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문화
 
각성스님의 능엄경 정해 
이 시대 최고의 강백으로 꼽히는 각성 스님이 <능엄경 정해> 하권을 펴냈다. 올해 초 1권부터 5권까지의 내용을 담은 상권을 펴낸 데 이어 하권에서는 6권부터 10권까지를 번역, 강해하고 있다. 본문과 번역은 물론 상세한 해설까지 담아 일반인들도 쉽게 읽을 수 ..
[2002-08-19]
 
하이데거와 화엄의 사유 
김형효(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 지음. 하이데거의 후기 사상을 불교의 화엄학(華嚴學)과 선학(禪學)으로 해석한 책. 하이데거의 후기 사상은 소유와 경제, 과학기술에 집착하는 인간중심주의 사상을 넘어 인간이 '마음의 가난'을 다시 기억하고 거기에 거주하면서 '마 ..
[2002-08-19]
 
전주서 세계소리축제 열린다 
세계 각국의 종족음악을 통해 인간의 목소리로 낼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음색을 찾아볼 수 있는 ‘2002 전주세계소리축제’가 8월 24일~9월 1일 열린다. 국내외 1백56개 팀이 참가는 이번 축제의 주제는 지난해에 이어 ‘소리 사랑 온누리에’이다. 문화 ..
[2002-08-19]
 
전남 공무원 기초교리서 발간 
전남지방경찰청을 비롯한 광주 5개 경찰서와 전남도청 불자들이 직장불자를 위한 ‘불교 기초교리’ 책자를 발간했다. 이 책자는 향림사 후원과 공무원, 경찰불자들의 성금으로 제작됐으며, 불교란 무엇인가, 부처님 일대기, 불자예절 및 상식, 신행방법과 절차, 근 ..
[2002-08-17]
 
동일 판본, 문화재 지정 번호·이름 통일 
문화재청은 최근 전남 장흥 보림사에 소장돼 있는 ‘보물 1251호 <금강반야바라밀경(권 제1)>’의 지정번호와 이름을 ‘보물 722-3호 <금강경삼가해-권1>’로 바꿨다. 또 이 경전과 동일한 판본이지만 지정번호와 이름이 달랐던 3건의 지정번호와 이름을 통일했다 ..
[2002-08-17]
 
‘삼국유사’ 최초 판각 시기는 조선 초기 
최근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 고대사 연구의 중요한 문헌자료인 <삼국유사>의 판본이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돼 지정 예고된 가운데, <삼국유사>의 찬술과 판각 시기에 대한 그간의 연구 성과를 재조명해 보는 학술 대회가 열렸다. 경북 군위 인각사(주지 상인)와 ..
[2002-08-17]
 
경봉스님 서간.일기, 책으로 나와 
경봉(1892-1982) 스님의 서간과 사진, 일기 등이 함께 묶인 단행본 「편지」가 스님의 20주기를 맞아 출간됐다(고요아침刊). 책에 실린 내용은 경봉 스님의 제자 명정(양산 통도사 극락선원장) 스님이 보관해온 두 가마 분량의 자료 중에서 골라 뽑은 것이다 ..
[2002-08-16]
 
국립중앙박물관 '고려 조선 대외교류전'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지건길)은 부산아시아경기대회를 맞아 8월 27일부터 10월 13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특별전 '고려·조선의 대외교류'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는 고려와 송, 원나라와의 교류를 확인할 수 있는 유물에서부터 조선의 대중국, 대일본 사신들의 내 ..
[2002-08-16]
 
충북 문화유산 답사-가섭산 미타사 
많은 사람들이 음성이라는 지명을 생각할 때마다 참 독특하다는 생각을 한다. 대체로 지명에 볕 양(陽)자를 집어넣는 것이 일반인데 어째서 유독 음성(陰城)만은 어두운 느낌을 주는 `음'자를 지명에 쓰고 있는 걸까. 이 곳 사람들은 음성의 옛 이름 `잉 ..
[2002-08-16]
 
문화재 수리 기술 강좌 
(사)한국문화재수리기술자협회는 문화재청 후원으로 8월 15일부터 18일까지 덕수궁 내 궁중유물전시관 강당에서 '문화재 수리 기술 강좌'를 연다. 문화재수리업 종사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참가할 수 있다. 고대부터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 전기, 조선 ..
[2002-08-15]
 
국립민속박물관 우리 전통무용 한마당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이종철)에서는 관람객을 위한 우리민속한마당 8월 셋째 주 토요상설공연과 일요열린무대에서 우리 전통춤의 맛과 멋을 한껏 느낄 수 전통무용 한마당을 준비한다. 8월 17일(토) 제262회 토요상설공연에서는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
[2002-08-15]
 
불교용어 기초지식 
“불교란 무엇인가? 불교는 문자 그대로 풀어 보면 ‘부처님의 가르침’이란 뜻이다. 따라서 인간의 번뇌로부터 벗어나게 해줄 깨달음의 도를 성취할 수 있도록 불타의 가르침을 전해 주고 실천을 도와주는 종교라 할 수 있다” ‘살아 있는 팔만대장경’이라 평가받는 ..
[2002-08-15]
-10 이전 페이지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페이지 +10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