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9. 7.27 (음)
> 문화
 
중견 춤꾼들의 창작 한마당 
한국무용연구회(이사장 윤덕경)가 주최하는 ‘제17회 한국무용제전’이 오는 11월 22일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열린다. 한국무용제전은 중견 한국무용가들이 새로운 창작춤을 선보이는 행사로서 임학선 성균관대 교수는 ‘점-선-원-점’의 반복구조로 짜여 ..
[2002-11-20]
 
구미 도리사 아도화상 동상 제막식 가져 
구미 도리사(주지 법등스님)는 신라에 처음으로 불교를 전한 아도화상의 동상 제막식을 11월 17일 봉행했다. 육법공양, 종사영반, 법문, 축하공연 등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조계종 원로회의 의장 도원스님, 직지사 회주 녹원스님, 경상북도 엄이웅 정무부지 ..
[2002-11-20]
 
‘무얼하러 오셨는가’ 
무얼하러 오셨는가>는 걸레스님으로 불린 중광 스님의 일상을 담은 책이다. 중광 스님이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3년간 곁에서 시봉했던 사진가 정봉문씨가 흑백 사진 90여컷과 관련된 이야기들을 펼쳐놓았다. 중광 스님을 시봉하면서 만난 사람들과의 에피소드 ..
[2002-11-19]
 
국보ㆍ보물 64%가 불교문화재 
우리나라 국보, 보물의 64%가 불교문화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유형문화재 중 불교문화재가 차지하는 비율은 55%에 달했다. 이 같은 사실은 조계종 총무원이 최근 발간한 <불교문화재 지정 현황 목록>(이하 지정 목록)에서 밝혀졌다. <지정 목록>에 ..
[2002-11-19]
 
북한의 고구려 유물 250여점 서울 나들이  
;남한의 금동미륵반가상(국보 제 118호)과 북한의 국보 문화재 ‘영강(永康) 7년(551)명 금동광배’가 서울에서 반세기만에 상봉한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이하 민화협)는 다음달 6일부터 내년 3월6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특별전시장에서 ‘특 ..
[2002-11-18]
 
지금 우리는 왜 인디언에 열광하나? 
최근 인디언의 삶을 주제로 한 책들이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일부에서는 틱낫한, 달라이라마 책의 열풍을 이을 또 하나의 ‘마음 공부’ ‘영적 수행’ 이야기의 확산으로 바라보기도 한다. 왜, 지금 우리는 인디언에 관심을 갖는가? 그것은 분명 우리가 지금 살 ..
[2002-11-18]
 
대장경 보존 방안 마련에 부심 
해인사와 문화재청이 대장경 보존상의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마련에 나서고 있다. 문화재청은 지난 1972년 설치된 법보전과 수라다전 남쪽 신판가는 경판보존상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따라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철거키로 결정하고, 신판가의 경판들은 종합적인 연 ..
[2002-11-16]
 
부처와 아인슈타인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아인슈타인과 부처’ 토마스 J. 맥팔레인 지음 / 강주헌 옮김 황소걸음 / 1만원 “욕망을 버리지 못한 인간은 덫에 걸린 토끼처럼 사방을 헤집고 다닌다. 그러므로 중생이 스스로 무욕의 경지를 추구함으로써 욕망을 떨치게 하라.”(부처) “인간 본연 ..
[2002-11-16]
 
도피안사 개산조 원적 3주년 추모전시회 
“전법으로 보리를 이루라.” 마지막 순간까지 전법의 사명을 강조했던 금하당(金河堂) 광덕(光德) 스님이 원적 3년여만에 서울에서 환생한다. 수묵으로, 유화로, 사진으로 그리고 조각과 도자기로 환생해 무언의 장광설을 펼친다. 22일부터 불일미술관서 ..
[2002-11-15]
 
쉽고 재미있게 읽는 큰 스님 이야기 
고승열전 시리즈 24권 윤청광 지음 우리출판사, 각권 1만원 달라이라마와 틱낫한. 요즘 불교 서점가에는 이 두 스님의 책을 빼고서는 이야기가 되지 않을 정도다. 우리 스님들의 에세이나 법문집도 많이 있지만 유독 이 두 스님의 책이 베스트셀러 자리를 굳건 ..
[2002-11-14]
 
제5회 국립박물관 동원학술전국대회 
제5회 국립박물관 동원학술전국대회가 11월 16~17일 국립경주박물관 강당에서 열린다. (사)한국고고미술연구소(이사장 지건길)가 주최하고 국립중앙박물관이 후원하는 학술대회는 첫날 연구발표와 둘쨋날 조사발표로 나눠 모두 8편의 논문이 발표된다. 첫째날 ..
[2002-11-14]
 
잘 쉬려면… 
“정신없이 바쁘다.” “시간이 없다.” 자, 지금 자신에게 물어보자. 위에 나열한 두 마디를 오늘은 몇 번이나 했던가? 바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상한 일로 치부되는 것이 현대인의 일상이다. 한자어로 바쁘다는 뜻을 지닌 단어는 망(忙)이다. ..
[2002-11-13]
-10 이전 페이지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다음 페이지 +10
 
   
   
   
2025. 9.1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