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사보기
진각 스님의 스님이야기-종고 스님/해인사 원당암
<화엄경>의 ‘입법계품’은 맨 끝이 ‘보현행원품’이다. 선재가 보현 보살을 최후로 만나서 보현행원을 듣는 것은 결국 가르침과 배움이 둘이 아니라는 얘기다. 가르치는 것도 실천을 하기 위해서 가르치고, 배우는 것도 실천을 하기 위해서 배우는 것이기 때문이다. 가르침과 배움이 둘이 아니라면 실천을 통해서만 자유로움 즉 궁극의 평화로움인 해탈을 구현할 수 있다.
인간 해탈을 구현하는 실천덕목을 초기불교는 팔정도(八正道)라 하고, 대승불교는 육바라밀이라 하고, 화엄에서는 보현행원(普賢行願)이라 한다.
사실 깨달음으로 가는 길이라고 해서 제방에서는 화두를 들고 이 무더운 삼복더위에 좌복 위에 몸을 맡기면서 엉덩이가 짓무르도록 산문을 걸어 잠그고 근원적인 물음에 침잠하고 있다. 부처의 길로 접어드는 여덟 가지 길의 첫 번째인 정견(正見)을 갖기 위한 수행도, 대승불교에서 내세우는 육바라밀의 첫 번째 실천행인 보시와 보현행원도 결국은 탐(貪),진(嗔), 치(痴)의 세 가지 독성을 버리지 않고는 한걸음도 내디딜 수 없다.
보시는 마음속 바탕에 자비심이 자리하고 있어야만 비로소 실현된다. 자비심은 삼독을 제거하기만 하면 자연스럽게 발현된다. 자비심이 있다는 것은 기본적인 수행이 되어있다는 얘기다. 기본적인 수행이 되어 있는 사람은 정견의 안목을 갖추고 있거나 보시행을 하는데 걸림이 없다.
종고 스님은 일찍 출가해서 세속나이 오십을 앞뒤로 할 때까지 선방의 문만 여닫는 생활을 계속해 왔다. 또 소임을 살 때는 많은 사람의 시줏물을 도량의 여기저기에 아름답고 질서정연하게 배치되도록 전각이나 다른 상주물로 바꿔서 불자는 물론이고 참배객들까지 즐겁게 한다.
스님이 천은사의 주지소임을 맡게 되면서 천은사는 안과 밖으로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산만하게 흩어져 있던 전각은 제자리를 찾았고, 신도회를 조직해서 지역불교의 활성화도 꾀했다. 사중스님들에 대한 배려도 잊지 않고, 조용한 곳에 위치한 산내 약수암을 깨끗하게 정리정돈해서 정신적인 휴식이나 몸이 불편해서 휴양이 필요한 스님들을 위해서 내놓았다. 이렇듯 스님은 보시하기를 좋아하고, 남에 대한 배려도 깍듯하다.
산내암자의 노(老)비구니스님의 생신은 물론이고, 스님에게 직접 연락하지 않아도 인사는 꼬박꼬박 찾아 챙긴다. 요즘은 행자교육원에 입방하기 전에 본사 단위로 말사 행자들을 본사에서 함께 예비교육을 시킨다. 그럴 때 종고 스님은, 상좌될 행자가 교육을 받고 있으면 본사 행자실에 피교육자 신분을 고려해서 배고픔을 해결할 만큼 대중공양을 낸다. 이정도로 주변을 사려깊게 배려하는 마음은 타고난 성품이 아니면 중간에 그만두거나 아니면 숨이 차도록 너스레를 피워야만 본인이 만족할 터인데, 종고 스님은 원만하고 고운 상호처럼 그저 조용하게 지낼 뿐이다.
평생 선원을 참방하면서 화두를 든다는 것은 자신 스스로의 이익을 위해서 욕심내지 않으며, 그 욕심을 가득 채우기 위해서 성내지 않으며, 그것들이 다 어리석음에서 나온 것임을 깨달아서 이 세 가지 독성이 공부에 장애됨을 알고 좌복에 앉아 묵묵히 세월의 무게를 감내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모든 사물과 행위 하나 하나를 객관적이고, 바르게 볼 수 있는 견해가 생긴다.
내가 구례에서 조그마한 사찰을 창건해서 농촌포교에 열중하고 있을 즈음 사찰 신도회를 조직해 나가는데 필요한 사람들을 접촉해 보면 천은사에서 이미 활동하고 있는 분이 많았다. 비록 우리 절에서 함께 일을 하지는 않지만 재적사찰을 두고 활동한다는 것은 사찰이나 신도, 스님들 모두에게 좋은 일이다. 지금도 길에서 그 분들을 만나면 반갑게 인사하고 지낸다. 사찰신도회가 조직되면 주지스님이 바뀌어도 후임 주지스님과 자연스레 연결됨으로 해서 신도회가 활성화될 뿐만 아니라 지속성을 갖게 된다. 서로를 배려함으로 해서 상생하는 화합이 이루어진다.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곧 보시이다. 그런 면에서 종고 스님은 보시가 생활화되어 있는 스님이다. 스님이 그렇다 보니 스님을 따르는 신도들도 보시하기를 좋아한다. 얼마 전에는 한 신도의 보시로 불교의 불모지라는 전남 광주시 한복판에 ‘광제사’라는 사찰을 창건해서 화엄사 말사로 등록했다. 사찰을 하나 창건하기도 쉽지 않지만 재산 전부를 종단에 등록하기도 쉽지는 않은 일이다. 욕심을 버려야만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욕심을 버리기가 쉽지는 않지만 조금 덜 수만 있다면 그래도 서로를 복되게 할 수는 있지 않을까 싶다. 종고 스님의 복력이 무한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이 있었으면 한다.
2004-08-04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