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 재정‘원칙’ 정착되길
사찰과 돈을 결부시켜 생각하는 것은 뭔가 어색하다. 출세간적인 공간 즉, 신행(수행)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강조되는 사찰과 세속적 개념이 앞서는 재정문제를 동시에 떠올리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이 둘은 불가분의 관계다. 사찰도 사람이 모이는 곳이고 어떤 형태든 활동이 있는 곳이기에 재정문제가 따르지 않을 수 없다. 오히려 사찰의 특수한 환경이 재정의 운용과 관련, 명쾌한 길이 없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시줏돈으로 운영되는 사찰이라는 개념이 보편적이다 보니 사찰의 재정 문제는 재가자들에게 ‘치외법권’의 영역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러나 사찰의 재정이 투명하지 않으면 수행과 신행이라는 본래 기능에 막대한 타격을 주게 된다. 재정의 명쾌한 운용이 사찰의 기능을 충실하게 하는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국가경제가 총체적인 어려움에 부닥쳐 있고 불자들의 시주문화가 합리적으로 정착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사찰 재정도 ‘운영의 묘’를 최대한 살려야 한다. 사찰의 재정 운용 문제는 큰절이나 작은 절이라는 외형적 규모의 문제가 아니라 합리적이고 투명한 시스템이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다. 주먹구구식의 재정 운용은 오해와 비리를 낳고 갈등의 원인이 될 수밖에 없다. 물론 사찰의 발전도 기대할 수 없다.
재정문제가 깨끗한 사찰은 뭐든지 발전적이라는 사실을 놓쳐선 안 된다. 조계종 중앙종회 재정분과위원회가 ‘종단 발전을 위한 재정 개선 방안 연구위원회’를 꾸리기로 한 것은 매우 의미심장한 결정이다. 이 위원회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사찰 재정 운영 방안이 만들어지고 모든 사찰이 그 틀을 받아들여 ‘깨끗한 불교’가 되길 기대한다.
불교환경연대 ‘큰 그림’환영
불교환경연대가 서산과 김포에 잇따라 지회를 창립한다. 환영할 일이다. 불교환경연대는 그간 불교계 환경운동의 선구적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그간의 운동이 모두 성공적으로 전개된 것은 아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가 바로 네트워크의 결핍이었다.
2001년 창립된 불교환경연대는 불교계의 환경 수호 의지를 결집하는 거대기구다운 결집력을 갖춰야 한다는 주문을 꾸준히 받아왔다. 그래서 이번 서산과 김포지역의 지회 설립은 불교환경연대의 조직 확대에 ‘힘’을 실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지회의 명칭을 ‘서산불교환경연대’ ‘김포불교환경연대’ 형식으로 한 것도 지회가 지역에서 대표성을 갖고 일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광역시와 도 단위의 지부와 시군구 단위의 지회를 꾸준히 늘려가면서 각 지역단체가 활발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지원 하는 것이 불교환경연대의 ‘큰 그림’이다.
또 불교환경연대는 연초에 초록봉사단을 설립해 불교환경자원봉사 조직을 꾸리겠다고 밝혔었다. 지부 지회의 꾸준한 확대와 환경자원봉사단의 가동을 축으로 불교계의 환경운동을 견인하겠다는 의지였다. 이 같은 의지가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승단과 재가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필요하다. 불자들의 ‘참살이’를 이끌어가는 불교환경운동에 불자들이 적극 동참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