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월 11일 국제 캠프 입재식. 간단사 주지 푸레밧 스님(몽골전통불교대학장)은 몽골 대륙 한 복판에 선 한국 청소년들에게 이 말부터 던졌다.
“여러분들은 찬란했던 몽골 불교문화 전통이 지나간 그 역사현장 한 자리에 왔습니다. 몽골 민족이 일찍이 각 나라의 문화의 정수를 받아들인 것 가운데 불교가 최고의 가르침이듯이 한국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이러한 불교문화전통을 바탕으로 우리 한ㆍ몽골 청소년들이 미래불교를 힘차게 이끌어 나갑시다.”
이어 우리는선우 윤세원 상임이사도 인사말에서 “몽골 체험은 자기 변화의 새로운 시도”라며 “무엇을 보고 어떻게 느낄지 캠프 기간 내내 고민해보자”고 주문했다.
| ||||
12일 오후 몽골 테를지 국립공원. 본격적인 몽골 문화 체험에 들어갔다. 6개조 나눈 청소년들은 승마, 게르 짓기, 전통음식 만들기 등을 13일 오전까지 몽골을 차근차근 배워나갔다. 이 중 단연 인기는 게르 짓기. 10여 명의 청소년들이 초원에 집짓기에 두 팔을 걷어 부쳤다. 먼저 나무 벽인 ‘한’을 둥글게 드리우고, 원형 지붕인 ‘한’을 곧추 세운다. 그리고 양털을 누벼 만든 ‘에스기’를 덮어씌운다. 몽골 성인 2명이 1시간이면 끝낼 게르 짓기가 2시간을 훌쩍 넘겼다. 서툰 손놀림으로 공정은 더뎌도 표정만은 밝다.
| |||
캠프 3일 째. 청소년들의 몽골 말도 부쩍 늘었다. 꿀 먹은 벙어리였던 아이들의 말문이 트였다. 한국어 발음과 비슷한 몽골말만 나와도 금세 앵무새가 돼 버린다. 캠프에 오기 전에 인터넷에서 몽골어 몇 마디를 배웠다는 다정이(14ㆍ명성여중), 몽골 사람만 만나도 연신 ‘센 베노?(안녕하세요)’를 외치는 상민이(12ㆍ서울 대곡초)도 몽골리언이 다 됐다.
13일 오후 6시. 테를지 국립공원에서의 몽골 체험을 마무리하고, 울란바토르 시 나이람달 수련원으로 돌아온 아이들의 목소리가 커졌다. 곧 있을 몽골 아이들과의 첫 만남에 잔뜩 긴장하는 눈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