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사보기
<25> 출가자는 ‘만인의 연인’/ 원철 스님(조계종 포교원 신도국장)
이미 열반하신 어느 노장님께 들었던 이야기다. 해방 전에 출가하신 까닭에 절 바깥에 나갈 때는 일본불교 영향으로 양복도 입을 수 있던 그런 시절에 하루는 도반들과 뭉쳐서 ‘용하다’는 점술가를 찾아갔다. 모두 승려라는 신분을 숨기고 사주를 보았다. 마지막으로 그 노장님의 차례가 돌아왔다.
“거참 이상하네. 저렇게 멀쩡하니 생겼는데 장가를 못 가겠네.”
속으로 키득키득 웃었다. 당연하지.
“그런데, 에~ 이게 뭐야. 여자가 없어서 못 가는게 아니라 너무 많아서 못 가겠네.” 정말 신통하네. 어떻게 알았지. 출가자는 혼자 살기 때문에 주인(?)이 없다. 동시에 모두가 주인이다. 이른 바 ‘만인의 연인’이다. 출가자의 존재의미는 정법을 오래토록 머물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모든 사람을 평등하게 대해야만 하는 ‘등거리외교’가 처신의 기본이다.
얼마 전 어느 일간지에 나온 유명 시인수녀의 인터뷰에서 ‘실속(?)없이 바쁘기만한 만인의 연인’이라는 표현이 있었는데 그럴듯하다. 사람 사는 곳이다보니 가끔 인간냄새 나는 ‘로맨스’류의 이야기를 선어록에서 양념처럼 발견할 수 있는 것도 쏠쏠한 재미다.
제일 유명한 사건 중의 하나는 태전 선사와 기생 홍련 사이의 이야기일 것이다.
당시 큰 문장가요 선비로 명망이 자자했던 한퇴지는 불교를 비방한 탓으로 중앙에서 좌천을 당해 조주땅으로 내려와 분심을 삭이고 있었다. 그리고 화풀이 일종으로 당시 그곳에서 유명세를 타고 있는 태전 선사의 스타일을 구기게 할 목적으로 고을 제일의 기생 홍련에게 그 임무를 맡겼다. 기생에게 준 임무라고 해봐야 뻔하다. 작업을 개시한지 백일이 되어도 태전 선사는 꿈쩍도 않았다. 그 고매한 인격에 반해버린 홍련은 선사를 애인이 아니라 스승으로 모시게 되었다. 거기까지는 좋았다. 그런데 작전이 실패하니 자기 신변에 대해 노심초사했다.
선사는 ‘임무’를 완수하지 못한 홍련에게 한퇴지의 화가 미칠 것을 염려해 해결방편으로 시 한수를 지어 주었다. 도력뿐만 아니라 글 실력으로 태전 선사의 살림살이를 보여주면서 그와 승부를 가릴 참이었다. 결국 예상대로 홍련도 살고 한퇴지마저 불교에 귀의하게 되었으니 이는 진짜 실용성까지 겸비한 멋진 선시(禪詩)가 된 것이다.

축융봉 내려가지 않기를 십년(十年不下祝融峰)
색을 보고 공을 봄에 색 그대로 공이네(觀色觀空卽色空)
어찌하여 조계의 물 한방울을(如何一滴曹溪水)
홍련의 잎사귀에 떨어뜨릴 수 있으랴(肯墮紅蓮一葉中)

이건 사건도 사건이려니와 시 또한 의미심장하다. 난해한 다른 선시와는 달리 이해하기도 쉽다. 모든 구절에 두 가지 뜻이 함축돼 들어있다.
기생 황진이가 벽계수를 꼬실 때 읊었다는 “청산리 벽계수야…명월이 만공산하니…” 에서 보듯 벽계수와 명월(황진이의 호)은 본래의 뜻은 물론 두 사람을 함께 상징하고 있다. 이처럼 태전 선사 역시 미모의 기생을 보고서도 담담한 경지를 ‘색즉시공’이라 했다. ‘홍련의 잎사귀’와 ‘조계의 물 한방울’ 역시 남녀의 성을 아름답게 승화시켜 표현한 것으로 대단한 안목이다. 그리고 이 시를 한지가 아니라 홍련의 흰 비단 속치마를 펼쳐놓고 그 위에 붓글씨로 일필휘지 써내려갔다는 상황 역시 상상만 해도 멋이 넘친다. 그 장면은 해인사 큰법당 뒤쪽 한 켠에 벽화(가운데 그림)로 남아있다.
혹 앞으로 이런 일을 대비해서라도 이 시는 반드시 외워두어야 할 것 같다. 글자 몇 개만 바꾸면 지금도 얼마든지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시간 날 때 붓글씨 연습도 좀 해두어야 할 것 같다. A4용지에 궁서체로, 프린트로 뽑아줘서는 홍련 정도는 몰라도 한퇴지류의 수준까지 교화시키기는 어렵지 않겠는가.
2005-07-13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