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많은 결심을 했겠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보람있는 것은 남을 위해 사는 것입니다. 보통 이타행 이타행 하지만 말처럼 쉬운 것이 아닙니다. 이기심을 버려야만 이타행을 할 수 있는데, 이기심 버리는 것이 어디 한순간에 되는 일이겠습니까. 열심히 그리고 꾸준히 공부하면서 마음을 닦아야만 가능한 일입니다. 우리 사회를 보세요. 구석구석 시끄럽지 않은 곳이 없어요. 왜 그렇습니까, 사람들이 거칠기 때문입니다. 세상 모든 것이 다 사람이 하는 일인데, 사람이 바르지 않으니 시끄러울 수밖에요.
이기심을 버리는 것은 나를 찾는 일이자 중생을 구제하는 길입니다. 거기에는 부처님 법만한 공부가 없지요. 부처님 법을 공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어요. 화두를 들거나 기도를 하거나 경전을 독송하거나 모두가 똑같습니다. 제각기 근기에 맞는 수행방편을 찾아 일심으로 정진하면 됩니다.
하지만 그 모든 것 중에서도 <법화경> 공부야말로 평생에 한 번은 해야 할 일입니다. <법화경> ‘법사품’에서 부처님이 말씀하시길 “내가 한량없는 많은 경을 설했지만 그 중에서도 법화경이 제일이다”고 하셨어요. 그만큼 법화경은 수승한 경입니다.
부처님 법이라는 것은 눈으로 보고 귀로 들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서불진언 언불진의(書不盡言 言不盡意)’라. ‘글로써 말을 다 할 수 없고, 말로써 뜻을 다 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부처님 법이 그렇습니다. 어찌 글로, 말로 다하겠습니까. 그래서 부처님 법은 ‘불가시 불가설 비사량분별지소능해(不可示 不可說 非思量分別之所能解)’라 했습니다. 보여줄 수 없고 말할 수 없으니 사량분별로 헤아려 풀 바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법화경>에는 그 깊고 깊은 불법의 이치가 다 들어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법화경>을 보면 부처님 법이 보입니다. 부처님 법이 들립니다. 방편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진실된 이치를 알게 해줍니다. 대한민국이라는 말에 산하가 다 포함돼 있듯이 <법화경>에는 일체 경의 진리가 다 들어있습니다. 그러니 경 제목만 계속 염송해도 좋은 것입니다. 사경이나 독송하는 것도 좋지만 <법화경> 수행 가운데에서도 으뜸으로 치는 것이 바로 ‘수지(受持)’입니다. <법화경>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이 가장 중요하다는 말입니다.
어느 백만장자에게 철부지 자식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집에 불이 났습니다. 아이들은 그것도 모르고 놀고 있었습니다. 집밖으로 나오라고 소리쳐도 노는데 정신이 팔려 나오지 않았어요. 그래서 그 백만장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장난감을 보여주며 아이들을 불러냈습니다.
<법화경> ‘비유품’에 나오는 중생계를 ‘불타는 집(火宅)’에 비유한 얘기입니다.
| ||||
날카로운 칼은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좋은 도구가 되기도 하고 흉기가 되기도 합니다. 극약도 마찬가지로 약이 되기도 하고 독약이 되기도 하지요. 머리가 좋은 사람도 그 머리를 좋은데 써야지 나쁜데 쓰면 악한이 됩니다. 방편을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하다는 말입니다.
깨달음의 길을 찾고 안 찾고는 자기가 판단할 문제입니다. 다만 불교는 그 판단을 도울 뿐입니다. 그래서 깨달음의 길을 찾고자 하는 사람에게 불법은 훌륭한 길잡이가 될 수 있습니다.
배고픈 사람에게는 밥을 주는 것도 좋지만 그보다는 배가 고프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더 좋은 일입니다. 불교는 바로 배고프지 않도록 해주는 진리가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 보시 중에서도 법보시를 제일로 치지 않습니까. 이기심을 버리고 중생을 구제하려면 법을 알고 법을 베풀 줄 알아야 합니다.
지금 우리네 사는 세상을 보면 정(正)과 사(邪)를 분별할 수 없을 정도로 혼탁합니다. ‘파사현정(破邪顯正)’이 필요합니다. 파사현정을 하려면 취사선택을 잘해야 합니다. 사람이 성장하는 과정을 생각해 보세요. 초등학교부터 대학을 졸업하기까지 계속해서 낡은 것을 벗고 새 것을 얻게 됩니다. 이때 버릴 것을 버리지 못하면 결국엔 다음 단계로 나아가지 못하게 됩니다. 열등한 것을 버리고 수승한 것을 취하는 것, 나쁜 것을 버리고 바른 것을 취하는 것이야말로 진리에 가까이 가기 위한 필연적인 과정인 것입니다. 열등하고 나쁜 것을 버린다는 것에는 참회의 의미도 포함돼 있습니다. 잘못을 알지 못하는데 올바른 취사선택을 할 수 있겠습니까.
<관보현경>에 ‘일체업장해 개종망상생 야욕참회자 단좌염실상 중죄여상로 혜일능소제(一切業障海 皆從妄想生 若欲懺悔者 端坐念實相 衆罪如霜露 慧日能消除)’라는 말이 있습니다. ‘바다 같은 일체 업의 장애는 모두 망상에서 일어난다. 만약 참회하고자 하는 자는 단정히 앉아 실상을 염하라. 모든 죄업은 마치 서리와 이슬과 같아서 지혜의 해가 능히 없앤다’는 뜻입니다.
참회는 이기심을 버리는데 가장 필요한 요건입니다. 우리는 살면서 수없이 많은 망상을 일으키고 그 망상에 매달리다가 한평생을 보내게 됩니다. 결국 자기 자신도 제대로 돌아보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는 것입니다. 진정한 삶을 살려면 자기 마음의 모든 죄를 씻어야 합니다. 그런 노력이 있을 때 남을 돌아볼 수 있는 여유도 생기는 것이지요.
<법화경> ‘여래수량품’ 에 있는 얘기를 하나 하겠습니다. 한 의사가 외국에 나가 있을 때 두 아들이 약을 잘못 먹어서 정신이 오락가락했습니다. 의사가
| ||||
여기에서 아버지는 부처님이고, 중독이 덜 된 아들은 부처님 제자고, 중독이 많이 된 아들은 중생을 말합니다. 중독이 심하다는 것은 마음의 때가 많다는 것을 뜻합니다. 하지만 약을 먹어 낫고 보면 부처님은 바로 곁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제는 마음의 때를 벗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부처가 될 수 있습니다. 모래도 자갈도 바위도 물에 넣으면 가라앉습니다. 하지만 배에 실으면 가라앉지 않지요. 불자들이라면 마땅히 중생을 구제하는 배가 되어야 합니다.
우리 정치인들이나 지식인들도 이 말을 명심해야 합니다. 소선(小善)이 대악(大惡)이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하지요. 예를 들어 어떤 종교인이 자기 종교만을 위한답시고 불교를 비방했다고 칩시다. 자기신념 측면에서 보면 충실하다는 평가를 들을 수 있겠지만 자기 종교를 위해 다른 종교를 비방했으니 결국엔 소선이 대악이 됩니다. 무딘 칼은 잘못 써도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날카로운 칼은 다릅니다. 마찬가지로 자기 이익(小善)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배(大善)가 되어야 합니다.
법회 때 어떤 학생이 “선과 악의 경계는 무엇이냐”고 물었습니다. 답은 간단합니다. 세간법과 출세간법을 다 지키면 선이고 다 범하면 악인 것입니다. 세간법에서는 개미를 죽이고 남을 비방하는 것이 별로 이상할 것 없을지 모르지만 출세간법에서는 큰 죄입니다. 작은 마음의 때라도 벗겨내야만 진정 선을 행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묻겠습니다. 누가 “당신 주머니에 무엇이 들었소”라고 물으면 어떻게 대답하시겠습니까. 금주머니라도 금이 들어있지 않으면 가치가 없는 것이고, 평범한 주머니라도 금이 들어있으면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마음에 금을 채워보세요. 그러면 그 마음은 금주머니가 됩니다.
마음을 채우기 위해서는 의지해야 할 것과 의지하지 말아야 할 것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그것이 곧 ‘사의사불의(四依四不依)’ 이니, 의법불의인(依法不依人) 의의불의어(依義不依語) 의지불의식(依智不依識) 의요의경불의불요의경(依了義經不依不了義經)을 말합니다. 그 뜻은 ‘법에 의지하되 사람에게 의지하지 말고, 뜻에 의지하되 말에 의존하지 말고, 지혜에 의지하되 분별지식에 의지하지 말고, 진실된 경전에 의지하되 방편경에 의지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세상은 허공에 핀 꽃과 같습니다. 고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넘쳐나는 것이 있고 부족한 것이 많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모자란 것도 과한 것도 없습니다. 이렇게 평등한 세상에서 중생은 자비심을 잃고 번뇌 속에서 다툼을 벌이고 있습니다. 하루가 멀다하고 벌어지는 전쟁, 싸움, 비방, 폭력은 재앙에 가까워지고 있어요.
이제 우리 모두는 자비심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우리의 본래면목을 찾아야 합니다. 그 자리에는 용서와 화합이 있습니다. 굳이 <법화경>이 아니라도 좋으니 자기가 믿고 공부할 수 있는 소의경전을 가져보세요. 그리고 올해는 소의경전을 완벽하게 공부하겠다는 결심으로 정진하세요. 올 한 해는 부처님 마음을 꺼내 쓰는 그런 해가 되어 서로 해치는 일이 없이 살기 좋은 세상이 되도록 모두가 노력하기 바랍니다.
| ||||
경조 스님의 <법화경> 얘기가 시작되면 듣는 사람은 ‘도대체 저 많은 것을 어떻게 알게 됐을까’하는 의구심을 갖게 된다. <법화경> 어디에 어떤 구절이 있는지까지 소상히 알고 있을 정도로 <법화경>에 관한 한 자타가 공인하는 최고의 수행자로 평가받고 있다. 이런 평가는 경조 스님이 출가 이후 50년이 넘게 <법화경> 수행에 몰두해왔음을 감안하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스님은 지금도 매일 새벽 4시면 어김없이 일어나 법화경 독송을 할 정도로 수행을 게을리 하지 않고 있으며, 6개월 전에는 대전에 법화포교원을 개원하고 매주 금요일마다 두 차례 법화경 설법을 하고 있다.
1927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난 경조 스님은 48년에 출가해 태허 스님을 은사로 득도한 후 백화사 전문강원 대교과를 수료하고 현 주석처인 보은 화광사를 창건했다. 1965년 불입종 수교부장에 이어 72년 불입종 총무원장을 역임했으며, 79년부터 지금까지 불입종 종정으로서 종단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불입종 총본산인 충북 보은 화광사에 주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