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율사였던 신라시대 자장 스님은 영축산에 통도사를 창건했다. 자장 스님이 통도사라 이름한 것은 만법을 통달해 일체 중생을 제도한다는 뜻과 산형이 인도 영축산과 통한다는 뜻 외에 전국의 모든 스님이 금강계단(金剛戒壇)에서 계를 받아 득도(得度)한다는 뜻이었다. 지계 근본도량 영축총림 통도사 율주로 한국불교 정통 계맥 부흥을 위해 정진중인 혜남 스님을 찾았다.
출가 전 <맹자> 등을 읽으며 사람 사는 도리에 고민이 많았던 스님은 인(仁), 의(義)를 실천한 성군(聖君)도 죄 없는 이만 죽이지 않았을 뿐이라는 생각, 세상에서 출세하는 것은 남을 짓밟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풀 벨 때 잘린 마디에서 액이 솟는 것이 피로 보였습니다. 생명을 죽이며 사는 것이 아닌 살리며 사는 방법을 고민하다 출가했지요.”
20세 가출하듯이 찾은 관룡사에서 낮에는 잡일하며 밤이면 주지 현극(玄極) 스님에게 시 한수씩을 배웠다. 제대 후 현극 스님을 다시 만나지 못한 스님은 군대 시절 부산 대각사에서 법문 들은 것을 인연으로 경우 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스님이 통도사 강원과 남양주 흥국사 강원 등을 거쳐 결제중인 묘관음사를 찾았을 때다. 향곡 스님이 “결제 중에 방부 붙이는 것이 가당키나 하냐?”고 묻자, 혜남 스님은 “발심하는 순간이 결제”라고 대답했다. “말은 그럴 듯해도 안 된다”는 향곡 스님에게 혜남 스님은 9번 절을 올렸다. 향곡 스님은 “절만 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라고 거절했다. 하는 수 없이 묘관음사를 입방을 포기하려다 입승스님의 배려로 우여곡절 끝에 결제 중에 묘관음사에서 안거할 수 있었다.
3대 관음도량인 남해 보리암ㆍ양양 낙산사 홍련암ㆍ강화 보문사와 통도사를 제외한 4대 보궁을 두루 다니며 기도 정진한 스님이 인천 용화사에서 안거하던 때다. 1970년 세계불교도대회때 전강 스님과 경봉 스님이 나눈 법거량을 보고 경봉 스님이 주석한 통도사 극락암을 찾았다.
“몇 철 선방살이를 했지만 혼침(昏沈: 몽롱함)과 도거(掉擧: 산란함)에 공부가 앞으로 가는지 뒤로 가는지 알 수 없었어요. 차라리 경전이나 제대로 봐야겠다는 생각에 해남 대흥사를 찾아 공부했지요.” 혜남 스님은 1977년 운기(雲起) 스님에게 전강 받았다.
1981년부터 1991년까지 일본 대정대(大正大)에서 학부에서 박사과정까지 마쳤다. 일본 유학 후 해인사 강주를 시작으로 혜남 스님은 중앙승가대 등에서 후학양성에 힘써왔다.
올해 중앙승가대 역경학과 교수를 정년퇴임한 스님은 “불전 번역을 위해서는 언어 구사뿐 아니라 작가의 마음에 계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언ㆍ다라니 등도 우리말로 풀이하려는 세태에 대해 스님은 ‘다라니(陀羅尼)’처럼 비밀한 뜻이 있는 것, ‘바가범(薄伽梵)’ 같이 한 단어가 여러 뜻을 내포하고 있는 것, ‘염부제수(閻浮提洲)’처럼 중국에 없는 단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와 같이 고래로 번역하지 않는 말, ‘반야’처럼 존중의 의미에서 번역하지 않은 것 등 현장의 ‘오종불번(五種不飜)’을 인용해 설명했다.
“일본에 참외장사가 스님에게서 ‘오무기고무기 니쇼한(大脈小麥二升半, 보리나 밀이나 두되 반)’이라는 말을 듣고, 화두삼아 궁리하다 신통을 얻었어요. 나중에 알고 보니 <금강경>의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을 잘못 알아들은 것이었죠. 그 다음부터는 신통이 사라졌어요. 때로는 모르는 것을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머리로 알려고 할수록 수행과는 멀어집니다.”
혜남 스님의 교육은 ‘자조(自助)ㆍ자주(自主)ㆍ자립(自立)’에 바탕한 교육으로 덕망 높다. ‘스스로(自)’를 강조한 교육 이념은 계율에 대한 스님의 설명에서 드러난다.
“‘sila’를 번역한 ‘계’는 스스로에 대한 맹세(自誓)로 좋은 습관을 스스로 들이는 것을 말합니다. 부처님 재세 시에는 불자들이 ‘(오계를 지키며 살기를) 노력하겠습니다’라고 스스로 맹세하고 부처님이 잠자코 승인하시는 것으로 계가 성립됐지요. 자기 뜻에 의한 것이기에 계는 강제성이 없어요.”
반면 율(vinaya)은 출가 수행자들이 승단에서 지켜야할 최소한의 규칙으로 타율적이다. “출자가자 율을 어기면 오편칠취(五篇七聚)라 해서 벌을 받습니다. 그럼에도 율을 비구 250계와 비구니 348계라 한 것은 타인의 제재(制裁)가 무서워 억지로 지키는 것이 아닌, 주인공 된 삶으로 ‘스스로’ 계의 정신으로 율을 지키라는 의미에서 계라 번역한 것입니다.”
| |||
“서울의 사대문도 오계를 말합니다. 흥인지문(동대문)은 측은지심으로 길러지는 인(仁)으로 불살생을, 서쪽의 돈의문(서대문)은 불투도를, 남쪽의 숭례문은 불사음을, 북쪽의 홍지문은 지(智)를 뜻해 불음주를, 중앙의 보신각의 신(信)은 불망어를 뜻하지요.”
스님은 불살생계를 예로 삼취정계(三聚淨戒, 섭율의계ㆍ섭선법계ㆍ섭중생계)를 강조했다. “살생은 목숨 가진 것뿐 아니라 남의 아이디어를 사장시키는 것도 살생이에요. 살생 않는 수준을 넘어 생명을 살리고 자비심을 지니는 것이 진정한 불살생계지요. 머리는 좋으나 형편이 어려워 학업을 중단한 사람을 위해 장학사업을 하는 것이나, 병든 사람 등을 위한 복지사업 등도 모두 불살생계를 지키는 것으로 섭선법계로 자비심을 키우는 것입니다.”
혜남 스님은 “불투도계는 남에게 베풀고 나눠주는 것, 불사음계는 심신청정을 넘어 사회와 국토를 청정하게 해 불국토를 이루는 것, 불망어계는 바르고 진실된 말 등을 통해 믿음(信)이 가득한 사회를 만드는 것, 불음주계는 지혜롭게 사는 것을 뜻한다”며, 자리(自利)와 이타(利他)를 겸한 지계를 강조했다.
“술 먹고 낮잠 자던 사람이 있었어요.(불음주계) 잠자는데 시끄럽다며 닭을 죽였지요.(불살생계) 죽인 닭을 몰래 먹고는(불투도계) 닭 찾으러 온 여주인을 겁탈까지 했어요.(불사음계) 관아에 끌려가서는 아무 짓도 안했다고 거짓말했고요.(불망어계) 부처님 연기법처럼 하나의 계에도 나머지 계가 모두 담겨있습니다.”
어렵고 엄하기만 했던 계율이 스님의 대기설법에 연기(緣起) 속 하나 된 부처님 자비를 느끼게 했다. “불자라면 삼보에 귀의하고, 사홍선원과 오계는 반드시 지켜야합니다.” 율을 바로 세우는 율주답게 말씀을 끝마친 혜남 스님은 ‘스스로’를 통해 부처 삶을 증명해 가는 선지식이었다.
혜남 스님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