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사보기
진각 스님의 스님이야기-연관 스님
연관 스님은 세상에 드러내기를 꺼리는 분 가운데 한 사람이다. 나는 지리산 실상사 산내 암자인 약수암에 주석하고 계실 때 처음 뵈었다.
그 때 나는 해인사에서 발행하는 월간 <해인>의 편집장을 맡고 있었는데 당시 불교계는 승속을 막론하고 현실참여를 매우 꺼리는 분위기였다. <해인>지는 시대의 조류를 잘 반영하며 또 사상적으로 잘 이끌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사회에 온 몸을 던져 부처님의 사상을 몸소 보이는 선지식을 필자로 주로 발탁하였다.
<해인>지의 ‘호계삼소(虎溪三笑)’라는 난은 드러나지 않게 ‘드러나는’ 수행을 하는 제방 스님들을 소개하는 지면인데, 연관 스님을 취재대상으로 잡았다. 그 기사의 영향력을 잘 아는지 연관 스님은 도무지 취재에 응할 생각이 없다는 대답뿐이었다.
실상사 도법 스님으로부터 약간의 사전지식을 습득한 후, 실상사에서 샛길로 한참을 오르다 보니 텁수룩한 차림의 스님이 “누구요?” 하면서 나왔다. 인터뷰를 해야 하는데, 스님은 “나는 도무지 알릴 것도, 또 아는 것도 없다, 그러나 이왕 여기까지 올라오느라고 수고했으니 잠은 재워 주겠다. 그러니 자고 내일 새벽같이 떠나라”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우리가 그냥 떠날 수 있는가? ‘서울에서 여기까지가 어딘데, 어림없는 말씀이지’라고 다짐하며 짐을 풀고 나서는 이렇게도 저렇게도 스님께 얘기를 유도했지만 연관 스님은 속내를 잘 드러내 주지 않았다. 주굉 스님이 저술한 <죽창수필(竹窓隨筆)>을 번역한 그야말로 실력 있는 스님인데도 한사코 심도 있는 대화를 마다했다.
서재 책상위에 놓여있는 책을 훔쳐보니 벌써 번역작업에 들어간 지도 한참인 책이 깨알처럼 적혀있는 공책과 나란히 놓여 있었다. 우리가 막다른 골목에 처한 심정으로 막무가내 답답한 소리를 해대고 무식함을 드러내니 그때서야 스님은 본인도 모르게 우리의 무식함을 잡아주기 위해 속내를 조금씩 드러냈다. 겨우 조금씩 드러나는 박학다식함을 놓치지 않으려고 깊은 밤에 그야말로 눈에 쌍심지를 켜고 밤샘을 해서 인터뷰 분량을 대략 맞췄다. 작별 인사를 나누는 아침에 번갯불에 콩볶듯 사진기 셔터를 눌렀다. 그래서 상의가 승복 대신 파카를 입은 연관 스님을 <해인>지에 실었다. 방에서는 감히 사진기를 꺼내보지도 못했다. 사진기를 들기만 하면 아예 말문조차 꺼내지 못하게 하니 사진 찍는 것은 엄두도 못냈다. 스님은 혹여 우리가 사진을 찍을까봐 승복위에 파카를 덧입은 것이었다. ‘호계삼소’에서 다른 스님들의 사진은 단정한 승복차림으로 장식하고 있지만, 연관 스님의 ‘불량(?)해 보이는’ 차림새의 사진이 <해인>지를 통해서 불교계 언론에 처음으로 실리게 된 사연이 이랬다.
그 뒤로 연관 스님 동정이 가끔 불교계 언론에 실리는가 싶더니 어느 날 다시 종적을 감췄다. 우연히 들은 바, 지난 동안거는 봉암사 선원에서 참학하였다고 했다. 두루 섭렵한 교학을 바탕으로 마음공부에 온 힘을 쏟아 부었던 게다.
<해인>지로 인해서 연관 스님과 인연이 된 후로는 남원 근처를 지나면 실상사 뒤편의, 소나무아래 아담하게 황토로 짓고, 지붕은 낙엽송으로 운치 있게 올려놓은 스님의 작은 집에 가끔 들러서 차 한 잔 얻어 마시기도 한다.
연관 스님과 스스럼없이 지내는 사람들은 지위가 높은 고관대작이 아니라 들꽃 같은 민초들이다. 스님은 누구와도 소탈하게 지낸다. 권위의식이 전혀 없고 법랍 따지기를 싫어한다. 사람을 편하게 대하고 아랫사람들에게도 스스럼없이 대한다. 또 일상생활에서의 근검절약이 몸에 배어 있다. 어두운 밤이면 전기도 사람이 있는 곳만 밝힌다. 이런 점은 집을 떠나서 밖에서도 마찬가지다. 그저 의미없이 아끼는 것은 탐욕을 불러 일으키지만 있는 그대로 처처에서 만족하고 과욕하지 않는 것이 바로 도이기 때문이다.
성철 스님 만장전시회를 예술의 전당에서 했는데 도법·수경 스님과 함께 연관 스님이 상경해서 참관하고 내려가려고 하던 차에 그분들과 맞닥뜨렸다. 그런데 이분들 대화가 남원까지 가는 고속버스 출발하는 차시간이 아직 많이 남아 있으니 어떻게 시간을 보낼 것인가로 서로 의논 중이었는데, 그 대화내용이 내게는 신선하게 들렸다. 연관 스님은 콩국수나 한 그릇 먹고 가자고 했다.
옛날 한 도인이 이렇게 말했다. 한 객이 도(道)가 뭐냐고 물으니 “배고프면 밥을 먹고, 잠이 오면 잔다”고 답했다. 쓸데없는 망상과 미사여구(美辭麗句)로 사람들 현혹시키지 말고 순리대로 살아야 된다는 말씀이야말로 오유지족이며 청빈이 아닌가 싶다.
2004-11-03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