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비량론에서 '각필악보' 발견 |
|
우리나라 신라시대 불교음악 악보가 일본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한·중·일 각필악보의 권위자인 일본 도쿠시마대학 고바야시 요시노리 교수가 4월 5일 법현스님(동국대 국악과 교수)과의 전화 통화에 이어 8장의 문서자료를 보내옴으로써 확인됐다. 이에 신라시대 .. |
|
[2002-04-13] |
|
|
|
[해외불서] 지장보살의 구세법 |
|
<법멸진경(法滅盡經)>에는 인류가 멸망하는 사건을 설하고 있다. 그러나 <지장본원경>에는 구세법(救世法)을 닦으면 구원된다고 적혀있어, 이 구세법은 21세기를 맞이한 인류가 닦아야 할 수행법이라고 할 수 있다.
제1장 <법멸진경>, 인류의 멸망을 슬퍼한 경 .. |
|
[2002-04-12] |
|
|
|
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남산 도록 발간 |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최맹식)가 경주 남산(세계문화유산, 사적 제311호)의 불교유적과 선사유적, 왕릉 및 고려ㆍ조선시대 유물을 망라한 도록 '경주남산'을 발간했다. 경주 남산은 140여개소에 이르는 사지(寺址), 90여기의 석탑과 80여구의 불상 등 많은 .. |
|
[2002-04-12] |
|
|
|
북한미술을 한눈에 감상하는 전시회 눈길 |
|
북한미술 세계를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전시회가 마련된다.
화제의 전시회는 사회복지법인 진각복지재단(대표이사 효암)이 오는 4월 17일을 시작으로 23일까지 인사동 공평아트홀 2층 전시장에서 개최하는 ‘북한미술특별전’.
‘북한미술특별전’은 최근 다시 불고 .. |
|
[2002-04-12] |
|
|
|
석굴암·토함산 훼손 저지 성명서 발표 |
|
문화재청이 추진하는 토함산 내 석굴암 유물전시관 건립을 반대해 지난 3월 결성된 석굴암·토함산 훼손저지를 위한 대책위원회(위원장 이상해 성균관대 교수)는 4월 9일 오전 10시 서울 덕수궁 옆 세실 레스토랑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토함산에 석굴암 역사유물관을 조성 .. |
|
[2002-04-11] |
|
|
|
김지장 국제학술회의 및 차문화 연토회 |
|
한중수교 10주년 및 김지장스님 탄신 1300주년을 맞아 구화산과 김지장스님의 차문화를 조명하는 국제학술회의가 열린다.
중국 안휘구화산 불교문화연토회 및 안휘구화산불교협회와 한국 불교춘추사는 오는 9월 5일 ‘한중 김지장 국제학술 및 차문화 연토회’를 구화 .. |
|
[2002-04-10] |
|
|
|
제4회 니르바나 실내악단 정기연주회 열려 |
|
니르바나 실내악단 정기연주회가 4월 23일 오후 7시30분 한전 아츠풀센터에서 열린다. 불가리아 지휘자인 안드레이 안드레프가 지휘하는 이번 음악회에서는 '모자르트의 디베르토멘토 136번'을 비롯해 '대금과 실내악을 위한 지수화풍', '루마니아 포크댄스' '베르디 .. |
|
[2002-04-10] |
|
|
|
한국불교학회 ‘한국불교학’발간 |
|
한국불교학회(회장 권기종)는 최근 반년간 학회지 <한국불교학> 30집과 31집을 잇달아 펴냈다.
동국대 불교학과 서윤길 교수의 화갑 기념 논총으로 꾸민 30집은 불교 교학과 불교 사학, 응용 불교의 3분야로 나눠 해주(동국대 교수) 스님의 ‘삼국의 불교사상 .. |
|
[2002-04-10] |
|
|
|
안성 봉업사 고려 광종 개혁의 중심지 |
|
고려 태조 왕건의 진영을 봉안한 진전사원(眞殿寺院)이었던 경기도 안성 봉업사는 광종이 왕권강화와 중앙집권화를 통한 개혁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중건한, 경기 지역 최대 규모의 사찰이었음이 밝혀졌다.
지난 1997년부터 지난해까지 2차례에 걸쳐 절터 .. |
|
[2002-04-09] |
|
|
|
日보물 원효 <판비량론>은 신라인 필사본 |
|
7세기 말∼8세기 초 신라에 유학했던 일본인 승려가 필사해 간 것으로 알려진 원효 스님의 저술 <판비량론(判比量論)>이 신라 사람에 의해 쓰여진 것이라는 주장이 일본인 학자에 의해 제기됐다.
동아시아 각필 연구자인 고바야시 요시노리 일본 도쿠시마 대학 교수 .. |
|
[2002-04-09] |
|
|
|
중국 소림사 일산에 건립 |
|
중국 소림사가 경기도 일산에 온다.
중국 소림사 스용신(釋永信) 방장이 3월 31일 한중 수교 1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 한 자리에서 “중국의 소림사와 같은 모형의 절을 일산 호수공원 인근에 건립 하겠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이 사업을 공동 .. |
|
[2002-04-09] |
|
|
|
보광스님 한지 공예전 |
|
한지는 마술사다. 부드럽고도 질겨서, 엮고 구기고 비트는 등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 회화에서부터 종이 공예, 서예, 조소 영역뿐만 아니라 다른 매체와 결합해 다양한 형태로 자신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그래서 옛날부터 한지는 유리 대용으로 창문에 바르고, .. |
|
[2002-04-0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