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3.25 (음)
> 종합 > 기사보기
<65> 공양이나 시주물을 독약이나 독화살처럼
원효 스님께서는 <발심수행장>에서 “배가 고프면 나무 열매로 굶주린 창자를 위로하고 목이 마르면 흐르는 물로 갈증을 멈추리라”고 하셨다. 부드러운 옷과 맛있는 음식에 들어간 그 깊은 시주의 은혜들을 생각한다면 가벼운 생각으로 이를 받는 것은 도 닦는 길에 큰 장애가 된다. <선가귀감> 65장에서는 공양이나 시주물을 독약이나 독화살처럼 생각하여 자신을 살피고 그 과보를 알아 함부로 받아쓰지 말 것을 권한다.

故曰 道人 進食如進毒 受施如受箭 幣厚言甘 道人所畏.

그러므로 말하기를 “도를 닦는 사람들이 음식을 먹을 때는 독약처럼 생각하고 시물을 받을 때는 독화살을 맞듯이 생각해야 한다. 신심 있는 사람의 두터운 대접과 듣기 좋은 말들은 도를 닦는 사람들이 두려워해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치문경훈> 7권에 실려 있는 자수(慈受) 선사의 소참법문에 나오는 내용으로 그 뒤를 이어서 “그대가 환하게 도를 깨치기만 한다면 황금 만량도 문제없이 쓸 수 있다[爾灼然 與道相應 萬兩黃金亦消得]”라는 말이 나온다. 도를 깨치기만 알면 황금 만량도 문제없이 쓸 수 있는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참 도를 닦아가는 수행자에게 시주물은 아름다운 공양물이 아니라 독약이 될 수 있다. 인과법도 깨닫지 못한 채 맛있는 옷과 부드러운 옷에 수행자가 길들여져 마음에 탐심이 가득하다면, 공양을 받으면 받을수록 그 수행자는 독화살에 맞은 것처럼 마음이 검어지고 눈이 어두워져 끝내는 삼악도에 떨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시주가 보시하는 음식과 옷, 침구, 약품 그 어느 것이라도 나에게 이익 되는 물건이라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자칫 잘못하면 내 공부 길을 해치는 독약이나 독화살처럼 되고 만다. 독약이나 독화살을 받은 몸은 죽거나 죽을 뻔한 고통을 당하면 그뿐이지만, 시물을 함부로 받아쓰는 과보는 뒷날 지옥에 떨어져 거기에서 빠져나올 기약이 영원히 없게 되기 때문이다.
도를 깨쳐 시주의 은혜를 갚기 위해서 수행자는 평소 어떠한 마음가짐으로 살아야 할 것인가? 시주 은혜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절집에서는 공양하는 것도 수행으로 삼아 중요시하고 있다. 공양 때마다 공양물에 담긴 뜻을 다섯 가지로 살피는 오관게(五觀偈)를 외우며 밥 한 톨, 김치 한 조각도 소중히 여겨 남기는 법이 없다.

이 음식이 어디에서 왔는가?[計功多少 量彼來處]
내 덕행으로 받기가 부끄럽네[忖己德行 全缺應供]
마음의 온갖 욕심 버리고[防心離過 貪等爲宗]
육신을 지탱하는 약으로 알아[正思良藥 爲療形枯]
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爲成道業 今受此食]

공양을 받아 이 오관게를 외면서 먼저 ‘이 음식이 어디에서 왔는가?’ 살펴야 한다. 음식에 담긴 여러 사람의 노고를 볼 줄 알고 느낄 줄 안다면 이 공양물은 단순한 공양물이 아니라 많은 사람의 정성이 모인 귀하고 소중한 인연덩어리이니, 여기에 인연을 맺은 많은 사람의 노고에 항상 고마운 마음을 가질 것이다.

그 다음 자신의 덕행을 헤아려 이 귀하고 소중한 음식을 받을 자격이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부처님의 제자로서 계율을 잘 지키고 마음을 온화하게 쓰며, 늘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라 삼보(三寶)를 잘 지키고 보호해야 비로소 시주의 공양을 받을 자격이 있다.
자신의 덕행을 살펴 수행자로서의 부끄러움을 안다면 음식을 많이 먹으려고 하는 식탐(食貪)은 저절로 사라질 것이다. 중생의 모든 허물은 탐욕에서 시작되는 것이 대부분이니 음식에 대하여 좋고 나쁘다는 분별이 없이 인연 주어진 그 음식에 고마운 마음을 지녀 탐심이 일어나지 않게 해야 한다. 음식에 대한 욕심이 없으면 다른 욕망들도 담백해져 허물이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마음의 온갖 욕심을 비우고 받는 공양은 맛과 배부름을 떠난 것이니, 다만 이 몸을 지탱하는 약일뿐이다. 흙, 물, 불, 바람 네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이 몸뚱이는 음식을 먹지 아니하면 굶주리고 목말라 병이 들게 되어 있다. 음식을 약으로 안다면 음식을 지나치게 많이 먹거나 지나치게 적게 먹는 일은 없어지게 된다.

끝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양을 받아 이 몸을 지탱하는 것은 도업을 이루기 위한 방편임을 살피는 일이다. 음식을 먹지 않는다면 몸이 야위고 얼굴이 초췌해져 병이 생겨 부처님의 세상을 열어가는 도업(道業)을 이루기 어렵다. 수행자는 공양을 받고 살아가는 궁극적인 목적이 깨달음을 이루기 위한 것이지 세상 사람들처럼 부귀영화를 누리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공양 때마다 되새겨야 한다. 절집에서 공양을 받을 때 반드시 이 다섯 가지 일로 자신의 공부를 살피되, 도에 대한 안목이 없이 깨달음을 얻지 못했다면 모름지기 부끄러움을 알고 열심히 수행 정진해야 한다. 서산 스님은 말한다.

進食如進毒者 畏喪其道眼也 受施如受箭者 畏失其道果也.

음식을 독약처럼 생각하라는 말은 음식에 대한 탐욕 때문에 도에 대한 안목을 잃을까 두려워하였기 때문이다. 시주 물품을 받을 때 독화살을 맞듯이 하라는 말도 탐욕 때문에 깨달음 자체를 잃을까를 두려워하였기 때문이다.

수행자가 음식이나 시물을 독약이나 독화살처럼 생각하여, 시주자의 두터운 대접과 듣기 좋은 말들을 두려워해야 한다는 것은, 그 음식과 시물을 떳떳하게 받을만한 ‘공부에 대한 안목[道眼]’과 ‘깨달음[道果]’이 없다면 시주받는 일이 불러올 인과법(因果法)을 알고 그 과보에 대하여 늘 조심하고 두려워하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수행자라면 부지런히 공부하여 도에 대한 안목을 높이고 깨달음을 성취해 나가도록 애써야 할 것이다. 불법은 참으로 만나기 어려운 것이니, 이 불법을 배우고 살아가는 것에 대하여 ‘참으로 기쁘면서도 다행’이라는 감사하는 마음을 지닐 수만 있다면, 불법은 늘 새로울 것이고 부처님의 법에서 물러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이런 마음가짐으로 오래 공부하다 보면 마음이 고요해지고 지혜가 생겨 많은 중생을 제도하여 하늘과 인간의 큰 복전이 될 것이다.
■원순 스님(송광사 인월암)
2008-02-26 오후 12:45:08
 
 
   
   
2024. 5.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