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다른 자존심·스스로에 엄격
법고의 대가…장엄한 감동 자체
출가 수행자에게 있어 자존심은 생명이다. 더 이상 두려울 것도 아쉬울 것도 없는 보편적인 탐욕으로부터의 탈출을 출가에 비유한다면 더욱 그렇다. 그리고 자신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입장에서 보면 출가한 수행자들은 어디에서든 당당한 자존심을 가져야 한다.
벌써 몇 년째 같이 살고 있는 도국스님은 그런 면에서는 남다른 자존심을 가진 스님이다. 훤칠한 체구와 하얀 피부는 보기만 해도 호감 가는 스님상이고, 매사를 바라보고 어떤 상황을 판단할 때 보여주는 꿋꿋한 자존심은 도국스님만의 매력이다. 스님은 출가 수행자의 남다른 자부심이 삶 속에 그대로 배어있다. 가끔 언론에 스님들의 바람직하지 못한 모습이 보일 때는 한없이 부끄러워하고 분개한다. 그것은 곧 출가에 대한 자긍심이 대단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스님은 청소년 법회에 나오는 아이들, 특히 대학생을 포함한 종무소 직원들의 옷차림과 화장에까지 잔잔한 간섭을 마다하지 않는다. 옷이 단정치 못하다는 것에서부터 액세서리하나까지 은근히 지적하고 다독인다. 그때는 영락없는 노장이다. 요즘같이 자유분방한 세대에게는 숨 막히는 일이기도 하지만, 어느 광고 카피처럼 ‘지킬 것은 지켜야 하고 당연히 그래야 한다’는 소신 앞에는 어쩔 수가 없다.
그리고 본인이 아랫사람에게 반듯한 모습을 요구하는 만큼, 도국스님 또한 같이 사는 스님들에게 스스로 반듯하고자 노력한다. 특히 단순한 예절은 물론 인간관계의 위계질서에 있어 그 누구보다 스스로에게 엄격하다. 그런데 그것이 한 번 해 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몸에 배어있다. 신도들은 그런 점을 높이 사는 것이다. 도국스님은 당연한 결과를 예측하는 일이긴 하지만 사소한 결정 하나 하더라도 반드시 물어서 확인하는 습관을 갖고 있는데, 이때에도 먼저 의견을 내세워 고집하지 않고 언제나 윗사람의 의견을 듣는다. 그래서 결코 짧지 않는 세월을 같이 하는 동안 따뜻했었는지 모른다.
그렇게 나름의 소신으로 살던 도국스님이 어느 날 통도사 승가대학을 다시 입학했다. 강원을 졸업하고 말사에서 몇 년씩 기도정진 하다가 다시 발심해서 후배 스님들과 함께 학인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의지가 분명하고 뚜렷한 소신을 가진 그에게는 강원 생활이 즐겁기만 했다. 그리고 그렇게 공부하는 스님의 모습이 좋아서 신도들이 기뻐했다.
그런 오랜 세월의 강원생활 덕분인지, 조석예불에 치는 사물 중에서 법고에 관한한 자부심을 가질 만큼 북의 대가이다. 박자 감각도 남다르고, 치는 모습도 가벼워서 너나할 것 없이 한마디로 신명이 난다. 포교원을 운영하던 어느 해는 개원 5주년 기념으로 부산문화회관 대강당에서 문화예술제를 열었는데, 그때도 개막을 알리는 첫 순서는 도국스님의 법고였다. 장엄한 울림 속에 북의 테두리를 치는 딱딱한 고음은 내면을 휘돌아 내뱉는 법열 자체이다. 그 이후로는 행사 때 북을 칠 일이 있으면 당연히 도국스님이다. 북을 한번 치고 나면 그 울림의 감동이 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오래 간직되는 힘을 갖고 있었다.
강원을 두 번 졸업하는 열의를 보인 도국스님이 이번에는 선방을 간다고 갔다. 곡성 태안사에서 첫 안거를 지냈다. 강원과는 또 다른 경험을 통해 나름대로 환희에 차 있었다. 한 철을 끝내고 다시 돌아 왔을 때는 몸도 마음도 한결 성숙된 모습이었다. 동진출가라 항상 어리게만 느꼈었는데 이제는 세월의 무게가 제법 느껴지는 듯 했다. 그리고 평소에 보여주었던 출가자의 소신이 더욱 무르익어 감을 실감했다.
“불법이 쇠락하는 것을 정말로 염려한다면 자기부터 바르게 하고 다른 사람 앞에 겸손하고 덕망 있는 이를 받들고 마음이 간사한 사람을 멀리해야한다.”고 <선림보훈>에서 가르치고 있다. 이 시대에 정말로 부처님의 법이 쇠락하지 않기를 바란다면 출가자가 자기부터 바르게 하는 일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어느새 함께 산지도 십년 세월을 헤아리고 있다. 처음에 보여주었던 앳된 모습을 벗고 갈수록 성숙되어가는 도국스님을 보면서 참 바른 길을 가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그리고 아무리 화려한 감투와 경력을 가졌다 해도 내면에 올바른 가치관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수행이라는 자체가 사상누각에 불과한 일인데 의외로 보기 드문 수행자의 자존심과 소신을 확인할 때는 희망과 함께 고마움을 느낀다.
■(사)한나래문화재단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