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스 평창’의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도전은 아름다웠다. 7월 5일 2014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가 러시아 소치로 결정되는 순간 불자와 국민들은 허탈에 사로잡혔다. 그러나 절망하진 않았다. 그간 어느 나라 못지않게 열심히 ‘도전’했기 때문이다. 그 도전을 통해 강원도는 세계에 알려졌고,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를 기억하는 세계인에게 다시 한번 대한민국의 열정을 보여주는 기회였다.
불교계도 이루지 못한 원력을 아쉬워하기 보다는 국민들의 열망에 함께 손잡고 기원했던 아름다운 동참의 공덕을 갈무리 할 때다. 불교계는 서울 조계사에서 대형 법회를 열어 불자들의 기원이 얼마나 간절한가를 보여 준 바 있다. 무엇보다 강원도에 위치한 조계종 교구본사 신흥사와 월정사는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기원하는 불자들의 마음을 유감없이 결집했고 드러냈다. 두 본사의 주지 스님과 관계자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
두 교구본사를 비롯한 여러 사찰이 지역민과 함께 각종 기원 법회와 행사를 전개하는 동안 불교는 지역민들에게로 바짝 다가갔고 그들은 불교의 향훈을 느꼈을 것이다. 공동의 염원을 한결같은 마음으로 기원하면서 불교는 산중의 종교가 아니라 생활 현장에 존재하는 가르침임을 느끼게 했을 것이다. 눈에 보이지 않게 큰 포교를 한 것이다.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불교계가 흘린 땀은 ‘지역민과 함께 호흡하는 불교’라는 강한 이미지로 남았다. 이 경험을 토대로 거시적인 포교 방안을 모색하지 않는다면 씨앗은 뿌리고 수확은 못하는 어리석음에 떨어지게 될 것이다.
공원 내 사찰의 ‘공적가치’
조계종이 정부를 상대로 국립공원내 사찰 소유 토지 사용에 대한 보상금을 청구하기로 했다. 또 국립공원 관리공단이 전통사찰 경내지를 관리하는 것의 위헌성도 따지기로 했다.
조계종과 정부가 상당한 긴장관계로 빠져들고 있다. 올 연초부터 공원입장료 징수가 폐지되고 문화재관람료의 징수와 관련한 문제를 푸는데 종단과 정부의 손발이 어긋난 결과다. 공원입장료 폐지 이후 6개월간 문화재관람료 문제에 대해 정부와 조계종, 환경단체가 묘안을 마련하지 못한 것이 오늘의 갈등으로 번졌다.
조계종이 강경수로 정부를 압박하는 형국인데, 사찰 소유 토지의 사용에 대한 권리주장으로 보기 쉽다. 그러나 잘 들여다보면 종교라는 신성한 범위를 침해한 관계법과 그간의 관례들을 근본적으로 고쳐놓겠다는 의지가 보인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지역 가운데 사찰 소유의 토지는 8%에 가깝다. 이 수치는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공원 내 탐방객이 즐겨 찾는 곳 내지는 주요 탐방로가 대부분 사찰 소유 토지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풍치지구 뿐 아니라 국보 17점과 보물 61점을 포함한 주요 문화재도 대부분 사찰 경내에 소재한다.
문화재관람료 관련 문제에 있어, 정부는 기본적으로 사찰의 공적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 지금 조계종이 강경수를 들고 나오는 것은 ‘재산권 주장’이 아니라 바로 공적가치에 합당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정부와 환경단체는 바로 이 수를 잘 읽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