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6 (음)
> 신행 > 신행
동화사 첫 담론의 장 열려, 난상토론 이어져
입재식에 이어서 열린 첫 담론에서 前 동국대학교 교수 호진 스님은 붓다의 수행과 최초의 제자들에게 가르친 수행법, 붓다의 깨달음에 대해 발표하면서 후대 나온 간화선과의 연관성을 규명했다.

스님은 “불교를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인생은 고라는 것과 고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한 가르침’이라며, 불교에서 가르치는 모든 교리와 수행법은 고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스님은 싯다르타의 수행과정을 설명하면서 싯다르타가 깨달은 내용은 ‘모든 것은 원인에서 생긴다’는 연기의 법칙이며, 연기법은 그것을 응용해 고(苦)문제를 해결(해탈, 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의미를 가지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님은 이어 붓다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이 연기법을 바탕으로 고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다양한 교리와 수행법들이 생겨나게 됐다고 발표했다.

이렇게 스님은 연기법은 모든 불교 교리의 사상적 이론적 근거가 되는 것이며, 붓다의 가르침은 모두 연기법을 근거로 만들어진 응용이론이라고 주장했다.

또, 녹야원에서의 부처님의 첫 설법을 이야기하며, 처음 가르친 교리와 수행법이 4성제와 중도행으로서 8정도라고 밝히며, 8정도 가운데 앞의 7지(支)는 정정에 도달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 순서대로 하나씩 닦아 나가야 하는 것이며, 수행법의 목표는 마지막 정정의 제4선을 닦는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렇게 스님은 싯다르타의 수행과정과 첫 설법을 이야기하면서 진정한 불교라면 사상으로서의 연기법, 수행법으로서의 선정, 목표로서의 해탈이라는 3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오늘날 수행법 간화선은 이 3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가라는 의문을 제기했다.

그 외 스님은 발제문을 통해 깨달음과 열반이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것과 어떤 하나의 수행법을 최고의 수행법으로 고집할 수 없다는 두가지 사실을 언급하면서 토론을 통해 좋은 것은 받아들이고 아닌것은 밀어내면서 나아가 새로운 수행법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스님은 수행의 궁극적 목적은 열반의 성취이지만 그 이전에 “깨달음(각, 정각)의 단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말했다. 즉 연기법을 깨닫는 것 그 자체는 열반,해탈이 아니라는 것이다. 깨달음은 이해의 영역이며, 열반은 체험의 영역이라고 주장했다.

또 스님은 불교는 시대, 상황, 사람에 따라 변천되어 온 것으로 어떤 하나의 수행법을 최고의 수행법이라고 고집할 수 없으며, 만약 어떤 하나의 수행방법이나 교리를 고집할 때 그것은 붓다의 최초의 가르침 중도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호진 스님의 주제 발표에 이어 前 조계종 사회부장 미산 스님, 실상사 화엄학림 학장 재연 스님, 동국대학교 조준호 교수는 다양한 각도에서 논주의 발표에 대해 반박하고 나섰으며, 깨달음과 열반이 동일하지 않음과 8정도를 순차적으로 닦아나가야 하며 정정만을 최고의 목표로 둔 것에 대한 이의제기를 하고 나섰다.

동화사 담선대법회는 오는 11월 20일까지 매주 토요일마다 12회에 걸쳐서 개최되며, 간화선을 주제로 한 담론의 장은 참으로 희유한 자리이며 수행스님들에게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이날 참석한 한 재가자는 말로만 듣던 스님들의 치열한 법거량을 볼 수 있게 되어 너무 감사했다며, 스님의 발표 때보다 오히려 더 큰 이해가 되는 느낌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토론 문화의 정착을 통한 좀더 매끄러운 진행과 참가자들의 듣는 매너가 요구되어지며, 좀 더 실질적이며 심도깊은 토론으로 연결되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는 이야기들도 들려왔다.

앞으로 동화사 담선 대법회는 11번의 담론의 장이 남아있다. 매 회를 거듭하면서 더 깊이 있고 실질적인 담론의 장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현대불교신문은 이번 동화사 담선대법회의 선기발발한 담론의 장을 생생한 동영상으로 담아 붓다뉴스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배지선 기자 | jjsun@buddhapia.com
2004-09-06 오전 10:13:00
 
한마디
호진스님의 < 깨달음은 이해의 영역이며, 열반은 체험의 영역이라 주장 > 에서 깨달음과 열반은 하나의 자리이니, 나누어 보지 않으시기 바라며 覺에는 行이 內抱되어 있으므로, 覺이 따로이 있고 行이 따로이 있지 않습니다. * 호진스님께 여쭙니다. 無我를 깨닫는 것도 이해의 영역이라 말씀 하시겠습니까 ? 호진스님께서 無念의 자리에서 無我를 체험하셨다면 깨달음이 이해의 영역이라 말씀하시지 않았을 것입니다.
(2004-09-06 오후 3:10:52)
72
닉네임  
보안문자   보안문자입력   
  (보안문자를 입력하셔야 댓글 입력이 가능합니다.)  
내용입력
  0Byte / 200Byte (한글100자, 영문 200자)  

 
   
   
   
2024. 11.2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