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문화
 
'만파식적제' 감은사지서 
국유사에 전하는 신라의 신비한 피리 만파식적과 이 피리를 전한 문무대왕, 감은사를 세운 신문왕을 기리기 위한 만파식적제(萬波息笛祭)가 8월 23일 오후 6시30분 경주 감은사지에서 열린다. 만파식적제는 울산의 문화단체인 우리땅우리얼(으뜸이 류달훈)이 지난 ..
[2002-08-23]
 
부산 미군부대 하야리아에서 석불 발견 
문화재청은 지난 8월 12∼14일 주한미군 주둔지역내 문화유적 정밀 지표조사 결과 부산 캠프 하야리아에서 석불이 발견되는 등 다수의 문화유적을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국방부가 공동으로 실시한 이번 지표조사에서는 부산시 캠프 하야리아에서 ..
[2002-08-22]
 
봉정사극락전 외국산기둥 사용 알고도 방치 
국내 최고(最古) 목조건물인 경북 안동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이 1972년 보수하면서 일부 기둥을 외국산 나무로 교체한 사실이 지난해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문화재청이 아직까지 이를 시정하지 않고 있어 문제다. 경북대 박상진 임산공학과 교수는 지난해 ..
[2002-08-22]
 
석굴암 주변 정비공사 현지지도·감독 강화 
문화재청은 경주시 주관으로 불국사에서 시행하고 있는 석굴암석굴(국보 24호) 주변 배수로공사와 관련하여 현지 지도·감독을 강화하고 시공방법의 개선·보완 등 이에 필요한 사항을 조치할 계획이라고 8월 19일 밝혔다. 석굴암 배수로 공사는 폭우·홍수시 계곡의 ..
[2002-08-21]
 
행원문화상에 성우스님, 김영무, 강형진씨 
재단법인 행원문화재단(이사장 주영운)은 8월 19일 이사회를 열고, 제11회 행원문화상 역경분야에 성우스님, 문학분야에 김영무, 예술분야에 강형진 씨를 각각 선정했다. 행원문화재단은 선정 이유에서 “성우 파계사 주지 스님은 ‘범망경 보살심지계품’을 비롯해 ..
[2002-08-21]
 
판각 문화의 전통 판화로 꽃피운다 
해인사는 우리 판각 문화의 성지다. 해인사 장경각에는 불법의 지혜로 민족의 자주정신을 드높였던 고려 민중들의 의지가 새겨진 고려대장경판이 모셔져 있기 때문이다. 이런 해인사에서 성보박물관 개관을 기념하는 특별 판화전 ‘지혜와 창조전’을 연다. 지혜와 창조 ..
[2002-08-21]
 
도올 초기불교 이해 논란 불붙었다 
인기리에 방영됐던 KBS 강좌 '도올의 논어 이야기'를 돌연 중단하고 인도 등지를 오가면 공식석상에 나타나지 않았던 도올 김용옥. 그는 최근 동국대에서 달라이라마 친견 대중강연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그는 또한 <달라이 라마와 도올의 만남> ..
[2002-08-21]
 
위덕대 교육개혁 우수대학으로 선정 
진각종립 위덕대학교가 교육개혁 우수대학으로 선정됐다. 위덕대학교는 교육부로부터 ‘교육개혁 우수대학’으로 선정돼 5억 2천만원~6억 8천만원의 정부지원을 받게 됐다고 8월 15일 밝혔다. 이번 교육개혁 우수대학 선정은 교육부가 지난 7월 실시한 전국대학 ..
[2002-08-21]
 
법정스님 글 무단전재ㆍ가필 말썽 
경봉(1892-1982) 스님 20주기를 맞아 지난 7월 출간된 단행본 「꽃은 져도 향기는 그대로일세」(예문刊)가 무단전재와 가필로 말썽을 빚고 있다. 서울 성북동 길상사(吉祥寺) 주지 덕조 스님은 이 책이 법정 스님의 글을 서문으로 무단사용했을 뿐 아니라 ..
[2002-08-20]
 
국보 48호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곳곳에 균열  
;국보 48호인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의 곳곳에 균열이 생기고 박락 현상이 심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재청은 8월 16일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에 대한 현지 조사를 가졌다.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조계종 문화유산발굴조사단(단장 정각, ..
[2002-08-20]
 
초기 불교용어 ‘산스크리트’ 사멸 위기 
초기 불교 용어인 산스크리트(梵語)가 본고장 인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고 BBC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언어중의 하나인 산스크리트는 고대 인도의 엘리트 층에서 사용되던 언어이지만 지금은 옛날처럼 고귀한 대접을 받기는커녕, ..
[2002-08-20]
 
운허 스님의 크신 발자취 
지난해 9월 5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는 ‘한글대장경 완간회향대법회’가 열렸다. 37년에 걸친 고려대장경 한글 번역 작업의 첫 걸음을 내딛은 사람은 바로 운허 스님(1891∼1980)이다. 평생을 역경 사업에 힘쓴 운허 스님의 발자취를 따라 엮은 책 <운허스 ..
[2002-08-20]
-10 이전 페이지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페이지 +10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