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2 (음)
> 종합 > 기사보기
불교포럼 ‘중도사상과 참여민주주의’토론회
자타불이·자비정신으로 참여민주주의 정착

불교포럼(공동대표 박승원, 김연규)은 2월 26일 제24차 열린토론마당 ‘중도사상과 참여민주주의’를 개최했다. 이날 손혁재 교수(성공회대 정치학)는 “불교의 자타불이 사상을 전제로 한 자비정신의 확산은 민주주의 정착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고, 김종욱 박사(동국대 강사, 불교철학)는 “불교민주당이나 불교사회당 등 정당을 만들어 정치에 참여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편집자>

손혁재
성공회대 정치학과 교수

개혁불사 통해
변화·요구 적극 수용

민주주의가 더디게 정착되는 것은 불완전한 절차와 제도화와 파행적인 법 집행 및 운용에도 기인하지만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데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연기성에 대한 자각을 바탕으로 나와 남이 둘이 아니라는(自他不二) 점을 전제로 한 무조건적, 포괄적인 사랑인 자비정신의 확산은 민주주의 정착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 나 혼자만 깨달음과 극락정토에 다시 태어날 것을 염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모든 중생의 구제를 추구하는 대승정신 또한 민주주의 정신과 다르지 않다.
현대 사회의 문제 가운데 하나는 인간 상실의 시대라는 점이다.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없는 인간 상실의 시대에 인간 중심의 종교인 불교는 인간을 인간 본연의 자리로 되돌려 보내 줄 것이다. 또 우리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남북ㆍ지역ㆍ계층ㆍ성별ㆍ세대ㆍ종교 간의 갈등과 대립은 불교의 원융회통의 정신과 방편의 묘를 살리면 통합과 화합으로 이끌 수 있다.
불교가 계속 산중에만 머무르면서 사회에 등을 돌리고 있어서는 안 된다. 불교의 기본 교리는 고통 속의 중생을 구원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개혁불사를 통해 시대의 변화와 요구를 과감하게 받아들여 중생의 삶의 질을 높이고 중생 구원을 위한 민주 정치를 이 땅에 꽃피우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불교계가 아끼지 않기를 바란다.

김종욱
동국대 강사

불교민주당·사회당
결성 고려해야

현대 민주 국가에서 불교는 종래의 세속화가 아닌 새로운 사회화를 모색해야 하고, 그것은 사회의 구조 등을 깨달음의 성취에 합당한 배경 조건으로 만드는 것이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사회의 구조 등을 불교적 이상에 맞춰 적극적으로 개입 개선해 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즉 불교민주당이나 불교사회당의 결성이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보탬이 되지 않을까 고민해야 될 것이다.
그렇다면 시민사회 또는 시민단체의 올바른 위상과 역할을 무엇일까? 시민 사회가 해방 지향의 자율 장치라면 국가는 간섭 지향의 통제 기관이다. 따라서 시민사회가 국가에 대해 감시와 견제를 늦추지 않는 것이야말로 민주주의를 공고화하는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시민단체의 구성원이 시민사회 활동을 경력삼아 국가의 공직에 나가는 것은 자기 정당성의 부인이 아닐까?
시민의 정치 참여 부분에서 가장 바람직한 자세가 중도(中道)다. 왜냐하면 어느 일방에 서 있는 자기 이익의 희생 없이 진정한 소통을 불가능하며, 민주주의가 정착되기 위해선 단순한 제도화를 넘어 실질적 관행의 합리화가 중요한 바, 이 때의 이성은 계산적 이성보다는 중도적 이성이 더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에서 그 반야의 지혜가 곧 중도의 지혜이며, 원융회통사상도 중도사상 이외의 것이 아니다.

홍성범
민주당 홍보위원회 부위원장

정치참여 시대 흐름,
성직자 참여는 신중히

노무현 대통령은 새 정부 명칭을 ‘참여정부’로 정하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주주의 △더불어 사는 균형발전 사회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대 등 3대 국정목표를 설정했다. 이와 함께 국가운영의 기본원칙이라고 할 수 있는 4대 국정원리로 원칙과 신뢰, 공정과 투명, 대화와 타협, 분권과 자율을 제시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불교의 사회참여와 정치참여는 시대의 흐름과 일치한다. 현재 정치판에서 정당 개혁을 말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자신이 개혁대상이 되는 것에 대해서는 강한 거부감을 나타낸다. 또 합리적 개혁세력이 부족해 개혁과 청산 대상을 구분할 수 있는 잣대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때 불교가 사회나 정치에 참여한다면 이것은 합리적 개혁세력의 강화로 이어질 것이다.
여기서 문제는 어떤 방식으로 참여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즉 불교민주당이나 불교사회당처럼 하나의 정당을 만들어 성직자들이 정치에 참여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가란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이제까지 종교의 정치 참여는 종교계 내부에서 진지한 토론과 고민 후 결정됐다기보다는 개인적인 결정에 좌우됐던 것이 현실이다.
성직자가 국회의원이나 장관을 지향점으로 삼고 종교활동을 하는 것에는 반대한다. 또 정당을 만들어 정치에 참여하는 부분은 내부의 오랜 고민과 토론이 필요할 것이다.
2003-03-05
 
 
   
   
2024. 11.2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