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문화
 
'성철스님 시봉 이야기' 낸 원택스님 
성철스님의 상좌 원택스님(조계종 총무부장)이 쓴 성철스님 이야기가 책으로 나왔다. <성철스님 시봉 이야기 1.2>(김영사刊)에는 원택스님이 20년간 스승을 모시며 겪었던 각종 일화가 녹아 있다. 책은 '내 인제 갈란다. 인제는 갈 때가 됐다. 내 할 일은 ..
[2001-12-08]
 
128년전의 종교논쟁 듣는다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이 식민지라는 아픈 역사적 경험을 갖고 있다. 식민지배는 속성상 정치ㆍ경제적 침탈뿐만 아니라 민족성 말살도 함께 이루어진다. 특히 서구 제국주의에 있어서 그것은 기독교의 전파로 실행됐다. 지금으로부터 128년 전인 1873년, ..
[2001-12-08]
 
‘채색의 숨결-그 아름다움과 힘’전 
'채색의 숨결-그 아름다움과 힘’전은 20세기 채색화의 뚜렷한 영역을 확립한 작가와 작품을 한자리에 모아, 한국 채색회화사의 포괄적인 맥락과 성과들을 짚어 보는 전시다. 12월 14일부터 내년 1월 27일까지 서울 평창동 가나아트센터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 ..
[2001-12-07]
 
이웃종교 알기 토론회 
미국 테러 사건 이후 이슬람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7대 종단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웃종교를 알기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불교와 천주교, 개신교 등 국내 7대 종단 모임인 한국종교인평화회의는 12월 4일 서울 종로성당 3층 강당에서 '문명 ..
[2001-12-06]
 
도법스님 '내가 본 부처' 펴내 
도법(실상사 주지) 스님이 조계종 행자교육원에서‘부처님 생애’를 주제로 강의한 내용을 담은 <내가 본 부처>(호미)가 나왔다. 스님은 먼저 “왜 부처님의 생애를 공부해야 하는가”에 대해 설명한다. 그 이유는 부처님은 불교사상과 정신의 뿌리이고, 수행자가 ..
[2001-12-06]
 
템플스테이 주력은 '선(禪)'과 '차(茶)'  
;2002년 월드컵을 맞아 추진 중인 템플스테이사업의 주 내용을 선(禪)과 차(茶)로 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통문화포럼(집행위원장 성광)과 명원문화재단(이사장 김의정)은 12월 3일 세종문화회관에서 ‘템플스테이 추진방향과 전략’을 주제로 발족 기념 세미 ..
[2001-12-06]
 
불우이웃과 나누는 문화의 향기 
연말연시 소외된 이웃을 직집 찾아가 훈훈한 문화의 향기를 나누는 자리가 마련된다. 문화관광부(장관 남궁 진)는 연말을 맞아 12월 한달간 평소 문화예술을 접하기 어려운 보육원, 양로원, 정신장애인 병원 등 전국 76여개 사회복지시설을 직접 찾아가 '연말 불 ..
[2001-12-05]
 
'미완의 영역'고려미술 본격 조명 
우리 나라 미술사학계에서 고려 미술 연구는 그 동안 미완의 연구 영역에 머물러 있었다. 경주를 빼고 신라 문화를 말할 수 없듯, 500년 고려 미술의 전모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고려 문화의 중심지였던 개성을 빼놓을 수 없다. 하지만 분단 현실이 남한 유물에 한정된 ..
[2001-12-04]
 
국립민속박물관 ‘김치장’ 신설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은 누가 뭐라 해도 역시 김치라고 할 수 있다. 약 1,500여년에 이르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김치는 2001년 7월 국제식품규격위원회로부터 국제규격식품으로 공인을 받아, 이제는 세계인이 찾는 건강 음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 ..
[2001-12-04]
 
세계유산을 통해 보는 한국과 일본의 문화 
어떤 나라든 고유의 역사와 자연 환경 속에서 이루어온 유산이 있다. 국경의 개념이 희미해지 오늘날,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이러한 유산을 공유하고, 다음 세대에게 전해주는 것은 인류의 새로운 과제가 되었다. 12월 1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신문로1가 이연홀에 ..
[2001-12-03]
 
한국불교 처음부터 위빠사나 수행이었다 
<불교수행의 이론과 실제>(근본불교학교 출판부)는 불교 수행의 이론과 실천을 담은 책이다. 하지만 초점은 위빠사나에 맞춰져 있다. 책은 먼저‘불교 수행사 개설’도표와 우리나라에 불교 수행법이 전해져 오는 과정을 도표 ‘불교 수행사’를 통해 어떻게 수행에 ..
[2001-12-03]
 
[스터디셀러 다시읽기] '불화란 무엇인가' 
사찰에는 반드시 적게는 몇 점, 많게는 수백점의 불화들이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해를 돕는 설명조차 없어 오히려 의문만 커지게 된다. 이런 궁금증을 속 시원하게 풀어주는 책이 바로 <한국의 불화>( ..
[2001-12-03]
-10 이전 페이지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다음 페이지 +10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