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4.12 (음)
> 종합 > 기사보기
하재봉/문화평론가
‘대박’ 영화의 허와 실

1993년 임권택 감독의 ‘서편제’가 서울 관객 1백만을 돌파하는데 여섯 달 걸렸다. 그러나 ‘실미도’는 일주일, ‘태극기 휘날리며’는 5일 만에 전국 2백만 관객을 돌파했다. 10년 동안 한국영화계에는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어떻게 관객점유율 15%의 한국영화가 50%대로 뛰어 올랐으며, 열 손가락으로 꼽을 수 있던 서울 개봉관 숫자가 2백여개 이상으로 늘어났는가, 그리고 사양산업으로 인식되던 영화산업에 대규모 자본이 밀려드는가, 우리는 설명해야 한다.
수용자와의 행복한 소통에 성공한 다른 대중문화가 그렇듯이 ‘실미도’나 ‘태극기 휘날리며’의 흥행 요인도 복합적이다. 한국 현대사의 감춰진 부분이 드라마로서 표현되었다거나, 한국전쟁이라는 소재에서 이데올로기를 탈색시키고 형제애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보편성을 획득했다고 대답한다면, 참으로 단순한 시각이다. 물론 국가라는 거대조직에 버림받는 실미도 부대원들을 통해 각각 왜소한 개인으로서 조직에 상처받은 경험을 갖고 있는 관객들은, 자기동일시의 마취작용에 빠지게 된다. 어쩌면 이것은 ‘실미도’ 흥행의 핵심 요인일 것이다.
또 반공 이데올로기의 강박증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군사정권하의 전쟁영화들보다 ‘태극기 휘날리며’가 훨씬 사상적으로 진일보되어 있는 것도 분명하다. 전쟁 신들은 세계 최강 할리우드의 기술진들이 총동원된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화면에 비해 뒤지지 않는다. 한국영화사상 최대의 제작비인 148억원이 투입되었다고는 하나, 그것은 톰 행크스 한 사람의 출연료보다도 적다.
‘쉬리’ 이후 한국 영화계는 대박의 꿈에 부풀어 있었다. 투자 자본의 회수 과정이 빠르고, 성공하면 짧은 기간에 고수익을 올릴 수 있는 영화산업은, 벤처기업의 속성과 많이 닮아 있다. 지금 한국 영화는 기획 제작에서 유통 소비에 이르기까지 영화의 전단계가 체계적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기업형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영화가 어느 날 갑자기 우리들 일상의 핵심으로 진입한 것은 아니다. 영화를 둘러싼 우리 삶의 환경이 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 속도감 있게 사회가 변화하면서, 극장 상영이 끝나면 영화사 창고에 먼지 묻은 채 버려졌던 필름은, 지금은 비디오나 DVD, 혹은 TV 속 주말의 명화나 케이블 TV, 컴퓨터 게임 등으로 계속해서 몸을 바꿀 수 있게 되었다. 이제 영화는 단독의 문화 매체에서 고부가가치를 낳는 영상정보화 사회의 핵심 매체로 위치 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다른 문화예술 분야로 흩어졌던 고급 인력이 영화계로 유입되고, 전국 50여개 대학에 설립된 영상관련학과와 영상원 등에서 체계적 교육을 받은 우수한 인적 자원은 한국 영화의 질적 향상을 이루는 가장 큰 원동력이 되고 있다.
그러나 흥행에 성공한다고 면죄부가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예술로서의 영화가 아닌, 대중적 선전선동에 능수 능란한 재능을 갖고 있는 감독들이 영민하게 대중들의 성감대를 건드리면서 제작하는 영화들이다. 그런 영화들의 상당수는 천박하고, 감성의 유효기간은 극히 짧다. 그래서 치고 빠지는 마케팅을 동원한다. 언론매체를 비롯해서 홍보에 대규모 물량공세를 투입하여 작품의 인지도를 높이고 전국의 많은 극장을 잡아 한꺼번에 개봉하여 단기간에 많은 관객을 동원하려는 ‘와이드 릴리즈’ 전략은, 이런 상업영화의 필수적 마케팅이다.
관객 1천만 시대를 맞은 지금, 우리는 다양한 영화가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체계적 시스템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바람이 빠지면서 순식간에 영화산업은 왜소해 질 수 있다. 그것을 주의해야 한다.
2004-02-18
 
 
   
   
2024. 5.1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