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5 (음)
> 종합 > 기사보기
현승우바이의 법문
경계 없는 청정함으로 덕(德) 나타내
육근 지혜롭게 다스려 깨달음 실현

선재동자는 선지중예동자로부터 마가다국의 한 부락에 있는 바다나라고 하는 성(城)에 살고 있는 현승(賢勝)우바이를 찾아가 보살행을 배우고 보살도를 닦는 법을 물으라고 하는 가르침을 받았다. 현승우바이를 찾아가 예배하고 나서 가르침을 청하자, 그녀는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선남자여, 나는 보살의 해탈을 얻었으니 이름은 ‘의지하는 곳이 없는 도량’이다. 이미 스스로 깨우쳐 알고 또 다른 이에게 말한다. 또 다함이 없는 삼매를 얻었으니 저 삼매의 법이 다함이 있고 다함이 없는 것이 아니라, 능히 온갖 지혜 성품의 눈을 냄이 다함없기 때문이며, 또 능히 온갖 지혜 성품의 귀를 냄이 다함없기 때문이며, 또 능히 온갖 지혜 성품의 코를 냄이 다함없기 때문이며, 또 능히 온갖 지혜 성품의 혀를 냄이 다함없기 때문이며, 또 능히 온갖 지혜 성품의 몸을 냄이 다함없기 때문이며, 또 능히 온갖 지혜 성품의 뜻을 냄이 다함없기 때문이며, 또 능히 온갖 지혜 성품의 공덕파도(功德波濤)를 냄이 다함없기 때문이며, 또 능히 온갖 지혜 성품의 지혜광명을 냄이 다함없기 때문이며, 또 능히 온갖 지혜 성품의 빠른 신통을 냄이 다함없기 때문이다. 선남자여, 나는 다만 이 의지할 곳 없는 도량해탈을 알 뿐이니, 저 보살마하살의 모든 것에 집착이 없는 공덕의 행이야 내가 어떻게 다 알고 말하겠는가.”
현승우바이가 설하고 있는 ‘의지하는 곳이 없는 도량(無依處道場)’이라고 하는 보살의 해탈에 관한 법문은 보살의 깨달음의 경계와 관련된 내용을 설하고 있는 것이다. 마음이 어떠한 것에도 물들거나 영향을 받음이 없이 청정한 작용을 끊임없이 일으켜 훌륭한 덕(德)을 무량하게 나타내 보이는 것을 설하고 있다. 그녀가 살고 있는 성의 이름인 ‘바다나’라고 하는 것은 중국어로 ‘둥글다(圓)’고 하는 의미인데, 그녀가 덕을 원만하게 갖추어서 많은 사람들을 이익케 하고 기쁘게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녀의 이름이 ‘현승(賢勝)’인 것 또한 이러한 의미와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밝은 지혜로써 여러가지 훌륭한 덕을 실현해 보이는 것이 뛰어나다고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의지하는 곳이 없는 도량’이라고 하는 해탈을 얻었다고 하는 구체적인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 그것은 어떠한 법에도 의지하는 바가 없고, 몸도 또한 의지하는 곳이 없어서 보살행을 행함에 특정한 근본적인 바탕의 모습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모습으로 일체의 보살 만행(萬行)을 두루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의지하는 곳이 없는 도량’의 법문은 항상 공(空)에 머무르면서 살아가고 있는 태도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도량은 진실한 법이 행하여 지는 곳이다. 그러므로 이 법문은 선지식의 깨달음의 심경(心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모든 것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무상한 현실의 경계 속에서 어디에도 의지하는 바가 없이 다양한 모습으로 일체의 보살 만행을 행할 수 있는 마음은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는 마음이다. 그 마음은 모든 상황에 응할 수 있는 마음이다. 경문에서 말하고 있는 의지하는 곳이 없는 마음의 모습이라고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상태에 있는 마음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승우바이가 ‘의지하는 곳이 없는 도량’이라고 하는 보살의 해탈을 얻었다고 하면서, 또한 ‘다함이 없는 삼매(無盡三昧)’를 얻었다고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그것은 ‘다함이 없는 삼매’라고 하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의지하는 곳이 없는 마음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다함이 없는 삼매는 다함이 없는 변화에 응하는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이다. 다함이 없는 삼매는 공(空)에 머물러 있으면서 한없는 변화에 응하여, 한없는 변화를 이룰 수 있는 마음이다.
경문에서 ‘다함이 없는 삼매’를 얻는 법이 온갖 지혜의 성품(一切智性)의 눈·귀·코·혀·몸·뜻·공덕파도·지혜·광명·빠른 신통 등을 다함이 없이 내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까닭에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삼매의 경지로부터 여러가지 신통을 나타내고, 깨달음의 세계에서 여러가지 공덕의 행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현승우바이의 법문을 통해서 청정한 마음의 작용을 끊임없이 일으켜 어떠한 경계에도 구애됨이 없이 항상 깨달음의 세계를 실현해가는 법을 배우게 된다. 그것은 눈·귀·코·혀·몸·마음의 육근(六根)을 잘 다스려서 항상 지혜롭게 보고 들으며 마음을 가짐으로써, 또한 여러가지 공덕을 지음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육근으로 온갖 경계에 취하여 재미와 단맛만을 추구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 중생들의 세계이다.
그러므로 여러 경계에 대한 애욕(愛慾)의 마음을 떨치고 육근을 청정하고 지혜롭게 다스림으로써 의지하는 곳이 없는 도량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금강대 불교문화학부 교수
2004-03-31
 
 
   
   
2024. 11.2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