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19 (음)
> 현장 & 사람들 >
 
진각대 17회 졸업식 열려  
진각대학(학장 경정 정사)은 3월 13일 서울 하월곡동 진각종 통리원 대회의실에서 진기 60학년도 제17회 졸업식을 봉행했다. 도흔 총인을 비롯 통리원장 회정 정사, 진각대학장 경정 정사 등이 참석한 졸업식에서는 정일(밀각심인당 교화스승) 정사 등 8명 ..
[2007-03-15 오전 10:37:00]
 
수원 유가심인당 글쓰기 중국어강좌 개설 
수원 북수동 유가심인당(주교 혜정)은 3월 25일부터 매주 일요일 마다 화홍어린이도서관에서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을 대상으로 글쓰기와 중국어강좌를 개설한다. 1개월 글쓰기 과정은 삶을 가꾸는 글쓰기에 대한 이해와 꾸며쓰는 글, 진정성이 담긴 글에 대한 ..
[2007-03-15 오전 10:31:00]
 
한국불자들 1500년 時空 넘어 달마 만나다  
3월 6일, 중국 달마굴 앞. 9년 면벽 끝에 달마 스님과 혜가 스님의 조우가 이루어졌던 현장에서 한국 불자들은 1500년의 세월을 뛰어 넘어 달마 스님과 만났다. 3월 5일 한국을 출발한 불자들은 모두 60여명. 이들은 중앙신도회 산하 불교인재개발원 ..
[2007-03-15 오전 9:33:00]
 
법전 스님 행장 및 수행일화  
법전 스님은 1925년 전남 함평에서 출생했으며 속명은 김향봉金香奉이다. 1939년 영광 불갑사에서 설호 스님을 계사로 설제 스님을 은사로 사미계를 수지했고, 1944년 장성 백양사 강원 대교과정을 마쳤으며, 1948년 백양사에서 만암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 ..
[2007-03-14 오후 4:56:00]
 
조계종 종정 법전 스님 재추대  
조계종 종정에 법전 스님이 재추대됐다. 조계종 원로회의(의장 종산)는 3월 14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4층 회의실에서 제12대 종정추대회의를 열고 현 종정 법전 스님을 재추대하기로 결의했다. 세수 82세, 법랍 68년의 도림법전(道林法傳) 스님은 ..
[2007-03-14 오후 4:08:00]
 
봉은사 중장기 발전계획 발표  
서울 봉은사(주지 명진)는 3월 14일 ‘주지스님과 함께하는 봉은사 중창불사 원만성취 천일기도 백일자 법회’를 봉행했다. 법회에는 조계종 중앙종회의장 자승 스님과 백련불교문화재단 이사장 원택 스님, 불교문화사업단장 종훈 스님,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 ..
[2007-03-14 오후 3:54:00]
 
오영교 총장, 동국대 개혁 '108프로젝트'  
‘대학도 기업처럼 비전과 전략을 갖고 변해야 산다.’ 행정자치부 장관 출신인 오영교 동국대 신임 총장이 동국대 개혁에 급시동을 걸었다. 오 총장은 13일 본관 5층 대회의실에서 경영방침과 대학 발전 전략 등이 담긴 ‘108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
[2007-03-14 오전 10:48:00]
 
2009년 해남 성도사에 ‘항일운동 기념관’ 건립  
2009년에 전남 해남 성도사에 ‘항일운동 유적지 기념관’이 건립된다. 성도사(주지 무애)는 최근 구한말 의병들이 봉기해 일본군과 격전을 벌였던 성도사에 항일운동 유적지 기념관을 건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성도사는 2009년까지 국비 예산 ..
[2007-03-13 오후 3:44:00]
 
원효 의상 스님 흔적 남은 봉화 청량산, 명승 지정  
청량사가 자리 잡고 있는 봉화 청량산이 3월 13일 국가지정문화재인 명승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봉화 청령산은 예로부터 자연경관이 수려해 ‘소금강’이라고 불렸을 만큼 명산인데다 지질학적 측면에서도 학술 가치가 뛰어나 명승으로 지정하게 됐다”고 밝혔 ..
[2007-03-13 오후 1:49:00]
 
자연과 더불어 佛恩으로 살아가는 사람들  
시절 인연에 맞추어 조화롭게 변해가는 도솔산 자락에 포근히 안겨있는 선운사는 조계종 24교구 본사로 신라 진흥 왕이 창건했다. 진흥 왕이 왕위를 버린 첫날밤에 진흥 굴에서 잠을 잤는데 꿈에 미륵 삼존불이 바위를 가르고 나오는 것을 보았다. 기이하다 여긴 진흥 ..
[2007-03-13 오후 12:44:00]
 
中 돈황 벽화 ‘유마거사와 문수보살의 법담 (하)/  
유마거사에게 병이 났다고 합니다. 병이 났다는 것은 나와 우주와의 조화가 깨졌다는 신호. 인간은 대자연의 일부이니, 자연스레 흘러야할 몸의 또는 정신의 운행에 차질이 생겼다는 것은 나와 자연과의, 나와 법신과의 균형이 깨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본래 청정했던 ..
[2007-03-13 오전 11:25:00]
 
“느낌을 무상으로 알아차릴 때 갈애가 소멸된다”  
“수행자는 어떠한 느낌(受)이 일어나든 그 일어남(生)과 사라짐(滅)을 알아차려서 느낌에서 갈애(渴愛)로 연결되지 않도록 해야만 합니다. 느낌을 무상(無常)으로 알아차릴 때 갈애가 일어나지 않으며, 갈애의 소멸이 곧 도(道)입니다” 2월 20일 오후, ..
[2007-03-13 오전 9:59:00]
-10 이전 페이지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다음 페이지 +10
   
   
2025. 9.1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