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자를 깨우고 경책하기 위해 새벽녘 사찰을 돌며 목탁을 치는 도량석. 옛부터 ‘하늘은 자시(밤11시~1시)에 열리고, 땅은 축시(1시~3시)에 어둠에서 풀리며, 사람은 인시(3시~5시)에 잠에서 깨어난다’는 말이 전해오지 않습니까. 그래서 새벽 3시가 되면 산사에서는 부전스님이 모든 생명을 어둠과 잠에서 깨우기 위해 목탁을 치면서 도량을 돕니다. 도량을 정화하는 의식인 것이지요.
도량석에는 요령이 사용됐다고 합니다. 그런데 목탁이 사용된 까닭은 선종의 영향 때문이지요. 선종사찰에서 수행의 지침으로 삼았던 <백장청규>에 보면, ‘물고기는 밤낮으로 눈을 감지 않는다’면서 ‘수행자로 하여금 잠을 자지 않고 도를 닦게 하기 위해 목어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목어를 두드려 수행자의 잠을 쫓고 혼미한 정신상태를 경책한다는 의미지요.
도량석 목탁소리는 고요한 상태에서 작은 소리로 시작해 점점 커졌다가 마칠 때에는 큰 소리에서 점점 작아져 마침내 본래의 고요 속에 묻히고 맙니다. 여기에서 작은 소리는 어둠과 고요한 본체를 상징하고, 큰 소리는 밝음과 힘찬 움직임을 상징하지요.
김철우 기자 in-gan@buddhap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