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문화
 
태고 보우국사 탄신 700주년 국제학술회의 
태고종 등 10여 개 종단에서는 종조로, 조계종에서는 중흥조로 모시고 있는 태고보우 국사 탄신 7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가 10월 4일 불교방송 3층 공개홀에서 열렸다. 한국불교 태고학회(회장 무공) 주관으로 열린 이번 학술회의의 주제는 ‘태고보우 국사의 ..
[2001-11-06]
 
차 한잔에서 찾는 마음자리 
차 한 잔을 마시며 참나를 찾는 다도의 세계를 춤으로 형상화한 ‘동다송(東茶頌)’이 김용복 무용단에 의해 무대에 오른다. ‘동다송’이란 초의 선사가 우리나라 차의 우수성과 차에 얽힌 일화 등을 시 형식으로 쓴 글이다. 춤 ‘동다송’은 초의 선사의 ‘동다송 ..
[2001-11-06]
 
한정섭 편저 '불국토의 새벽을 여는 사람' 
경남 울산 정토사 주지 덕진(대한불교어린이지도자연합회장) 스님의 수행과 포교담을 담은 <불국토의 새벽을 여는 사람>(한정섭 편저, 우리)이 나왔다. 덕진 스님의 수행과 포교의 이력뿐만 아니라 수행자가 기본적으로 익혀야할 승가대학의 기본 경전인 <초발심자경문>, ..
[2001-11-06]
 
조계종 포교원 ‘포교방법론2’ 
조계종 포교원이 포교 및 교육 지침서 사업 일환으로 펴내고 있는‘포교방법론’시리즈 두 번째 권 <포교방법론 2>(조계종 출판사)가 나왔다. <포교방법론 1>이 포교의 의미와 방법을 경전을 근거 서술한 반면, 이 책은 계층 포교의 이론과 방법을 다루고 있다. ..
[2001-11-06]
 
미륵사탑 해체 때 첫 돌 들어낸 홍정수씨 
"돌 조각 하나, 나무토막 한개라도 애인처럼 소중하게 다뤄야 합니다." 10월 31일 국내 최고(最古)의 미륵사지 석탑 해체 작업 시연회에서 탑에 첫 손을 대 눈길을 모은 '드잡이' 홍정수(洪正洙.62.경기도 고양시 주교동)씨. 洪씨는 이날 전통 백제 ..
[2001-11-05]
 
원효 화쟁사상 '서로 통하는' 경지 
“원효의 화쟁 사상은 불교사상에 있어 서로 대립되는 관점을 융합하려는 데 역점을 두었다.” 회통과 더불어 원효의 사상을 대표하는 핵심적 개념인 ‘화쟁(和諍)’에 대한 학계의 일반적 평가다. 최근 나온 계간 <불교평론> 가을호에 실린 박재현(서울대 규장각 해 ..
[2001-11-05]
 
연극 ‘오구’ 재 공연 
죽음이라는 비극적 소재를 한국적인 굿의 제의형식 속에 풀어내고, 해학과 희화의 시선으로 죽음을 바라보는 연극 ‘오구(죽음의 형식)’가 11월 6일~12월 16일까지 서울 정동극장에서 재공연된다. 연극 ‘오구’는 지난 89년 초연 이래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
[2001-11-05]
 
조연복 ‘글꼴 새김 動·中·靜’전 
조각가 조연복씨의 ‘글꼴 새김 動·中·靜’전이 11월 9일~15일 경기도 일산 롯데백화점 내 아트갤러리에서 열린다. 조씨는 이번 전시회에서 문자와 기호, 새 등을 하나의 은유적 형상물로 조각한 신작 20여점을 선보인다. 없을 무(無)자에서 착안해 만든 ‘무 ..
[2001-11-05]
 
미륵사지 석탑 복원의 쟁점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석탑인 미륵사지 석탑(국보 11호.전북 익산시 금마면)의 복원작업과 관련, 석탑의 층고(層高)와 기존 석재의 재활용 여부 등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10월 31일 고유제를 시작으로 미륵사지 서쪽 ..
[2001-11-05]
 
봉정사 만세루 경북도문화재 지정 
경북 안동 봉정사의 만세루와 소장유물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봉정사 영산암은 민속자료로 지정됐다. 경북도는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도지정 유형문화재 9건과 민속자료 3건 및 문화재자료 7건 등 19점을 선정했다고 11월 1일 밝혔다. 이로써 경북도지정 ..
[2001-11-05]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한국인의 죽음론을 고찰한 책. 죽음의 의미를 끈기 있게 고찰하는 한편, 고조선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죽음을 바라보는 한국인의 태도를 심도 있게 서술했다. 이를 통해 우리네 삶과 죽음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고 말하고. 죽음의 공포를 덜어내고 정을 붙이려면 ..
[2001-11-02]
 
제주 약천사 '한일사찰음식문화교류전'  
;부처님의 가르침을 담아 그 정신과 맛을 함께 나누는 뜻깊은 문화행사가 10월 30일~31일 제주도 약천사 나한전 1층 전시실에서 열렸다. 제주 약천사가 오백나한상 봉안조성기념으로 마련한 ‘한·일사찰음식문화교류전’이 바로 그것이다. 이번 교류전에는 ..
[2001-11-02]
-10 이전 페이지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다음 페이지 +10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