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5 (음)
> 신행 > 수행
"내 면목 깨달으면 행복은 지금 여기에"
설선대법회 지상중계<5>-현산 스님(화엄사 선등선원장 )


<금강경>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약유선남자 선여인(若有善男子 善女人)
초일분 이항하사등신보시(初日分 以恒河沙等身布施)
중일분 부이항하사등신보시(中日分 復以恒河沙等身布施)
후일분 역이항하사등신보시(後日分 亦以恒河沙等身布施)
여시무량백천만억겁 이신보시(如是無量百千萬億劫 以身布施)
약부유인 문차경전 신심불역 기복승피(若復有人 聞此經典 信心不逆 其福勝彼)



4천여불자들이 모여 열린 설선대법회에서 현산 스님은 "일체 중생은 반드시 간화선을 해야 빨리 도업을 이룰 수 있다"는 대혜종고 스님의 말을 인용해 참선수행을 열심히 하기를 강조했다


선(禪) 도리는 공(空)의 도리입니다. 깨달음의 바탕은 공입니다. 우리 몸이라는 것이 얼마나 귀중합니까? 그런데 아침나절에 항하사(인도 갠지스강 모래) 같은 한량없는 몸으로 보시하고 점심ㆍ저녁에 보시를 해서 무량백천만억겁을 몸으로 보시할지라도 <금강경>을 듣고 믿는 마음이 거슬리지 아니하면 그 복이 더 빼어나리라 하는 것입니다.

임제종 양기파의 원조인 양기방회 선사께서 선방수좌였을 때 자명 스님을 모시고 지냈는데 공부가 잘 안 되더랍니다. 그럴 때마다 자명 스님께 어떤 것이 선이냐고 물어보면 스님 하시는 말씀이 “나는 자네보다 못하네. 스스로 깨닫게나”하고 말씀하셨답니다. 또 한참 공부하다가 “어떤 것이 도입니까?”하고 물어보면 자명 스님께서 “나는 자네보다 못하네. 스스로 깨닫게나”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어느 날 자명 스님을 모시고 어디를 가게 됐어요. 그 때 화두를 들고 가다가 간절히 깊은 생각이 솟아올라 자명 스님에게 묻기를 “스님, 이 자리에서 일러주시오. 일러주시지 않으면 스님을 주먹으로 한 대 치겠습니다” 하니까 자명 스님이 목에 힘을 주고 말씀하시기를 “나는 자네만 못하네. 스스로 깨닫게나.” 이 말에 확철대오를 했습니다. 이 말이 법을 일러준 것이 아닌데 양기방회 선사는 지극한 신심으로 도를 구하고, 선을 구하는 지극한 마음 때문에 깨달은 것입니다. 신심이 지극하면 바로 도원(道原)이라. 신심은 도의 근원이요 공덕은 도의 어머니입니다.

옛 조사가 이르시기를 모든 물질을 볼 때 수행자는 항상 마음을 본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주장자를 들며) 그러면 여러분 이것을 보십시오. 이것이 물질이라면 어떤 것이 마음이며, 마음 없이는 볼 수 없으니까 이것이 마음이라면 어떤 것이 물질이겠습니까? 마음이면서 물질인 것이 항상 나타나거늘 물질을 제쳐놓고 마음을 찾으려고 하다 보니까 그것이 잘 되지 않는 것입니다.

또 이르시기를 이 선을 알고자 하거든 세 가지에 다 드러나 있다, 무엇이냐. 색(色), 색이란 물질이고, 성(聲)은 소리, 언(言)이라는 것은 말, 이것이 선입니다. 바로 선이예요. (주장자를 치시며) 이 소리가 바로 선입니다. 산승이 말하는 이것이 바로 선이예요.

이 선의 길이라는 것은 비사량처(非思量處)라. 생각으로 무엇이다 짐작하면 그건 틀렸습니다. 바로 이 말을 듣는 그 자리가 환하게 드러나야 됩니다. 이런 것을 생각으로 따지고 분별하면 안 됩니다.

어느 날 두 스님이 깃발이 펄럭이는 것을 보고 깃발이 움직이느냐, 바람이 움직이느냐를 놓고 해결을 못하고 있었어요. 그때 육조 스님이 나서서 “바람도 움직이는 것이 아니요, 깃발도 움직이는 것이 아니요, 그대들의 마음이 움직이는 것이요”라 했습니다. 참 쉬운 말 같지만 격식과 종파를 뛰어넘는 무서운 소리입니다.

옛날 법안 선사가 육조 스님의 이 마음이 움직인다는 말씀을 평하기를 “그것은 마음을 깨달은 이의 경계를 나타낸 바다. 바로 이렇게 마음을 보고 한 소리지 절대 딴 곳에서 나온 말이 아니다. 육조 스님의 깨달은 바를 바로 표시한 말이다”라고 평했습니다. 선이라는 것은 바로 막힌 곳을 뚫어서 알아야지 분별로 헤아려서 아는 도리가 아닙니다. 이렇게 막힌 것을 뚫어내는 것이 선인데 이리저리 따지면 선하고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한 줌의 재가 될 몸뚱이를 나라고 하고,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는 이것은 망심인데 이것을 내 마음이라 본심이라 착각하고 천년만년 살 것 같이 목에다 힘주고 나(我)다 하고 말합니다.
이것을 때려 부수는 것이 <금강경>의 도리예요, 선이고.

아상 인상 중생상, 나다, 나는 사람이다, 나는 중생이다, 나는 얼마 살다가 죽는다, 내가 무엇인데 지금 내 말을 듣는 그것이 무엇이야? 이 몸뚱이를 착각해서 나라고 집착하지만 내가 딱 죽어봐, 썩은 송장덩어리야. 아무리 잘난 사람, 잘난 남자, 여자도 다 소용없어요. 무엇을 주고 무엇을 사랑하고 그럽니까? 여러분의 본심체를 깨닫는 이 좋은 선 도리, 한량없는 선근이 없으면 선의 도리를 믿지 않습니다. 3만 개의 보물을 던질지라도 이 선의 도리는 만나기 힘들어요.

“어떤 것이 부처냐”하고 물으니까 임제 스님이 말씀하시기를 “지금 내 법문 듣는 여러분이 부처다”하고 답했습니다. 여러분이 바로 부처요. 온갖 일 다 분별하고 생각하는 신통력이 갖춰져 있는 여러분의 그 마음자리, 그것 없이는 아무 것도 할 수가 없습니다. 산산수수 각각 꽃피고 새 울고 봄이 오고 가을이 가고, 전부 다 이 마음 드러낸 소식입니다.
부처님이 꽃을 들어 보인 것도, 달마 대사가 면벽을 하고 계신 것도 이 마음을 보이기 위한 것입니다. 이뭣고, 이뭣고 하는 그 간절한 생각, 이 마음이 여러분을 영원한 행복의 길로 인도합니다. 가장 가까이 있는 내 면목을 깨달아야 참 행복을 느낄수 있습니다. 참 지혜가 드러나고, 세상을 근심 걱정 없이 행복하게 사는 비결 또한 바로 거기에 있습니다.
이 몸뚱아리는 하찮은 것입니다. 별 볼일 없이 욕망만 키우다가 죽으면 축생이나 다름없어요. 여러분이 참으로 부처님 제자이고 사람일 것 같으면 (주장자를 한번 치시고) 이 도를 위해서 생명을 바쳐야 됩니다. 그래야 성과가 있어요.
거기에 무한 자비와 무한 지혜가 본래 다 갖추어 있습니다.
큰 원력을 가지고 세상을 크게 보세요. “지금까지 내가 내 일을 못하고 미혹하게 얼마나 많은 고통을 받으며 윤회하며 살아왔던가. 부처님의 위대한 법. 이 법을 만났을 때 내가 나를 깨달아야지” 이런 간절한 마음을 내고 또 내어서 수행할 적에 여러분의 가정이 행복해지고 사회가 평안해지고 국가가 부강해지고 온 세계가 화평해질 겁니다.

대부분의 중생들은 매일 미워하고 증오하며 살고 있습니다. 알게 모르게 나쁜 생각, 나쁜 짓도 잘 해요. 악한 중생이라도 품어 안아 자비로 다스려서 고통을 면해주는 것이 부처님의 대자대비입니다. 부처님은 자비심 덩어리예요. 평소에 늘 참회하는 삶을 사세요. 부처님과 같은 자비심을 가지고 자비를 실천할 때 모든 업이 녹아지고 지혜가 상승하며 공부가 뚫리게 됩니다.

이 좋은 법을 이 자리에 있는 여러분만 갖고 갈 것이 아니라 소중한 인연들을 이 법당에 동참시켜서 나와 더불어 모든 중생이 다 같이 성불하기를 발원합니다.



법문하고 있는 현산 스님.


현산(玄山) 스님은

·1943년 전남 담양生.

·61년 도천 스님(현 화엄사 조실)을 은사로 출가.

·64년 동산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 수지.

·전강 경봉 구산 춘성 스님 등 제방선원의 조실스님을 모시고 40여 년간 수행.

·78년부터 조계총림 송광사 유나를 시작으로 제방 선원의 입승 선덕 한주 역임.

·현재 조계종 전국선원 수좌회 공동대표




스님께 묻습니다

사회 : 화랑 스님(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장)

질의 법사 : 종대 스님

·태안사 선원장 역임
·현 벌교 동화사 주지

재가 질의자 : 박근호 거사

·조계종 전법사, 포교사, 부산불교수계회·부산불교불선회 초대회장, 전국불교교정인연합회 부회장 및 영남지부장 등 역임
·현재 부산경남 포교사단 수석 부단장



의심 덩어리 홀로 드러날 때까지…


종대 스님 : 제가 부끄럽게도, 유년에 출가해서 지금 수행하는 데 있어 어려운
질의 법사 종대 스님.
때가 많이 있어서 게으르고 나태해진 적이 있었습니다.

특히 헤어나오지 못할 정도로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운서주굉 선사의 행장을 보면서 재발심했던 생각이 납니다.

그 스님 행장 어록에, 당신께서도 부처님께 절하기도 싫을 정도로 그렇게 어려움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때 부처님께 참회하고 재발심했다는 대목을 읽었습니다.

제가 운서주굉 선사의 그 어록을 보면서 피눈물나는 참회를 통해 다시 발심을 하게 됐습니다. 이 설선법회에 모이신 모든 대중들이 운서주굉 선사와 같이 부처님께 먼저 참회를 통해서 수행을 일구어가는 그런 불자가 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스님께 묻습니다.
우리가 수행, 수행, 합니다. 과연 수행의 요체, 수행의 본사(本事)는 무엇인지요?


현산 스님 : 옷 입고 밥 먹는 것입니다. 옷 입고 밥을 먹되 옷 입은 생각도 없고 밥 먹는 생각도 없는, 그런 경지의 옷 입고, 밥 먹는 것이지요.



종대 스님 : 화두를 들고 참선하는 것에 있어 후퇴하지 않고 정진하는 향상일로(向上一路)에는 천 명의 성인(聖人)도 전할 수 없는 도리가 있다고 합니다. 그러면 천명의 성인도 전할 수 없는 도리는 어떤 것입니까?


현산 스님 : 어려운 질문인데, 쉽게 표현하자면 그대가 묻고 대답하는 이것입니다.


종대 스님 : 스님의 가풍은 무엇입니까?


현산 스님 : 봄이 오니 꽃이 피고 새가 울며, 가을이 오니 단풍이 져 낙엽이 지도다.


박근호 : 불자들을 대신해 몇 가지 다음 질문을 드립니다. 첫째, 의단독로(疑團獨露) 공부 내용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만일 의단독로가 안 될 때에는 어떤 공부를 해야 합니까?

현산 스님 : 요긴한 질문을 해 주셨습니다. 참선인이라면 누구나 다 의단독로를 바라고 있고, 그렇게 되어야만 깨달음에 이를 수 있습니다. 그것이 한꺼번에 그냥 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마는 그렇게 잘 되지를 않습니다.
의단독로란 오직 의심덩어리가 홀로 드러나는 것을 말합니다. 처음 시작할 때는 공부가 잘 안 됩니다. 그러다가 의단이 독로되려고 하면, 샘에서 물이 졸졸졸 흘러나오듯 의심이 저절로 솔솔솔 계속 끊이지 않고 이어집니다.

그러다가 그 의심 덩어리가 심식(心識)과 하나가 되어서 하늘을 봐도 하늘을 볼 수 없고 오직 의심 덩어리요, 땅을 봐도 땅을 볼 수 없고 오직 의심 덩어리요, 가도 간 바를 모르고 오직 의심 덩어리요, 앉아도 앉은 줄 모르고 오직 의심이라. 밥을 먹어도 오직 의심, 의심 하나가 되어버리는 이런 경지를 의단독로라고 합니다.

그렇지만 의단독로가 쉽게 오는 것은 아닙니다. 옛날 큰스님들조차도 수십 년 수행으로도 의단독로가 힘들었습니다. 부단히 애를 쓰다가, 기연이 닿아서 의단이 독로되는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잘 안 되더라도 포기하지 말고 간절한 생각을 가지세요.

화두마다 의심을 드는 법이 따로 있거든요. ‘무(無)’자 같으면 “일체 중생이 불성이 있는데 어째서 무라고 했던고…” 라는 생각을 하면서 선사가 가르쳤던 도리에 대한 의심을 일으켜 의정(疑情)을 발하면 그게 점차 커지면서 의심 덩어리가 점차 불어납니다.

‘조사서래의(祖師西來意)’는 달마 스님이 서쪽에서 오신 까닭을 묻는 거예요. 문자로 표현하자면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이라. 곧 사람의 마음을 바로보아 성불케 하는 것이 본 뜻입니다. 어떤 것이 견성성불인가 라는 질문을 바꾸어서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이 무엇입니까?’하고 물었는데 답하시기를 판치생모(板齒生毛)니라. 판자이빨에 털 났느니라. 어째서 판치생모(板齒生毛)라 했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어. 그러니 그러한 본의를 간절히 잘 참구해 나가면 의단독로가 될 시절이 반드시 옵니다.


박근호 : 이번
재가 질의자 박근호 거사.
법회 주제가 ‘간화선 대중화를 위한 10대 선사초청 범어사 설선대법회’ 즉 ‘선, 문 없는 문을 열다’입니다. 간화선이란 무엇이며, 묵조선은 무엇인가요? 간화선과 묵조선에 대한 상세한 설명 그리고 그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현산 스님 : 간화선을 알기 전에 먼저 조사선을 알아야 합니다. 조사선이라는 것은 깨달음을 완성한 조사스님께서 이미 이루어져 있는 깨달음의 세계를 목전에 드러낸 법문입니다. 조사스님께서 탁 드러낸 그 경계가, 그 말씀이 곧 화두입니다. 조금 전에도 예를 들었지만 ‘무(無)’ 자나 ‘판치생모’나 ‘정전백수자(庭前栢樹子)’등 천 칠백 공안이 있습니다. 화두를 들어 깨달음에 들어가는 것을 간화선이라고 합니다.

경이로운 자리를 관조해서 보는 것이 묵조선입니다. 옛날에는 수행자들의 근기가 수승해서, 묵조선을 해도 유명한 조사가 나왔습니다만, 말세에 갈수록 묵조선을 해 가지고는 무기공(無記空)에 떨어지거나, 삿된 데 떨어져서 이상한 경계에 팔리거나 도를 이룬 사람이 없어요.

그래서 대혜종고 선사께서 “말세 중생은 반드시 간화선을 해야 합니다. 간화선이 말하는 그 알 수 없는 도리를 함축해 담은 화두를 들어야 합니다. 화두를 들되 고요한 경지에만 머물지 말아야 합니다. 간화선 수행을 해 나가면 반드시 삿된 데 떨어지지 않고 빨리 도업을 이룰수 있습니다. 빨리 마음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누누이 강조하셨습니다. 그래서 대혜종고 선사 밑에서 도인이 제일 많이 나왔습니다.

요즘 사람들은 간화선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장맛이 짠 줄 아는 사람은 다 간화선을 할 수 있습니다. 수저 하나 들 수 있어도 다 간화선을 할 수 있어요. 왜 그러냐 하면 간절히 믿기만 하면 반드시 되고, 이것은 최상승선이며, 믿는 사람은 다들 그렇게 최상승의 근기가 되어 버립니다.


박근호 : 마지막으로 여쭙겠습니다. 달마 스님께서 그 많은 대승경전 가운데서 선의 소의경전으로 <능가경>을 택하신 이유가 어디에 있습니까? 또한 중국 선종에서는 소의경전이 <능가경>과 <금강경>인데 스님께서는 <능가경>과 <금강경> 중 어느 경전이 선의 소의경전으로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현산 스님 : 선의 소의경전으로서 선사상을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인 것이 <금강경>입니다. <금강경>이 선을 하는 사람한테는 가장 좋습니다. 한국의 스님들은 거의 다 <금강경>을 소의경전으로 해 왔습니다.

중국에서도 5조 때부터 <금강경>이 소의경전으로 되서 계속 그렇게 내려 왔어요. 가장 가깝게 선 사상을 드러내 보인 것이 <금강경>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능가경>은 유식 사상 즉 일체가 마음이 근원이라는 마음자리를 경 중에서는 가장 잘 나타내 보였기 때문에, 그리고 여래장사상, 공사상 이 세 가지가 <능가경>에 체계적이고 조리정연하게 잘 나타나 있기 때문에 선택됐던 겁니다. 그때는 선종을 잘 몰랐기 때문에, 그런 사람을 잘 이끌려면 <능가경>이 당시에 가장 좋은 경이었어요. 체계적이고 논리적이고 많은 사람들을 선사상에 근접하게, 잘 가까이 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경이 <능가경>이기 때문에 달마 스님께서 <능가경>을 소의경전으로 했지요.

그 뒤에 선이 보급화되고 널리 알려지고 나서는, 선 사상을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인 <반야경>의 핵심 <금강경>이 소의경전으로 정해졌습니다.

참으로 있는 것은 있는 것이 아니고 참으로 없는 것은 없는 것이 아닌 진공묘유(眞空女少有)의 도리를 잘 드러낸 것이 <금강경>이기 때문에 소의경전이 된 겁니다.
정리=강지연 기자·사진=고영배 기자 |
2005-04-09 오전 10:24:00
 
한마디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