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사보기
법현 스님의 스님이야기-원법 스님 (上)/관악산 자운암 상임법사
원법(元法)스님은 태고종 원로회의 부의장이다. 원로회의는 사회로 말하면 상원(上院)격으로 종도들의 정신적 사표이며 지도자이신 종정스님을 추대하는 등 종단의 중요한 방향을 정하는 역할을 하는 원로스님들의 결의기구다. 원로회의 부의장쯤 되면 여러 가지 면에서 위상을 찾고 법랍을 따지면서 잘 모셔지기를 은연중에 바랄 수도 있지만 스님은 전혀 그런 면이 없이 아주 소탈하시다. 스님은 종단의 대표적 이론가며 문필가요 교육자로 명망이 높았던 용봉(龍峯)스님께 건당하여 집안의 어른 즉 나의 사숙이 되셨다.
연세도 칠순이 넘고 법랍도 많으신 데다가 사숙이니 어린 내게 조금 가볍게 대해도 되는데 언제나 존중하고 높여주는 것이 변함없어 송구스러울 때가 많다. 지난번에 태고종 종정스님 추대법회를 준비하며 소임을 나누어 맡았는데 재무구조가 열악한 총무원의 형편상 많은 예산을 들일수가 없어서 자리배치나 안내, 다과를 접대하는 다각실(茶角室)을 맡길 단체를 생각하지 못했다. 그저 총무원직원들이 차 심부름이나 하면 되겠지 하는 안이한 생각을 하고 있다가 행사날짜가 코앞에 다가와서야 이래서는 안 되겠다 싶었다.
왜냐하면 종정이신 혜초 스님께서 해인사 말사인 청곡사에서 출가하여 종단과 사회교화의 큰 일을 해 보고자 하는 청운을 품고 서울에 오셔서 당시 큰스님들이 많았던 법륜사에서 오로지 출가수행자의 외길을 올곧게 가신 분이라 종단 내외에서 오실 분이 많을 것으로 생각됐기 때문이다.
그 때 원법 스님이 뇌리에 떠올랐다. 원법 스님은 시(詩), 서(書), 화(畵)에다가 차(茶)와 음악(音樂)까지 조예가 아주 깊었다. 신도들을 잘 가르쳐서 다도회(茶道會)를 만들어 활동하도록 잘 지도하고 계셨다. 지난 여름 전북 완주에 있는 봉서사에서 종단의 여러 사찰들이 모여서 ‘온생명 사상 실천 수륙영산재’를 지낼 때도 적극적으로 도와주셨다. 행사를 준비하고 있는데 원법 스님이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신도들과 함께 차 달일 도구일체를 준비해 오셨다. 웬일이냐고 여쭈었더니 종단에서 여법한 행사를 한다고 해서 오면서 생각하니까 무언가 도와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준비해 왔다는 것이다.
그러한 경험이 있기에 이번 추대법회때도 결례를 무릅쓰고 다각실을 맡아주십사고 부탁을 드렸다. 스님은 흔쾌히 수락하셨고 새벽같이 오셔서 하루 종일 신도들과 함께 그 많은 내빈들의 접대를 도와주셨다. 행사가 끝나자 서둘러서 대전 보은정사로 내려가셨다. 변변이 인사를 드리지 못해 나중에 전화를 드렸더니 간단하게 말씀하셨다.
“쓰임새가 있으니 대단히 고마운 일이예요. 또 쓰일 곳이 있으면 언제라도 불러 주세요. 이 나이에 이렇게 쓰임새가 있다는 자체가 얼마나 다행스럽고 즐거운 일인지 몰라요. 수고했어요.”
한 번은 총무부장 월해 스님의 속가 어른 중 한 분이 돌아가셔서 문상을 갔었는데 고인의 덕이 높아서인지 문상객들이 아주 많아서 복잡하기 이를 데 없었다. 우리 출가자들은 이런 북적거리는 데를 생리적으로 싫어해서 으례 하는 인사정도만 나누고 일어서려고 하였는데 원법 스님이 만장을 쓰기 시작했다.
사람들이 빙 둘러서서 도와도 드리고 구경도 하고 즐겁게 바라보았다. 한 장 한 장 써 가시는데 그 활달한 필치가 정말 자유로웠다.
만장을 다 쓰고나니 주위에 몰려있던 스님들이 큰스님의 글씨를 경책으로 삼겠다며 글씨 써달라고 요청하니 “어허! 이거 또 욕먹을 짓을 하네요 ” 하시면서 다시 붓을 잡았다. 그러면서 스님들에게 원하는 경구(警句)를 부르라고 하여 그대로 적어 나갔다.
나에게도 무슨 글을 쓰면 좋겠느냐고 물어서 태고 스님의 게송인 ‘뒷산에는 꽃이 피어 비단처럼 붉고 앞 시내에 흐르는 물은 쪽빛처럼 푸르다(北山開花紅似錦前溪流水綠如藍)’을 읊었더니 “역시 법현 스님이야!” 하시며 좋아하셨다.
이번에는 신도들이 몰려들어 “저도요, 저도요” 하면서 글씨 써주기를 원하니 원하는 대로 다 받아주셨다. 그러다 보니 밤 열두시가 훌쩍 넘어버렸고 다음 날 홍성에 있는 절에서 법회가 있었던 나는 서둘러 인사드리고 홍성으로 향했던 경험이 있다.
스님은 출가사찰인 해인사에서의 어려움 속에서 홍류동 계곡을 따라 흐르는 물을 바라보며 옛 스님들의 게송을 읊는 것이 지금 생각하면 추억처럼 뇌리에 남지만 그 시절에는 눈물을 몇 말이나 머금은 절절한 고해의 체험이었다고 웃으면서 말씀하셨다.(계속)
2004-10-06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