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지식 모습이 거사인 것은
세속에서 중생 위하기 때문
선재동자는 구족우바이로부터 남쪽의 대흥성(大興城)에 있는 명지(明智)거사를 찾아가 보살행을 배우고 닦는 법을 물으라는 가르침을 받았다. 대흥성에 이르러 보니 명지거사는 성 안의 네거리에 있는 칠보대 위의 무수한 보배로 장엄된 자리에 앉아서 일만이나 되는 훌륭한 권속들에게 둘러싸여 있었다.
선재동자는 그의 발에 엎드려 절하고 나서 다음과 같이 여쭈었다. “거룩하신 분이여. 저는 모든 중생을 이익케 하려고, 모든 중생을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하려고, ……, 모든 중생들을 온갖 지혜의 성에 들어가게 하려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었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보살이 어떻게 보살행을 배우며, 어떻게 보살도를 닦으며, 모든 중생의 의지할 곳이 되올지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명지거사는 선재동자가 보리심을 낸 것을 칭찬하면서 어떠한 사람이라도 보리심을 낸다면 능히 보살의 행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격려하였다. 그리고 나서 그를 둘러싸고 있는 일만이나 되는 동료들을 가리키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선남자여, 나는 그들로 하여금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게 하였더니 여래의 가문에 나서 청정한 법을 증장하고 한량없는 바라밀다에 편안히 있으며, 부처의 열 가지 힘을 배워 세간의 종자를 여의었으며, 여래의 종성에 머물러 생사의 윤회를 버리고 바른 법륜을 굴리어 세 나쁜 길을 없애며, 바른 법에 머물러 보살들과 같이 모든 중생을 구원하느니라.
선남자여, 나는 마음대로 복덕이 나오는 창고의 해탈문을 얻었으므로 무릇 필요한 것은 다 소원대로 되나니, 이른바 의복, 영락, 코끼리, 말, 수레, 꽃, 향, 당기, 일산, 음식, 탕약, 방, 집, 평상, 등불, 하인, 소, 양과 시중꾼들의 모든 살림살이에 필요한 물건이 찾는 대로 만족케 되며, 내지 진실한 법문까지 연설하느니라. 선남자여, 잠깐만 기다리라. 이러한 광경을 그대에게 보여줄 것이다.”
명지거사가 이렇게 말하는 사이에 한량없는 중생이 갖가지 방향, 세계, 국토, 도시로부터 와서 명지거사에게 제각기 자기의 욕망대로 요청하였다. 그 때 명지거사는 여러 중생이 모인 것을 알고 잠깐 생각하면서 허공을 우러러 보니, 그들이 요구하는 것들이 허공에서 내려와서 모든 대중의 뜻을 만족케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나서는 갖가지 법을 연설하였는데, 아름다운 음식을 얻어 만족한 이에게는 갖가지 복덕을 모으는 행, 빈궁을 여의는 행, 모든 법을 아는 행, 법으로 기쁘고 선정으로 즐거운 음식을 성취하는 행, 모든 거룩한 모습을 닦아 구족하는 행, 다함이 없는 큰 위덕(威德)의 힘을 성취하여 마(魔)와 원수를 항복받는 행을 연설하였다.
그리고 좋은 맛을 얻은 이에게는 법을 말하여 생사(生死)에 애착을 버리고 부처의 법맛(法味)에 들어가게 하며, 수레를 얻어 만족한 이에게는 갖가지 법문을 말하여 대승의 수레를 타게 하며, 의복을 얻어 만족한 이에게는 법을 말하여 청정한 부끄러움의 옷과 내지 여래의 청정한 모습을 얻게 하였다. 이와 같이 모든 것을 만족케 한 뒤에 알맞게 법을 연설하니 대중들이 법문을 듣고 본래의 고장으로 돌아갔다.
이렇게 명지거사는 선재동자에게 보살의 부사의한 해탈의 경계를 보이고 나서, “선남자여, 나는 다만 이 뜻대로 복덕을 내는 광해탈문[隨意出生福德藏解脫門]을 알 뿐이다”라고 말하였다.
이와 같은 명지거사의 법문은 정진바라밀로서 여러 가지 복덕을 마음대로 지어 낼 수 있는 법을 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선 명지거사가 머무르고 있는 성의 명칭이 대흥(大興)인 것은 정진바라밀로 여러 가지 이익을 크게 일으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거사의 이름이 명지(明智)인 것은 정진바라밀의 수행이 밝은 지혜를 바탕으로 해서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선지식의 모습이 거사로 나타나 있는 것은 세속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도 깨달음의 도에 뜻을 두고 중생을 이롭게 하기 때문이다.
선재동자가 명지거사를 찾아가서 자신이 일체중생을 위해 보리심을 내었음을 고백하고 보살행을 배우고 보살도를 닦는 법을 묻자 명지거사가 그가 보리심을 낸 것을 칭찬하며 보리심을 낸 사람은 능히 보살행을 구할 수 있다고 격려한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명지거사가 선재동자에게 일만이나 되는 보리심을 낸 대중을 나타내 보인 것은 보리심을 일으키게 되면 한량없는 복덕을 지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예증(例證)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한량없는 복덕을 마음대로 내어서 중생을 이롭게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은 일체중생이 하고자 하는 바에 따라서 베푼 후에 정법을 설해서 모든 공덕을 키워가도록 하는 것이다. 대승의 보살행은 이와 같이 중생들이 원하는 대로 무한히 응해 주면서 바른 법을 설해서 그들을 교화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금강대 불교문화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