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이타와ㆍ럭나우 개종식 개최 |
|
인도 UP주 이타와와 럭나우에서 12월 14일과 17일 각각 3,000명과 300명이 참석하는 개종식이 열린다.
프라가난다 스님이 수계를 하는 이번 개종식은 지난 10월 20일 개최 예정이었던 대규모 개종식이 주 정부의 불허로 무산되자 각 지역별 소규모 .. |
|
[2002-12-09] |
|
|
|
미군 장갑차 희생 여중생 추모 전국 확산 |
|
미군 장갑차에 의한 여중생 사망사건 무죄평결에 항의하고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개정을 촉구하는 불교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불교계는 12월 4일부터 추모법회, 3보1배, 108배 항의집회를 갖는 등 여중생 추모와 SOFA 개정운동을 확산시키고 .. |
|
[2002-12-09] |
|
|
|
진각종 의료법인 설립 |
|
진각종(통리원장 효암)은 12월 17일 열릴 임시중앙종회에 의료법인 설립추진계획을 보고하는 한편, 종회의 의결을 거치는 대로 의료법인 설립 실무를 추진할 ‘(가칭)진각의료법인 설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다.
진각종은 설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되는 대로 의료 .. |
|
[2002-12-09] |
|
|
|
불교정보화협의회 총회, 건의문 채택 |
|
불교정보화협의회(회장 현성)는 11월 29일 오후 6시 창립총회를 갖고 회칙을 확정했다.
회원으로 참여한 14개 종단과 단체 가운데 10개 종단ㆍ단체 대표가 참가한 이날 총회에서는 캠페인 세미나 등 향후 사업계획도 세웠다.
특히 협의회는 도심외곽 .. |
|
[2002-12-07] |
|
|
|
불교성지 맥 끊은 미륵산 케이블카 반대 |
|
미륵산 케이블카를 둘러싸고 미륵산을 수호하려는 불교계, 시민환경단체와 통영시와의 갈등이 용화사 산문폐쇄라는 극단의 조치를 앞두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12월 16일부터로 예정된 용화사(주지 선곡)의 산문폐쇄는 통영사암연합회(회장 선곡)와 통영환경운동연합을 .. |
|
[2002-12-07] |
|
|
|
부장검사직 내놓고 법문집 번역한 최순용 변호사 |
|
;국가 또는 공익의 대표자로서 공권력의 상징처럼 여겨져온 검사. 특히 ‘검찰의 꽃’이라고 하는 부장검사는 소시민들에게는 공익의 수호자로서 보다는 권력의 상징처럼 두려운 존재로 인식되어 온 게 사실이다.
‘부장검사’라는 이런 막강한 권력을 누리던 사람이 이것 .. |
|
[2002-12-07] |
|
|
|
불교단체, 미군 참회 108배 삼보일배 |
|
미군 범죄 근절과 SOFA 개정을 위한 불교대책위원회(준)는 12월 5일 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미군 참회와 SOFA 개정을 위한 범불교도 108배 정진’을 실시했다.
불교인권위원회 공동대표 진관스님, 대한불교청년회 김규범 회장 등 불교사회단체 임원 및 .. |
|
[2002-12-07] |
|
|
|
불교 진각종, 소의경론 전산화 끝내 |
|
불교 진각종이 대일경, 금강정경 등 소의 경론(經論)을 전산화하는 디지털 불사를 완료해 눈길을 끈다.
불교 진각종은 창종주 회당 대종사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올해 초 시작한 소의경론(所依經論)의 전산화 작업을 완료하고 한 장의 CD에 담아 최근 불자들에 .. |
|
[2002-12-06] |
|
|
|
세계불교정상회의, 세계 평화 기원 |
|
세계불교정상회의(WBS)가 5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개막됐다.
이번 회의는 '용서하고 잊자. 그리고 보복의 악순환을 끝내자'라는 주제로 전세계 16개국 1천700여명의 불교계 지도자들이 참석, 테러와 이라크 전쟁 위기로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진 지구 .. |
|
[2002-12-06] |
|
|
|
北 사찰 30여곳 단청지원 |
|
조국평화통일불교협회(회장 법타, 평불협)가 북한 사찰 30여 곳에 단청을 지원해주기로 조선불교도연맹(위원장 박태화, 조불련)과 합의했다.
11월 26일부터 12월 3일까지 조불련의 초청으로 방북한 평불협은 12월 5일 “박태화 위원장, 심상진 서기장 등과 .. |
|
[2002-12-06] |
|
|
|
北, 불교도 반미투쟁 촉구 |
|
북한이 5일 남북한 전체 불교들의 반미투쟁을 촉구하고 나섰다.
북한 조선불교도연맹 중앙위원회 리혜안 책임부원은 이날 평양방송 '연단'프로그램에 출연, "지금 우리 공화국을 힘으로 압살하고 북남관계 개선과 조국통일을 가로막으려는 미국의 책동이 극도에 이르고 .. |
|
[2002-12-06] |
|
|
|
<역사 속의 한국불교> 펴낸 역사학자 이이화 씨 |
|
;“한국사 속의 불교는 우리 역사와 문화를 창조하고 계승해온 원동력이었습니다. 그러나 오늘의 불교는 그러한 역할을 제대로 해내지 못하고 있다는 안타까움으로 글을 썼습니다.”
우리 역사 대중화에 앞장서온 역사학자 이이화 씨(65)가 한국불교의 역사적 실체와 .. |
|
[2002-12-06]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