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우잠 포교로 종합도량 일궈
굳은 의지·탁월한 기획력 존경
초기경전에 부처님께서는 `절`을 세우기에 적당한 장소에 대해 말씀하셨다. 사람들이 많이 모여사는 성(城)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고 그렇다고 너무 가깝지도 않으면서 숲이 있는 고요한 한정처(閑定處)를 말씀하셨는데, 이러한 언급은 그 당시 출가교단의 탁발(托鉢) 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음식이나 의복, 탕약등의 생필품을 공양받기 위해서는 신자들과의 교류가 필요했기 때문일 것이다. 기록에 의하면 중국에서는 최초의 ‘절’을 백마사(白馬寺)로 보고 있는데 이곳은 관청이었다고 한다.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는 곳에 있었음은 물론이다. 불교가 처음으로 우리나라에 전해졌을 때 먼저 불교를 받아들인 세력은 왕족을 중심으로한 지배 계층이었다. 자연히 ‘절’은 궁궐과 도시에 있었을 것이다. 신라 경주의 황룡사 같은 절은 시내 한복판에 거대한 규모로 자리잡고 있었다. 고려시대에 불교는 건국 이념으로서 왕족, 귀족, 평민들 사이에 폭넓게 받아들여져 도시와 촌락에 많이 건립되었다. 조선의 건국은 이러한 `절`의 근본 기반을 흔들 정도의 큰 사건이었다. 숭유억불(崇儒抑佛)의 이념적 배경과 고려 왕조의 정신적 가치였던 불교의 세력을 견제하려는 정치적 상황들이 맞물려 `절`과 스님들을 산으로 내모는 상황이 되었다. 물론 삼국시대에 전해졌던 선종(禪宗) 계통의 불교 영향으로 깊은 산중에 수행처로서의 가람(伽藍)이 조성되었음도 간과할 수는 없다.
‘절’이야기를 장황하게 하는 것은 도심포교당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자 함이다. 그래서 그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 먼저 언급했다. 지금 우리 주변에는 도시의 변두리나 복판에 그것도 콘크리트 건물 속에서 전법(傳法)의 원력 하나로 수행하시는 스님들과 불자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좋은 현상이다. 그러나 아직도 선입견으로 인한 어려움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보통은 `절`하면 산과 강이 어우러진 자연의 모습과 기와, 단청등을 떠 올린다. 그러니 빌딩속의 절에는 거부감부터 들 것이다. 포교당에 계셨던 분들은 잘 알겠지만 절을 찾아오는 분들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는 일보다 왜 도심에 포교당이 생겼는지, 빌딩에서도 절로서의 기능(?)에는 문제가 없는지, 혹시 점 집은 아닌지… 등등 뭐 이런 것들을 설명하느라 훨씬 많은 시간을 소비하곤 한다. 그리고 그럴때마다 그만두고 산으로 돌아가고 싶은 생각이 많이 든다. 사실 큰 절에선 살기가 훨씬 편하다. 자신의 소임만 충실히 해낸다면 나머지 시간은 각자의 수행시간이니까.
그러나 포교당은 다르다. 기도는 물론 각종 법회, 행사에다가 재(齋)를 지내고 신도들의 상담, 절의 경제적 운영까지 그야말로 팔방미인이 아니면 해내기 어렵다. 그래서 지금도 도심포교당 10개 중 6~7개가 1년 내에 문을 닫는다고 한다. 솔직히 고백하면 나도 문을 닫고 싶은 적이 여러 번 있었을 만큼 포교당의 생활은 어렵다. 이제 겨우 5년 정도를 살고 난 나의 푸념이다. 그럴 때 내게 용기와 격려를 해 주시던 스님이 퇴휴스님이다.
스님은 나보다 5년 정도 먼저 포교당을 열고 정진했다. 삼각산 운가사에서 몇 명의 청년 불자들과 함께 겨우 임대보증금을 마련하여 도봉구 창동역 앞의 건물 귀퉁이에서 맨 시멘트 바닥에 새우잠을 자며, 베니어판의 임시 불단에 석굴암 부처님 사진을 모시고 시작한 포교활동이었다. 그러던 것이 지금은 중랑구 신내동 봉화산 자락에 3백여평의 종교 부지를 분양받아 등록 신도 2천여 세대의 거대 도심 포교당으로 자리 잡았다. 나보다 훨씬 어려운 환경에서 시작하고 고비를 넘긴 도심 포교의 베테랑 스님인 셈이다. 나는 스님에게서 도심 사찰로서의 본연의 기능에서부터 세세한 운영의 방법까지 정말 많은 것을 배웠다. 그리고 힘들고 지쳐 있을 때 지금은 포교의 도량이 정말 필요한 때라는 스님의 확신에 찬 말씀에서 생각을 고쳐 먹곤 했다.
경제적으로 살림이 넉넉하지 않을 때는 여유가 없어지는게 보통이다. 포교당의 살림도 그러해서 나는 그때 그때의 상황을 모면하곤 하는데 스님은 그럴때일수록 보다 치밀한 계획과 기획으로 어려움을 이겨나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스님이 주지로 계시는 법장사의 신행활동을 살펴보면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기획을 가지고 조직적이며 체계적인 모습으로 발전해 간다. 올해로 개원 12주년을 맞는 법장사는 유치원을 포함한 종합 기능의 도심 사찰 건립이라는 원대한 계획을 가지고 오늘도 대중 모두가 정진하고 있다. <계속>
■서울 창동 정혜사 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