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사보기
진각 스님의 스님이야기-두타 스님
요즈음은 사미(니)계를 수계한 일 년 이내에 강원이나 선원에 입방하고 4년을 수학해야만 구족계를 수계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한다. 그렇기에 강원이나 선원이 초심자로 북적대지만 이런 강제규정이 없던 예전에는 선원이나 강원의 기초과정도 마치지 않고 운수납자의 길을 걷는 초심자가 아주 많았다. 기초가 충실하지 않은 수행자가 많다는 것은 종단적으로나 수행자 개인적으로나 모두에게 불행한 일이다. 이렇게 규정이 없는 자유방임형의 종단 풍토에서도 총림가풍의 정서가 강하게 배어있는 강원을 스스로 찾아다니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익히고 끊임없는 구도열을 발산했던 스님이 두타 스님이다.
두타 스님은 나의 사형인데 본인이 극구 세상에 드러낼 것이 없다하고 제방에 알려지는데 대한 스님의 동의를 구하지 못해서 부득이 이름을 바꿔서 소개한다. 스님은 좀 별나다. 다른 사람들은 어서 빨리 강원을 졸업하고, 구족계를 받아 다음 단계로 나아가고 싶어하는데, 두타 스님은 사람들의 이런 저런 말에 아랑곳하지 않고 고집스럽게 원칙을 지키고자 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중처소에서도 사람들과 의견대립이 잦았고, 독불장군처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두타 스님은 행자생활도 해인사에 입산하기 전 이미 다른 곳에서 경험을 하고 해인사 행자실에 입방했다. 힘든 해인사 행자생활을 무사히 마치고 사미계를 수지한 뒤에는 선방으로 곧장 가서는 일심으로 정진했다. 그러다 느낀바가 있어서 후배들이 수학하는 강원에 방부를 들여서 초심자가 배우는 <치문>부터 수학했다.
그런데 2학년 과정인 사집을 끝내고 나서 다른 강원의 치문반에 방부를 들여서 1학년 과정부터 다시 시작했다.
이 행동만 보아도 두타 스님은 이미 다른 사람들과 생각이 다를 뿐 아니라 스스로의 가치관이 뚜렷하게 이미 형성돼 있었던 것 같다.
두타 스님은 은사스님인 혜암 스님에게도, 옛날 선사들이 스승에게 법거량하듯 하는 일이 있어 일상생활에서도 사형 사제들을 긴장시키는 일이 많았다. 김장김치를 담글 때조차 양념이 바르게 들어가지 않으면 곧은 소리를 은사스님께 바로 하고, 은사스님이 종정 소임을 보면서 승용차를 타고 다니는 것에 대해서도 직접 스님께 ‘못마땅하다는’ 식의 표현을 하기도 했다. 물론 두타 스님 자체가 욕심없는 일상생활로 완급을 잘 조절하면서 여법하게 정진하니 가능한 일이었다.
두타 스님이 원당암에 기거하게 되면서 사실 대중들은 조심스럽게 생활하는 면도 있다. 행동이 조심스럽지 않으면 누구에게 불똥이 튈지 모르기 때문이다. 두타 스님은 오로지 도(道)에 집중하며 도(道)를 떠난 삶은 생각조차 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이 생각하는 원칙에서 벗어나면 물불을 가리지 않고 즉설주왈로 지적한다. 그러면서도 또다시 자신을 관조하는 수행자의 모습을 잃지 않고 산다.
스님은 스스로의 공부를 점검하고자 탁발행각에 나서기도 했다. 종단에서는 탁발행각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불자들도 조계종 스님들은 탁발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탁발하기가 쉽지 않다. 스님은 해인사 아랫마을에서부터 탁발을 시작했다.
해인사에서 점점 멀어지는 거리만큼이나 탁발도 어려워져 갔다. 어느 한곳을 선택해서 염불과 축원을 시작하면 도중에 시주가 들어와도 반드시 끝내고 나서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그러다보니 하루에 몇 군데 다니지 못해 벌써 탁발을 끝내야 할 시간이 되곤 했다. 개중에는 마지못해서 시주를 하는 사람도 있기 마련인데 그런 사람들에게는 염불과 축원을 끝내고 난 뒤 반드시 (시줏물을) 돌려준다. 그래야 마음이 편하다고 한다.
부처님께서도 시줏물은 삼륜이 청정해야 한다고 하셨다. 시주를 하는 사람과 시줏물과 시주받는 사람이 모두 청정해야 한다고 하셨기 때문에 돌려주는 것도 무리는 아닌 듯 싶다.
또 돈을 너무 많이(?) 시주하는 사람에게는 거스름돈을 얼마 주거나 아니면 전부 되돌려 주기도 하니 어떤 이는 두타 스님을 붙들고 이야기를 하는데 이야기에 빠져서 탁발을 공치는 날도 많았다. 그런 날은 생식을 하기 위해서 과일 몇 개 사고 나면 차비가 없어서 해인사까지 걸어와야 하는 날도 있었다. 탁발하기도 바쁜데 이야기에 빠져드는 것을 보면 마음이 여유롭다는 뜻이리라.
두타 스님만큼 탐 진 치 삼독을 버린다면 아무리 바쁜 세상인들 여유롭지 않겠는가.
■해인사 원당암
2004-09-01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