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문화
 
'경주 남산' 보급판 발간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이자 국가사적 311호인 경주 남산의 불교유적과 선사유적, 왕릉 등 다양한 문화유산과 민속의례, 수려한 자연경관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종합도록 <경주 남산>(민족문화)이 발간됐다. 도판편과 해설편, 2권 1질로 나온 종합도록은 ..
[2002-07-15]
 
부도 2기 보물로 지정예고 
문화재청은 7월 11일 전남 해남 대흥사 청허당(淸虛堂)부도와 전남 장성 백양사 소요당(逍遙堂)부도를 각각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대흥사 청허당부도(전남 유형문화재 57호)는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이끈 서산대사의 부도이며, 석종형 부도로는 유일하게 범종 ..
[2002-07-15]
 
휴가시 배낭속에 넣어갈만한 책 
놀러가는 휴가때 배낭에 채울 짐도 많은데 책을가져 가는 것은 얼핏보면 이치에 맞지 않은 행동이다. 하지만 이동중 가볍게 읽을만한 책 한권이 짐속에서 빠진다면 왠지모를 허전함 또한 우리는 한번쯤 경험해 본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책이 바로 삶의 중심에서 큰 부분을 ..
[2002-07-13]
 
국악도량 불락사 홈페이지 개통 
박범훈 교수가 이끄는 중앙국악관현악단, 경기민요 이수자 등 국악인들의 도량으로 자리잡아 온 지리산 불락사가 최근 홈페이지(www.bullarksa.or.kr)를 개통했다. ADSL을 망으로 개통된 불락사 홈페이지에는 불교음악이란 컨텐츠가 있어 눈길을 끌며 ..
[2002-07-12]
 
“미주 한국불교 현지화 필요한 때” 
"한국의 불교 전통과 수행을 미주 사회에 정립할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미주지역 포교 30년을 맞는 한국 불교의 과거를 되돌아보고 미래를 조망해보는 삼보사 창립 30주년 기념 심포지움이 7월 6일 미국 카멜 삼보사에서 열렸다. 스님과 학자, 관계전문가 ..
[2002-07-12]
 
한국의 정원 
우리의 전통정원과 외국 정원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무엇일까? 바로 우리의 옛 정원에는 분수가 없다는 것이다. 물은 높은 데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는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지 않는 한국인의 심성이 반영된 때문이다. 굳이 물의 흐름을 감상하고 싶을 때는 분수 ..
[2002-07-12]
 
법주사 삼존불, 인조 4년 조성 
국내 최대 좌불상(坐佛像)인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법주사(法住寺) 대웅보전(大雄寶澱.보물 제915호) 내 삼존불(三尊佛)이 1626년(조선 인조 4년) 조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이 불전의 해체복원에 앞서 삼존불의 복장유물을 발굴, 불상의 ..
[2002-07-11]
 
광덕스님 시봉일기 
금하당 광덕 스님(1927~1999) 시봉일기 일곱 번째 권이 나왔다. ‘사부대중의 구세송’이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책에는 칠보사 회주 석주 스님과 전국 비구니회 회장 광우 스님, 대한불교진흥원 서돈각 이사장, 무용가 홍신자 씨 등 사부대중 70여 명의 스 ..
[2002-07-11]
 
월정사 성보박물관 소장유물 도록 발간 
올해로 개관 3주년을 맞은 월정사 성보박물관이 소장유물 400여 점 가운데 대표적인 유물 160여 점을 담은 도록을 발간했다. 성보박물관이 소장유물 도록을 발간한 것은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이어 두번째다. 270여 쪽에 달하는 <월정사 성보박물관 도록>은 불 ..
[2002-07-11]
 
만해백일장 최고상 대통령상으로 격상 
만해백일장의 최고상이 대통령상으로 격상됐다. 만해백일장은 만해 한용운 선생의 사상과 문학혼을 기리고 그 정신을 후세에 알리며 문학인재 양성을 위해 매년 만해축전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다. 특히 올해로 4회째를 맞고 있는 만해백일장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짊어 ..
[2002-07-11]
 
새 국립문화재연구소장에 김봉건씨 
문화재청은 지난 6월 정년퇴임한 조유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 후임에 김봉건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공예실장을 임명했다. 김봉건 신임소장은 1956년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 건축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영국 런던대학 도시계획과에서도 ..
[2002-07-10]
 
선림원은 한국 선종 태동의 근거지 
‘하늘 아래 끝동네’라 불리는 강원도 양양 미천골 자연휴양림 입구에 자리잡은 선림원지(강원도 기념물 53호)는 진전사지(강원도 기념물 52호)와 더불어 우리 나라 선종의 개화를 살펴볼 수 있는 대표적 폐사지이다. 도의 선사의 전법제자인 염거화상이 주석했고, 염거 ..
[2002-07-09]
-10 이전 페이지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다음 페이지 +10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