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체만법이 모두 다 자기의 몸과 마음 가운데 있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어찌 자기 마음을 좇아 단박에 진여의 본성을 나타내지 못하는가?”
<육조단경>에서 혜능 선사는 반복해서 ‘돈오견성(頓悟見性)’을 강조한다. 즉 ‘단박에 깨쳐 본래 불성을 바로 보라’는 것이다. <육조단경>은 중생심을 마음의 근본자리인 ‘불성’으로 돌이키는 길을 제시한다. 깨달음의 주체가 불성이고, 그 불성의 작용이 지혜임을 밝히고 있다.
즉 망념에 사로잡힌 중생심을 불심으로 전환시키는 자각, 이것이 ‘식심견성(識心見性)’이며 ‘지금, 여기, 자기’를 늘 들여다본다는 ‘일행삼매(一行三昧)’다.
혜능 선사는 <육조단경>에서 반야와 불성사상을 통합, 선수행으로 전개하도록 새로운 선불교의 실천체계를 확립했다. 대승불교의 반야와 불성사상을 ‘생활선(生活禪)’의 형태로 녹인 점, 불성사상의 구체적인 실천사상으로 무념(無念)을 종으로 삼고, 무상(無相)으로 체를 삼으며, 무주(無住)로 근본을 삼은 것이 그 실례다. 결국 <육조단경>은 조사선이라는 생활종교를 중국의 대지에 정착시킬 수 있는 사상적인 토대를 확실하게 마련, 선불교의 금자탑을 세운 선수행의 근본 지침서라 할 수 있다.
지난 해 9월 동화사 담선대법회에서 ‘육조단경의 선사상과 실천’을 주제로 강의해 주목을 받은 설우 스님(법인정사 선원장)은 “모든 중생에게 불성과 반야의 자연지가 구족되어 있는 사실을 자각하면 곧 바로 돈오”라면서 “이를 통해 참된 진아의 세계를 체득함으로써 보살의 서원과 원력으로 회향하는 자비의 삶이 실천된다”며 <육조단경>의 대의를 설명한다.
"불성은 청정..단박에 깨쳐 부처 행동 보이는 것이 선"
설우 스님은 “부처가 부처로 부처행을 하는 것이 선(禪)”이라고 정의한다. 선은 부처님의 혜명을 계승해서 정법안장 열반묘심의 정안을 구족한 선승들이 일상생활에서 평상심으로 수용해서 그대로 드러내는 자리라는 것이다. 때문에 선은 실천불교이며, 여기서 실천이란 어떤 목적이 있어 무엇을 채우고 꾸며야 하는 노력의 실천이 아니라, 부처가 부처의 행을 보이는 것이라고 스님은 설명한다.
설우 스님은 비록 견성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내가 부처라는 사상적 확립만 있다면, 모두가 부처이기에 서로 존경하고 공경하게 되며 평등사상이 자연히 정립되어 각종 사회의 부조리도 치유될 것이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다음은 설우 스님의 ‘육조단경의 선사상과 실천’ 발표문 요지.
| ||||
■ 마음은 원래부터 연기적 존재
불성이란 <열반경>의 ‘일체중생 실유불성(一切衆生 悉有佛性)’ 즉 일체의 중생은 모두 불성을 지니고 있다는 뜻이다. <육조단경>에서는 불성에는 남북이 없고, 불성의 성질은 청정공적하다는 개념으로 사용했다. ‘마음의 본성이 청정하다’는 말은 무엇인가 더럽고 깨끗하다는 양변 대립적 청정한 마음의 실체성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마음은 연기적 존재이고, 공성이라는 의미다.
다시 말해 불성은 중생심의 본질적인 자성청정심을 말하며 연기법으로서 서로 의지하여 일어나는 세계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중생속에 부처의 작용을 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혜능 스님은 <단경>에서 ‘내 마음에 스스로 부처가 있으니 자불(自佛)이야말로 진불(眞佛)’이라고 말하면서 부처를 천국에서 인간으로 피안에서 차안으로 끌어내렸으며, 모든 이들의 마음속으로 끌어들였다. 아울러 중생이 부처이고 번뇌가 보리며, 즉심즉불의 본래불을 깨달아 자기 부처를 바로 보아야 한다는 평등선언을 한 것이다.
■오직 돈오돈수…점수 철저히 배격
혜능 스님은 홍인 화상의 <금강경>에 대한 법문을 듣는 중에 ‘응무소주이생기심(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라)’이라는 내용의 이치를 확연히 깨달았다. 돈오돈수는 단박에 깨쳐 닦아 마친다는 뜻이며, 여기서 깨쳤다는 말은 원래 부처라는 것을 체득하여 믿어 의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즉 돈오는 ‘나는 부처다, 나는 연기적 존재’라는 연기법을 깨닫는 것이며, 돈수는 부처의 행을 말하는 것이다.
혜능 스님의 돈오돈수 사상은 체험을 통해서 확인된 올바른 믿음을 강조하고 있으며, ‘구경묘각 정오정각’만을 견성이라고 선을 그었다. 혜능의 돈오돈수 사상은 훗날 상당 설법이나 선문답을 통해 스승은 직지인심을 드러내고, 기연을 계기로 제자가 견성성불하는 조사선의 가풍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때 생사심을 해결하겠다는 굳은 결심과 중생을 이고득락케 하고자 하는 보살의 서원, 연기적 현상을 직시하는 삶의 가치관에 대한 확고부동한 정립 위에 이뤄지는 참된 발심이 수행생활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혜’는 ‘등불과 빛’…둘이 아니다
혜능 스님은 점수법에서 말한 계(戒)로 인해 정(定)이 생기고 정을 거쳐 혜(慧)가 발한다는 사상을 배제했다. 정은 ‘적적’이요 등불이라 한다면, 혜는 ‘성성’이며 빛을 말한다. 등불과 빛은 뗄 수 없는 것이다.
이런 사상에 입각해서 일체만법의 경계를 당해도 본래 진여불성자리(생멸없는 공한 자리)를 관하는 것을 ‘선(禪)’이라 하고, 그 경계에 집착하고 물들거나 흔들림이 없는 것을 ‘좌(坐)’라 한다. 또 모든 존재 현상에 살면서도 존재 현상에 구속을 당하거나 속박을 당하지 않는 것을 ‘선’이라 하며, 안으로 한 생각도 움직이지 않는 것을 ‘정(定)’이라 하고 이것을 선정삼매라 한다.
■무념ㆍ무상ㆍ무주의 실천
혜능 스님은 불지견이 중생의 마음속에서 본래 자연지로 갖추어져 있다는 사실을 믿을 것을 누누이 강조하면서 불성사상의 구체적인 실천사상으로 무념으로 종을 삼고, 무상으로 체를 삼으며, 무주로 근본을 삼을 것을 설했다. 무념은 부처로서의 실천행으로 모든 생각을 하지 않고 의식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생각이라도 어느 한 경계나 사물에 대하여 망념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무상은 상을 떠난 것으로 자기 색신 속의 자성 삼신불에 귀의하게 하여 청정한 마음 달이 바로 자성불임을 확신하면서 바로 지금 즉신성불할 것을 강조했다. 무주는 사람의 본래 성품이 한 생각에도 머무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는 혜능 스님에 의해 <금강경>의 반야바라밀의 정신에 의거해 남종선의 실천사상으로 정리됐다.
■ 선입문서 안내
도서명───지은이───출판사───가격
<간화선>───원융 스님───장격각───6천원
<깨달음으로 가는 오직 한길> ───김열권───선재───8천원
<깨달음으로 가는 올바른 순서>───초펠 스님───여시아문───3천6백원
<꽃 피고 물 흐른다>───인권환───나남출판사───9천원
<나를 찾아가는 101가지선이야기>───폴렙스 외───화남───9천원
<이른 아침 잠깐 앉은 힘으로 온 하루를 부리네>───박영재───운주사───8천5백원
<가장 행복한 공부> ───청화 스님───시공사───9천원
<길을 걷는 자 누구냐>───장휘옥 외───더북컴퍼니───9천원
<깨우침>───석다정───백양출판사───9천8백원
<달마에서 성철까지>───박영규───들녘───8천원
<대도무문>───정태혁───불교영상회보사───8천원
<대자유인 선사>───김형중 외───조계종출판사───7천원
<두 문을 동시에 투과한다>───박영재───불광───1만원
<마음을 관해야 진정한 깨달음에 들 수 있다>───법성 스님───운주사───1만원
<몸과 마음이 사라져 가는 여행>───지운 스님───법공양───9천원
<무문관 혹은 너는 누구냐>───한형조───여시아문───4천8백원
<무엇이 세계를 움직이는가?> ───주디스 블랙스톤───이두───4천5백원
<묻지 않는 질문>───현웅 스님───민족사───1만2천원
<믿음 지혜 그리고 깨달음>───지현 스님───성정출판사───3천5백원
<박희선 박사의 생활참선>───박희선───정신세계사───1만원
<방편개시>───허운 스님───여시아문───6천원
<100문 100답 선불교강좌>───일지 스님───대원정사───8천원
<백일법문>───성철 스님───장경각───7천원
<보려고 하는 자가 누구냐>───후동───여래───7천원
<부처님께 재를 털면>───스티븐 미첼───여시아문───9천원
<부처를 살리는 선> ───조해인───명상───7천원
<부처에서 짐승까지 (짧고 길게 읽는 선이야기)>───심선영───서조───4천5백원
<불교 선수행의 핵심>───내나포티카───시공사───7천원
<불교수행법강의>───남회근───씨앗을뿌리는사람───3만원
<삶은 고가 아니다> ───혜원 스님───여시아문───6천원
<생활선 당신도 부처가 될 수 있다>───이향봉───밀알───8천5백원
<생활속의 좌선수련 20년>───권영두───운주사───7천5백원
<생활수행 이야기>───법상 스님───불광출판부───5천원
<선(나와 대우주의 하나된 호흡)>───오선명───동촌───1만5천원
<선가어록>───혜원 스님───운주사───1만원
<선과 좌선>───김호귀───석란───9천원
<선, 너는 누구냐>───현대불교신문사───여시아문───9천원
<선문답의 탈근대 교육>───서명석───아름다운세상───1만3천원
<선, 문 밖에 나서다>───해탈 스님───여시아문───1만4천원
<선문선답>───오현 스님───장승───8천5백원
<선방의 아침>───석원연───들꽃누리───9천5백원
<선방일기>───지허 스님───여시아문───5천원
<선불교의 이해>───성본 스님───동국대경주캠퍼스 정각원───3천원
<선사들이 띄우는 깨달음의 편지>───정념 스님───장승───1만원
<선, 삶의 요리법>───버나드글라스먼───불일출판사───7천5백원
<선시 303수(깨달음의노래)>───권영한───전원문화사───1만원
<선 심리치료학 개론>───도각 스님───한국선심리치료연구원───1만2천원
도서명───지은이───출판사───가격
<선어록 읽는 방법(무문관으로 배우는)>───혜원 스님───운주사───1만5천원
<선어삼백칙>───차차석───여시아문───1만원
<선으로의 초대>───스즈키순류───시공사───6천원
<선의 근원(도서)>───김무득───우리출판사───6천5백원
<선의 나침반>───현각 스님───열림원───7천5백원
<선의 세계>───고형곤───운주사───1만3천원
<선의 황금시대>───류시화 옮김───경서원───1만5천원
<수행으로 가는 길> ───이제열───대원정사───6천원
<알기 쉬운 선 이야기 100가지>───송원 스님───상아───8천원
<온 세상은 한 송이 꽃>───숭산 스님───현암사───1만2천원
<완벽한 참선법>───우학 스님───좋은인연───1만원
<조사선>───동췬───운주사───2만원
<조사선의 실천과 사상>───김태완───장경각───1만8천원
<조주선과 임제선>───한정섭───불교통신교육원───7천원
<조주선사 선문답>───석우 스님───관음손───1만1천원
<좌선(선 공부하는 비결)>───이희익───경서원───8천원
<좌선수행법>───성본 스님───동국대출판부───3천원
<중도선(태어나기 이전의 나는 누구인가)>───법산 스님───운주사───7천5백원
<지금 이 자리에서 깨달음>───오석제───장승───4천5백원
<참나>───혜거 스님───선문출판사───7천원
<참선경어>───백련선서간행회───장경각───6천5백원
<참선교육>───현담 스님───도서출판선───1만5천원
<참선요지>───대성 스님───여시아문───4천4백원
<초보자를 위한 선>───김대현───민족사───6천원
<초보자를 위한 화두참선 수행기>───조정연───불광───7천원
<평상심이 곧 도다(중국선불교답사기)> ───이은윤───자작나무───9천원
<푸른 바위에 새긴 글(벽암록풀이)>───김흥호───솔───9천8백원
<현대인과 선>───가마다시게오───대원정사───7천원
<화두선 요결>───이수경───경서원───2만원
<화두와 참선>───편집부───운주사───3천5백원
<화두 짓는 법>───편집부───토방───7천원
<화두참선>───이계묵───우리출판사───1만3천원
<활쏘기의 선>───오이겐 헤리겔───삼우반───9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