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사보기
현덕스님
늘 반듯하고 빈틈없는 성격
도반들 화합이끌며 下心

어느 아나운서가 항상 자기야말로 반듯한 사람이라고 농담반 진담반으로 이야기하는 것을 들었다. 일단 눈으로 보면 반듯하기는 하나 무엇이 반듯한 것인지 어떠해야 반듯한 것인지는 저마다 사정이 다 다르다. 워낙 바르지 못한 일들이 세상을 물들여버렸기 때문이다. 정치를 비롯해 모든 계층에 걸쳐 사회전반이 혼탁해져서 그야말로 오탁악세를 보는 듯한 요즘의 세태에서 누구나 인정하는 정말로 반듯한 도반이 있다. 통도사 비로암에 있는 현덕스님이다.
공군법사를 마치고 기분과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인도 성지 순례를 갔다. 약 두 달 정도의 만행을 통해 나는 내면의 많은 변화를 안고 돌아올 수 있었다. 그리고 바로 통도사 승가대학에 방부를 들였는데, 거기서 처음 본 현덕스님은 약간 검은 피부색에 말라 보이는 얼굴이었다. 눈은 기상이 있었고 말수가 적어 어찌 보면 도도하게 조차 보이는 스타일이었다. 그런데 살아가면서 보니까 겉으로 풍기는 이미지와는 전혀 달랐다. 강당에서의 공식적인 시간외에 시간만 나면 은사스님을 도우러 산내 암자인 비로암에 올라가는 효 상좌였다. 허튼 모습이라고는 찾을 수 없어 여학생들의 표현대로 한다면 ‘얄밉기 까지’한 도반이었다.
나도 출가해서 살아오면서 반듯하고자 노력했었다.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지만 걸음걸이에서 말투 하나까지 의식적으로 그러해야 한다고 노력했지만 현덕스님의 잔잔한 행동에서 자연스럽게 배어나오는 반듯함에는 도반이지만 존경의 마음까지 들었다.
그의 매력은 반듯함만이 아니다. 도반에 대한 따뜻한 배려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강당 생활의 묘미 중 하나는 저녁예불 후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논강이라고 할 수 있다. 젓가락보다 가는 대나무 막대에 번호를 새기고 절에 들어온 순서대로 자기번호를 정한다. 그리고 막대기 하나 나올 정도의 구멍이 뚫린 대나무 통에 번호가 새겨진 막대들을 넣고 죽통을 흔들어 제일 먼저 나오는 번호의 주인공이 논강을 주도하는 논주가 되는데 이때의 설렘이야말로 참 미묘하다. 그러니까 죽통에서 자기번호가 나오지 않기를 가슴 졸이는 것이다. 왜냐하면 일단 논주가 되면 주어진 분량을 해석해야 하는데 그 준비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전통적인 것이면서 동시에 앞서가는 공부방법이다.
이때에도 현덕 스님은 같이 공부하는 도반들 중에 한문 해석능력이 단연 앞서갔지만 절대 드러내거나 자만하는 일이 없었다. 그것은 같이 공부하는 도반들에 대한 작은 배려였다. 요즘같이 내세우는 세상풍조에서는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자신을 낮추었다. 그래서인지 대교반 때에는 입승소임을 보게 되었는데 이때에도 흔들리지 않는 반듯함과 시비하지 않는 성품으로 원만하게 소임을 마무리했다.
그리고 통도사승가대학을 졸업하고는 선방에 가서 열심히 정진했다. 거의 철을 거르는 일 없이 정진하더니 어느 철에는 비로암에 있다는 것이다. 이유를 물었더니 비로암을 다시 짓는 불사가 시작되어 은사스님을 도와야 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런데 그때에도 불사만 하는 것이 아니라 대 강백 각성스님 밑에서 경전을 공부하는 부지런함으로 감동을 주었다. 선방에서는 어떻게 살았는지 같이 살지 않아서 알 수는 없지만 모두의 귀감이 되었을 거라는 생각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대로 여여한 스님이 현덕스님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또한 시비를 좋아하지 않는 성격도 높이 살만한 일이다. 강원 도반들은 일년에 한두 번 모임을 갖는다. 그때에는 선방을 다녀온 도반과 나름대로 소임을 산 도반들이 선방의 우위에 대해 치열하게 공방을 벌이는 일들이 종종 있는데 본인이 선방에서 정진하는 입장이면서도 항상 어느 편이기보다는 도반들의 화합에 더 마음을 쓰곤 한다.
얼마 전 내가 주지소임 문제로 고뇌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때도 무작정 찾아갔는데 별다른 것 없이 작설차 한잔 앞에 놓고 이런저런 이야기로 함께 공감해 주어 내심 고마웠다. 굳이 전후좌우를 소상하게 이야기하지 않아도 진정한 대화를 통해 마음 편하게 돌아올 수 있어 흐뭇했다.

소중한 도반 현덕스님처럼 세상 모두가 반듯한 자기를 지킨다면 시비 없는 세상에서 함께 어울려 노래하고 춤추는 평화로운 정토를 이룰 수 있으련만… 눈만 뜨면 부딪치는 어이없는 중생 놀음은 언제쯤에나 자유로울 수 있을지….
■(사)한나래 문화재단 이사장
2003-03-12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