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정사 소장유물 도지정문화재 지정 |
|
월정사 성보박물관(관장 현해) 소장 문화재 12점이 도지정문화재로 지정됐다.
이번에 지정된 문화재는 원주영원사목불좌상 및 복장유물(강원도 유형문화재 130호)을 비롯해 용다사 동종(133호), 영원사 비로자나후불탱화(134호) 등 불상과 복장유물 3점과 동 .. |
|
[2002-01-30] |
|
|
|
경북도, 팔공산문화권 개발키로 |
|
경북도가 경산등 대구권 5개 시군의 팔공산 문화권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이의근 경북지사는 1월 26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경산 청도 영천 칠곡 군위 등 대구권을 중심으로한 신라불교, 유교, 화랑호국의 역사적 군사문화 등의 개발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이같이 밝 .. |
|
[2002-01-30] |
|
|
|
태고총림 선암사 또 탱화 도난 |
|
전남 순천에 위치한 태고총림 선암사에서 또다시 탱화가 도난당해 충격을 주고 있다. 선암사는 지난 99년 3월 16일과 24일 대웅전과 팔상전에 걸려 있던 탱화 각 1점과 98년 2월 6일 응진당과 불조전에 걸려 있던 탱화 3점을 한꺼번에 도난당한바 있다.
.. |
|
[2002-01-29] |
|
|
|
엄마랑 얘기하며 책 읽어 신나요 |
|
“애들아, 만두에는 뭐니 뭐니 해도 김치가 많~이 들어가야 맛이 난단다!”
주하정(34, 구로동) 씨는 1월 21일 구로인표어린이도서관에서 아들 동희(7), 딸 다희(5)에게 <손 큰 할머니와 만두 만들기>(재미마주)라는 동화책을 읽어주기에 여념이 없었다. .. |
|
[2002-01-29] |
|
|
|
인도 돕기 위한 만다라 제작 |
|
81조각의 만다라가 모여 하나의 거대한 초대형 만다라로 거듭나는 전시회가 3월 중순 일본 동경에서 열린다.
‘만다라 21세기 프로젝트’가 준비한 이 전시회는 일본문화여자대학 피복재료학 교수인 나로세 노부코씨를 중심으로 열악한 생활을 하고 있는 룸비니의 어 .. |
|
[2002-01-29] |
|
|
|
달마가 부활할 곳은 어딜까? |
|
조선ㆍ동아일보를 비롯해 6곳 일간 신문사를 거친 원로 언론인 이규행 씨가 쓴 <행복한 달마>(백암)는 중국선불교의 초조 달마 대사의 삶을 보여주는 일종의 다큐 소설이다.
남인도 향지국의 세 째 왕자인 달마대사가 궁을 떠나 중국에서 선법을 펴는 과정을 보여 .. |
|
[2002-01-28] |
|
|
|
국내외 흩어진 초조대장경 결집 |
|
우리 나라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대장경이면서도 국내외에 흩어져 있는 초조대장경이 결집된다.
고려대장경연구소(소장 종림)는 초조대장경 디지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영인본 출판 사업을 올해부터 추진하겠다고 1월 22일 밝혔다.
초조대장경은 고려 현종 .. |
|
[2002-01-26] |
|
|
|
백제금동대향로 日전시 불가 |
|
백제금동대향로의 일본 전시가 무산됐다. 문화재위원회는 한일 월드컵 기념으로 5월~7월 서울과 도쿄에서 열리는 ‘한일 명품교류전’의 도쿄 전시에 출품 예정된 국보 287호 백제 금동대향로에 대해 최근 반출 불허 결정을 내렸다.
문화재위원회는 국립중앙박물관이 .. |
|
[2002-01-26] |
|
|
|
“과학 통해 불교 더 알 수 있다” |
|
논리와 언어의 세계를 뛰어넘는 ‘선(禪)’으로 대변되는 불교의 기본 사상을 과학적 지식을 통해 이해하는 것이 가능할까?
국내외 종교학자와 과학자들이 모여 종교와 과학간의 대화를 모색하는 ‘종교와 과학 워크숍’이 강남대와 미국 신학과 자연과학 연구소 주최로 .. |
|
[2002-01-26] |
|
|
|
청주시, `직지' 세계화 추진 |
|
청주시가 지난해 9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이하 직지)'을 널리 알리기 위한 다각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청주시는 1월 22일 오후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의회와 시민단체, 학계, 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직지의 세계화, 청주 .. |
|
[2002-01-25] |
|
|
|
고려대장경연구소 2002년 사업계획 발표 |
|
고려대장경연구소는 1월 22일 올 주요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소장 종림 스님은 초조대장경 영인본 출판 및 디지털 사진 DB 구축, 고려대장경 2002 출시, 디지털 한국불교문화지도 구축, 불교학 네트워크 구축, 팔만대장경판 3차원 DB 구축 및 복원제작 .. |
|
[2002-01-24] |
|
|
|
디지털 대장경 이용 쉬워진다. |
|
디지털 대장경의 이용이 한결 더 쉬워진다. 지금까지 별도의 프로그램 안에서만 열람과 검색이 가능하던 단계에서 나아가 개인용 컴퓨터 상용 프로그램에서도 운용이 가능해진다.
고려대장경연구소(소장 종림)는 1월 21일 중화불학연구소 주최로 대만에서 열린 제4회 .. |
|
[2002-01-2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