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계종 종정 법수 스님 봉축법어 |
|
청산은 높은데 봉우리에 연꽃 구름은 운각을 짓고
원효성사는 좌선삼매에 빙그레 웃고 무설설하니
염불청산에 선여기도(善女祈禱)는 해탈관문을 수지하고
평산에 법고 울림은 흰 구름이 너울거리며
진여불의 화장세계는 운화정토(運華淨土)를 이루며 .. |
|
[2006-05-02 오전 11:44:00] |
|
|
|
무량종 종정대행 혜안 스님 봉축법어 |
|
부처님오신날 삼라만상이 봉축하는 소리 들리네.
인연 따라 자연의 질서는 한치의 오차도 어긋남이 없도다.
불광이 솟구치니 무명은 사라지고 탐심에 가리어 질서를 잃은 중생 불광을 보소서.
본래 마음이 부처이니 우리 모두 찾아 씁시다.
내 .. |
|
[2006-05-02 오전 11:42:00] |
|
|
|
불입종 종정 경조 스님 봉축법어 |
|
삼라만상의 진성(眞性)이 저마다 광명을 놓아 인연의 조화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무명업식에 가리운 중생들만이 오늘도 악업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부처님은 손수 지견[覺心]을 열어서[開] 보여주시고[示] 모두 깨달아[悟] 부처님의 경지로 들어가 .. |
|
[2006-05-02 오전 11:39:00] |
|
|
|
일붕선교종 종정 붕해 스님 봉축법어 |
|
唯觀心一法 摠攝諸行
一切諸法 唯心所生
若能了心 萬行俱備
오직 마음닦은 명상속에
한가지 방법만이 모든 수행의 방법을 총괄함이요
이세상 모든 것이 마음으로부터 시작되나니,
우리먼저 깨달아 삼천대천에 불국정토가 되리라.
.. |
|
[2006-05-02 오전 11:37:00] |
|
|
|
해동종 종정 혜봉 스님 봉축법어 |
|
보리수 아래 육년고행이 없었다면 어찌 今日黎明(금일여명)에 見明星(견명성) 하리오.
금세기에 들어서면서 인류는 극단적인이기 주의에 더욱 더 빠져 들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단절은 자신과 집단을 서로 다투게 하여 이 사회를 병들어 가게 함으로 .. |
|
[2006-05-02 오전 11:35:00] |
|
|
|
법륜종 종정 정각 스님 봉축법어 |
|
부처님의 자비 광명이 온 누리를 장엄하고 하늘위에나 하늘 아래에서 내가 가장 높다.
삼계는 괴로운 것이니 내가 마땅히 편안하게 해주리라하는 진리의 함성이 사바세계 방방곡곡에 가득히 울려 퍼지는 날입니다. 4월 8일 부처님 오심은 미혹한 중생들에게 .. |
|
[2006-05-02 오전 11:31:00] |
|
|
|
송광사 사천왕상, 불갑사 복장물 등 보물지정 |
|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조계총림 송광사 사천왕상(塑造 四天王像.보물 제1467호)과 사천왕상 복장유물(보물 제1468호), 영광 불갑사 불복장전적(佛腹藏典籍.보물 제1470호)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했다고 5월 1일 밝혔다.
송광사 천왕문에 자리 .. |
|
[2006-05-02 오전 11:25:00] |
|
|
|
조동종 종정 지명 스님 봉축법어 |
|
<반야경>에 이르기를 일체의 모든 존재의 법은 꿈이요, 허깨비요, 물거품이요, 그림자, 이슬, 번개불과 같으니, 이와 같이 관할지니라하였습니다. 본래마음 자리는 죄고 없고 복도 없는 것이다 하였는데, 그러나 어리석을 범부중생들의 욕심은 금, 은 보화가 하 .. |
|
[2006-05-02 오전 11:24:00] |
|
|
|
총화종 종정 동광 스님 봉축법어 |
|
세존께서 이 세상에 오시니 대광명 이로다.
모든 중생이다 기뻐하도다.
산천초목도 좋다고 춤을 추네.
사부대중 이 부처님의 가피를 입었도다.
물질 원소로 구성된 이 몸은 본래 참 생명이 잠시 입고 벗어버리는 옷에 지나지 않 .. |
|
[2006-05-02 오전 11:22:00] |
|
|
|
관음종 종정 남천 스님 봉축법어 |
|
佛來佛去 又來佛(불래불거 우래불)
花笑鳥歌 是亦佛(화소조가 시역불)
日光佛照 八千土 (일광불조 팔천토)
大地山河 如고日(대지산하 여고일)
人人各持 眞燈火(인인각지 진등화)
萬象無非 微妙法(만상무비 미묘법)
聽說依此 如修行(청설의차 여수행)
天 .. |
|
[2006-05-02 오전 11:18:00] |
|
|
|
“우리도 10종 대원 세우고 실천해야” |
|
통도사 전계사 혜남 스님은 4월 22일 열린 ‘한암대종사 수행학림’ 중 ‘화엄산림’에서 〈화엄경〉 39품을 보현보살의 10종 대원(大願)을 중심으로 법문했다. 혜남 스님은 〈화엄경〉을 크게 네 단락으로 나눈 뒤 신해행증(信解行證)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
|
[2006-05-02 오전 9:32:00] |
|
|
|
"한암 스님에 대한 관심 확산에 의의" |
|
“대중적 관심은 널리 확산됐지만 실제 참여한 대중은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참여한 사람들은 매우 의미 있고 좋은 수행 프로그램이라는 평가를 내렸습니다.”
근세 한국불교의 대표적 선승이자 조계종 초대 종정이었던 한암 스님을 배우는 6주간의 ‘ .. |
|
[2006-05-02 오전 9:25:0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