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사보기
닥치는 대로 한마음 속에 다 놓고 편안히 길을 걸으세요
여러분께서 같이 이렇게 도반으로서 동참을 해 주시니 너무나 기쁩니다. 여러분은 전 세계라고 해도 잘 모르실 거고 우주라고 해도 잘 모르실 거고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고 해도 잘 모르실 겁니다. 얘기로 듣는 거하고 실천해 보는 거하곤 다르니까요.
내가 이번에 한 번 더 느낀 것은, 미국에 가서 미국 사람들을 대하니 그 눈빛과 그 태도와 모든 면들이 너무나 지극해서 물을 빨아들이는 스폰지 같아요. 너무 진지해요. 눈을 한 번도 떼지 않아요. 그렇게 많은 미국 사람들이 말입니다. 그런데 그분들은 거기서도 마음의 차원이 좀더 높다는 분들이죠. 차원이 낮은 분들은 그렇게까지 그러질 않는데 차원이 높을수록 강력하게 밀고 들어선단 말입니다. 그거를 볼 때 가슴이 찡했습니다. 우리 한국의 여러분도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더우나 추우나 그걸 무릅쓰고 도반으로서 이 공부를 같이 하자고 이렇게 애쓰시는 걸 볼 때 양쪽 모두 참 기쁘게 생각이 되고, 외국인들도 말이 달라서 그렇지 그 뜻은 다 똑같구나 하는 걸 느꼈습니다.
우리가 학술적으로나 경학으로 모든 것을 일일이 따져서 배우려면 천 년이 가도 다 못 배울 겁니다. 다 못 배울 뿐만 아니라 깨치지도 못하실 겁니다. 그러나 제가 여러분께 인도해 드리는 거는 ‘항상 일거수일투족이 다, 내 몸에서 나오는 거는 다 그놈이 하는 거다. 모든 것을 작용하게 해 주는 의식들도, 생명들의 의식들도 다 다스리는 그놈이 하는 거다.’라는 겁니다. 이 모든 오장 육부의 소임을 맡고 있는 그분들, 그분들이라고 해도 돼요. 사람 속에 있는 사람이니까요. 그분들도 다 내 선장의…, 선장이라는 건 여러분의 마음에 따라서 응(應)해 주면서 밀고 나가는, 그 천차만별의 의식의 힘들 말입니다. 그런 걸 본다면 요만한 거 하나 빼놓지 않고 내 몸뚱이가 움죽거리고 사는 것이 모두 나의 불성 원동력이 그렇게 힘을 배출해 주는 까닭에 움죽거리지 않고도 이 우주 천하를 다 움죽거리게 하는 그런 능력을 가졌다, 이렇게 말할 수 있겠습니다.
인간의 마음의 근본은 국한돼 있는 게 아닙니다. 무한대입니다, 무한! 항상 진화해서 발전시키고, 발전하면서 또 거듭거듭 발전할 수 있는 무한한 심성의 근본입니다. 우리가 마음공부를 하면서 반야줄이라는 자기의 줄을 잡고서 나가는 거는 당연하지만, 본래는 반야줄이라는 것도 없고, 마음이라는 것도 없고, 문이라는 것도 없고, 교차로라는 것도 없이 그대로 그렇게 여여하다는 사실입니다. 그것은 가르치기 위한 방편의 이름일 뿐입니다.
여러분이 이해하시게끔 한번 이렇게 뒤집어 봅시다. 이 세상의 도리로 악이다 선이다, 나쁜 거다 좋은 거다, 모자라다 영리하다, 길다 짧다, 죄가 있다 없다 하는 것이 논의되는데 이것이 자기를 막아 놓는 것입니다. 그런데 죄가 있다 없다도 없습니다. 참 미묘한 거죠. 인간은 당연히 고등적인 차원이기 때문에 이러니 저러니 하는, 죄가 있다 없다, 업이 있다 없다, 무명이 있다 없다 이런 게 근본에는 없습니다.
왜 내가 항상 여러분한테 말씀드리느냐 하면 ‘죄가 있든지 없든지 무조건 믿고 무조건 놔라.’ 이랬습니다. 그것입니다, 바로! 무조건 놓게 되면 무조건 사대(四大)로 통신이 되면서, 모든 오장 육부의 의식들도 통신이 되면서 대뇌를 통해서 정수에 입력이 된다고 그랬죠. 입력이 되면, 내 생각으로 잘됐다 못됐다가 없이, 잘된 것도 못된 것도 착이 없이, 이렇다 저렇다 하는 분별이 없이 무조건 거기다가만 넣으면 된다는 생각으로 놓게 되면, 앞서 차원으로 살아오면서 입력됐던 것이 다 없어집니다. 무조건하고 없어지는 거죠. 무조건 놨으니까 무조건 없어지는 겁니다.
이 마음공부를 하는 데 그렇게 세세하게 이유를 따지고, 분별을 하고, 옳으니 그르니 한다면 저승 세상은 맛도 못 봅니다. 죽는 사람이, 한순간에 숨이 끊어질 텐데도 불구하고 자기 자식들을 두고 죽으면서도 이유를 붙입디까? 죽는 사람은 이유를 못 붙여요. 그렇듯이 우리가 죽은 세상에 들어가서 모든 걸 할 수 있어야죠. 듣는 사이 없이 듣는 세상, 보는 사이 없이 보는 세상, 가고 오는 사이 없이 가고 오는 세상, 내가 자유자재로 ‘이렇게 하겠다’ 하면 이렇게 하고 ‘저렇게 하겠다’ 하면 저렇게 하는 거, 이게 평등공법의 원리입니다. 이유를 붙인다면 어떻게 그런 세상을 배우고 맛볼 수 있겠습니까? 죽으러 가는 사람이 ‘이 길이 옳다, 저 길이 옳다’ 이러고 갑니까? 죽는 사람은 아무 말도 못하고 그냥 사라지는 겁니다. 그래서 부처님은 ‘길에서 와서 길로 갔노라.’고 하셨지만 부처님만 그런 게 아닙니다. 우리도 역시 길에서 와서 길로 가는 겁니다. 한마디 더 붙이자면 ‘길을 걷다가 길로 간다.’ 이런 말이죠.
그러니까 여러분의 마음에 살아오던 습과 착과 욕심과 그 의식으로 지내던 모든 것이 앙금처럼 앉아 있기 때문에 이 생각 저 생각이 복잡하게 일어나는 거죠. 지금 한세상 살아가기도 바쁜데, 그리고 귀찮은 일도 많은데, 생기는 대로 닥치는 대로, 한마음 속에 모든 거를 다 놓고 편안히 그냥 길을 걸어가면 얼마나 편리합니까? 그 골치 아픈 거를 다 이유를 따지고…. 사람이 젊었을 때는 좀 따지기도 좋아하고, 또 뛰어들기도 좋아하고 그러다가도 나이가 좀 들면 점점 점점 식어집니다. ‘에이, 귀찮아. 그저 뭐 끼어들어 봤자 그렇고.’ 이렇게 하듯이, 그냥 모든 거를 차례차례 닥치는 대로 다 놔 버리세요. (손등을 두드리시며) 육식(六識)이라고 그러는 자체도, 그냥 부딪치는 것도, 취(取)하는 것도 바로 흡수해야 합니다. 육식도 흡수하고 팔정도도 흡수하고 육바라밀도 흡수하고 모두를 전부 거기에다 흡수해서 일불(一佛)로서, 한도량으로서, 한 공법으로서 평등하게…, 우리는 그 도량의 맛을 보기 위해서 이렇게 지금 서로 도반으로서 가고 있는 겁니다.
논설도 필요 없고 이론도 필요 없습니다. 이론을 따지다 보면 한이 없어요. 살아나가는 모든 것을 이론으로 따지고 하는데, 무(無)의 세상에 공법의 도리로서 가고 옴이 없이 일을 하는 것은 그대로 내 한생각이라고 할까요? 생각이라고 해도 그것도 방편이죠. (물컵을 들어 보이시며) 이 물을 봤을 때 그냥 아무 생각 없이 먹고 싶으니까 그냥 먹었을 뿐이죠. 모든 일이 그러하다 이겁니다. 여러분은, 나는 약해서 못한다는 게 많고, 나는 모른다는 게 많고, 업이 많다고 하고, ‘얼마나 죄를 지었으면 이렇게 고통스러울까.’ 하는 생각에 사로잡혀서 얽매입니다. 그러나 마음으로 뜀박질을 해 보십시오. 마음으로 뜀박질을 할 때는 발이 땅에 붙지 않죠. 마음으로 뜀박질을 할 때는 발이 땅에 닿지 않고 가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한 찰나라고 합니다. 빛보다 더 빠르죠, 아주. 빛은 오히려 가다가 탈이 생기지만 마음의 빛이라는 건 빛보다 더 빠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에 우리 지구의 대기권에, 오존층이라고 하나요? 예전에도 얘기했지만, 만약에 구멍이 난다든가 하는 문제가 생긴다면 모든 물질적인, 즉 말하자면 얼음이라든가 이런 것이 점차적으로 녹게 돼 있죠. 그러면 물난리 불난리에 계속 사람들이 살 수 없게 되는 이치가 생깁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아, 저걸 막아야 되겠구나.’ 하는 마음이 있다면 몸을 가만히 앉혀 놓고 만약에 여러분 각자가 거길 간다 합시다. 가도 몸뚱이는 여기 있는 거지 거기 가는 게 아니죠. 그렇지만 내 마음이 결단을 내리면 스스로 그렇게 가게 되는 거지요. 아주 확고하게 하겠다는 그 의지가 있다면 말입니다. 그래서 발산을 하지 않게끔 다 조치를 취해 놓으면 흠집은 있다 하더라도 그런 일이 차츰차츰 줄어들면서 얼음이 녹지 않는다고 볼 수 있겠죠.
그 대신에 우리 집이 지구라고 한다면, 집이 작은데 식구가 많다면, 얼른 쉽게 말하는 겁니다. 잘 데도 없어서 같이 붙어 있으면, 왜 배추씨나 무씨를 밭에 뿌려 놓으면 한데 그냥 붙어서 모두 나
2004-07-01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