일 ‘종교편향 문제점을 곡해하지 말라’는 제하의 성명서에서 “개신교 .. |
|
[2010-08-11 오전 10:22:00] |
|
|
|
화쟁위, 화쟁 사상 진단한다 |
|
사회적 갈등의 해법으로 원효 스님의 화쟁 사상이 주목받는 가운데 화쟁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된다.
조계종 화쟁위원회(위원장 도법)는 8월 17일 오후 3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지하공연장에서 ‘화쟁사상과 사회갈등 해소’를 주제로 워크숍을 개최한 .. |
|
[2010-08-10 오후 3:46:00] |
|
|
|
보살 울리는 ‘불법 모연’ 조심하세요 |
|
육군훈련소 법당인 호국연무사 불사에 전국 불자들의 정성이 모이는 가운데, 호국연무사 불사를 사칭해 불법 모연하는 경우가 적발돼 불자들의 주의가 요망된다.
조계종 군종교구(교구장 자광)는 “6월 중순경 강원도 삼화사 입구에서 육군훈련소 불사 명목으로 불법 모 .. |
|
[2010-08-10 오후 1:30:00] |
|
|
|
장보고아카데미, 파라미타 일본역사기행 |
|
전남 완도 신흥사에서 운영하는 장보고아카데미(대표 법일)는 7월 29일~8월 1일 장보고 대사와 깊은 인연을 갖고 있는 엔락쿠지(延曆寺)를 비롯한 일본지역 문화답사를 다녀왔다.
이번 답사에는 장보고의 후예라 할 수 있는 완도지역 어린이 25명과 지도교사 8 .. |
|
[2010-08-09 오후 5:43:00] |
|
|
|
“정책대안 제시하는 단체 절실” |
|
“불교계에는 사회 각 분야에서 불교를 비롯한 종교의 정책을 연구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단체가 절실합니다. 현안대응에만 급급해서는 불교계의 입장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없습니다.”
불교계 연구네트워크가 창립을 눈앞에 두고 있다. 연경사회문화정책연구네트워크(이하 .. |
|
[2010-08-09 오후 5:32:00] |
|
|
|
<조선불교유신론>의 내용과 위상 |
|
<조선불교유신론>은 만해 한용운이 불교개혁의 당위성, 지향, 대안을 집약해 1910년 여름에 쓴 불서로 근대불교를 상징한다. 1913년 5월, 불교서관에서 펴낸 <조선불교유신론>은 한국 근현대불교를 개혁하려던 불교인들의 가슴을 뜨겁게 달군 책이다.
한용운 .. |
|
[2010-08-09 오후 4:36:00] |
|
|
|
닭의 울음 들리지 않는가! |
|
2010년인 올해는 만해 한용운(1879~1944) 선사가 <조선불교유신론>을 집필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1910년 12월 8일 밤 내설악 백담사에서 유신론은 탈고됐다. 이 책은 불교개혁을 논하는 모두에게 큰 깨침을 주는 목탁소리였다. <조선불교유 .. |
|
[2010-08-09 오후 4:30:0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