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운 사람은
자기 마음 다스린다
사왓티성에 사는 큰 재산가의 아들 빤디따는 일곱 살 어린 나이에 출가한 사미였습니다. 출가한지 며칠째 되던 어느날 그는 장로 비구인 사리불을 따라 탁발을 나갔다가 어떤 농부가 자기 논에 물을 끌어대는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빤디따는 사리불에게 물었습니다. “대덕님, 물은 누구든지 원하는 곳으로 끌어댈 수 있는 것입니까?” “그렇다. 물은 사람이 끌어들이는 곳을 따라 흐르게 마련이니라.”
빤디따가 사리불의 대답을 듣고 계속하여 걷고 있는데, 이번에는 나무로 활을 만드는 광경을 보게 되었습니다. 활을 만드는 사람이 구부러진 나무를 불에 가까이 대자 그 나무는 곧게 펴지는 것이었습니다.
얼마를 걷다 보니 목수가 톱으로 나무를 잘라 수레바퀴를 비롯한 갖가지 사람들이 필요한 물건들을 만드는 모습들이 또 눈에 띄었습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광경을 보게 된 빤디따는 혼자 생각하였습니다. “저렇게 아무런 생각을 하지 못하는 물도 농부가 끌어대면 곡식을 자라게 하고 구부러진 나무도 불을 만나면 곧게 펴지며 쓸모 없는 나무도 기술자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 그렇다면 나는 생각할 줄 아는 능력을 가진 사람으로서 어찌 진리를 알지 못할 것인가. 마음이야말로 다스리는대로 되는 것이다.”
수도원으로 돌아온 빤디따는 곧 자기 방을 걸어 잠그고 마음의 현상을 관찰하면서 수행에 몰두하였습니다. 이렇게 여러 날을 오직 수행에 힘쓰자 이를 기특하게 여긴 사리불은 빤디따에게 점심을 가지고 와서 먹게끔 하였는데, 어느 날 부처님은 이같은 일을 신통으로 아시고 오늘은 빤디따가 큰 깨달음을 이룰 것이라 여기셨습니다. 부처님은 자칫 사리불이 빤디따의 방에 들어가게 되면 그의 수행에 지장을 줄까봐 사리불이 그의 방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접근하셔서 일부러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이렇게 두 분 사이에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 빤디따는 드디어 모든 번뇌를 여읜, 그래서 다시는 고통에 속박을 받지 않고 삼계의 윤회로부터 벗어난 아라한의 경지를 성취하게 되었습니다. 빤디따가 수행을 시작한 지 불과 여드레만의 일이었습니다. 부처님은 이와 관련하여 수도원에 머무는 수행자들에게 게송을 읊으셨습니다. “농부는 물길을 내어 물을 끌어들이고/ 활 만드는 사람은 굽은 대를 바르게 펴며/ 목수는 나무를 다듬어 수레바퀴를 만들듯/ 지혜로운 사람은 자기 마음을 다스린다.”
마음 공부는 자신을 경책하고 다스리는 행위입니다. 중생의 마음은 늘 대상을 따라 굽이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굽이치는 곳은 언제나 공통적으로 즐겁고 기쁜 곳을 향합니다. 마음 공부는 바로 이와 같은 마음의 흐름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관찰하여 대상에 빠지지 않고 얽매이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어린 빤디따가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풍경들을 그냥 흘러보내지 않고 자신의 수행으로 연결시켰듯 우리도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사건들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