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중 최고 어른이면서도
안거 습의 꼭 참석 모범 보여
하안거와 동안거, 나고 죽는 문제 해결을 위해서 일년 중 육 개월은 고즈넉한 도량에서 마음 닦는 공부를 해야한다. 해인사는 안거가 시작되면 공부하는 스님들이 안거기간동안 대중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율원장스님을 모셔서 발우 공양 등 여러 가지 습의를 실시한다.
그럴 때 마다 대중은 율원장스님께 삼배를 올리고 난 후 위의와 행의를 율원장 스님으로부터 배운다. 혜암 스님은 이 자리에 꼭 참석해서 대중들과 함께 율원장스님께 삼배를 올린다. 율원장인 종진 스님은 어른스님께서 참석하신 것만도 송구한데 삼배까지 받게 되니 죄송한 마음에 어른스님께서는 그냥 앉아 계시라고 하면 오늘 이 자리는 율원장스님이 법사이니 괘념치 마시고 평소처럼 습의를 진행하라고 하시면서 습의가 끝날 때 까지 대중과 함께 한다.
강원 학인 대중들은 물론 상판 스님들도 빠지고 싶어 하는 게 안거 습의인데, 스님은 산중의 최고 어른이면서도 대중규약은 철저하게 지키니 공부분위기 만큼은 자연스럽게 모범적으로 만들어 지게 된다. 이와 같은 대중과 함께하는 동사섭 정신은 방장이 되어서도 계속되었다.
해인사는 안거 기간동안에 모든 대중이 일주일간 잠을 안자고 좌선을 하는 용맹정진을 한다. 용맹정진은 산내의 모든 대중은 의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법문 날 법상에 오른 혜암 스님께서, 내 상좌가 선방에 용맹정진하러 이제는 오려나, 이제는 오겠지 하고 기다려 봐도 오지 않자 내 상좌가 강원에 있는데 한번도 용맹정진에 들어오지 않는다고 공표를 했다. 물론 당사자인 나는 까마득히 모르고 있었다. 나는 그날 법문을 듣지 못했기 때문인데, 스님을 항상 가까이하니 언제든지 가르침을 받을 수 있다는 자기 합리화와 그 말씀이 또 그 말씀일 텐데 하는 해태심이 가득했기 때문이다.
은사스님은 습의시간도 빠지지 않고 참석하는데, 상좌는 법문 날조차도 보이지 않으니 공부는 차치하고라도 마음상태가 글렀다고 판단하시고 대중에게 공표해서 내 마음의 나태함을 잡아 주자는 의도였을 것이다. 그러나 나에게는 여간 고통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도량에서 만나뵈면 늘 반갑게 인사를 받아주시던 뒷방의 노스님들부터 반응이 싸늘했다. 산내 암자에서 정진하는 비구니스님들은 두말이 필요 없을 만큼 냉랭했다.
내가 강원에 있으면서 용맹정진을 들어가지 않은 이유는 간단했다. 아니 강원을 졸업하고 선방에 가게 되면 수 없이 하는 게 용맹정진인데 왜 학인이 선방에 올라가야하나? 나는 그것이 못마땅하기도 하고 또 용맹정진해야 할 정도의 발심도 못했다. 또 용맹정진하고 내려오면 그 후유증도 심했다. 학인들은 체 해서 병원에 가기도 하고 한달정도 강원공부에 지장을 초래했다.
혜암 스님은 대중처소에 살면 대중들과 함께 호흡하고 생사고락을 함께해야 한다는 철칙을 갖고 계시고 당신은 자리에 누울 때 까지 실천에 옮겼다. 방장소임을 볼 때도 대중과 함께 용맹정진 했고, 종정 소임을 볼 때도 원당암 대중선방에서 손수 죽비를 들고 경책하셨고 법문도 하셨다.
자운, 성철, 혜암, 일타 스님 등 한국불교사에 큰 족적을 남긴 불교계의 선지식들이 우리 곁을 떠났다. 현대불교사에 큰 업적을 남긴 이 어른들이 우리들에게 경배의 대상이 된 이유는 부처님의 말씀을 믿고 가르치고 몸소 실천하신데 있다.
성철 스님을 해인총림 방장으로 모셔왔던 분이 자운 노스님이었다. 그러면서 후배인 성철스님이 총림을 다스리는데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당신은 부산 감로사로 거처를 옮기셨다. 또 성철 스님은 자운 스님께서 언제든지 오셔서 편하게 쉬실 수 있도록 청풍당이라고 이름 붙인 요사채를 지어서 항상 깨끗하게 비워 두었다.
자운 스님께서 청풍당에 오셔서 쉬는 모습은 한번도 보지 못했지만 두 분은 누구보다도 서로를 신뢰하고 존경했다. 하나같이 우리가 배워야 할 정겨운 모습뿐이다. 혜암 스님은 이렇게 청정하고 거룩한 분들을 선배로 모시고 깨달음을 향해서 전설과 같은 공부를 일생동안 굳건한 마음으로 실천해 냈다. 그 분들은 사람의 중요성을 누구보다도 제대로 인식하고, 어른을 공경하고 도반들과 후배들을 아낄 줄 알았다. 그 결과로 법맥을 사람으로 이어 나갔다.
우리는 불교를 무엇으로 이끌어 나가야할까. 신심이 턱 없이 부족한 나로서는 걱정이 태산같다. 산으로 다시 돌아가 한철 기도한 후에나 바로 보는 눈이 제대로 잡힐 수 있을까?
■조계종 포교원 포교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