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사보기
【호산스님의 스님이야기】 석두스님
가끔 엉뚱한 행동하지만

가진것 다주는 맑은 심성



산행을 한다. 가파른 산등성이를 몇 번이고 오르내리다 보면 갈증이 인다. 그때 조그만 바위틈 졸졸거리며 고여있는 샘물을 두손으로 조용히 떠서 목을 축여보자. 그리고 일렁이는 햇빛 물살 속에서 말갛게 동그라미를 그려 나가는 샘물을 바라본다. 그러면 동그란 얼굴의 장난기 많은 그 스님의 맑은 심성이 생각난다.


바람이 분다. 어느덧 가을이란 계절이 바람을 안고 저 계곡 어디에선가 부터 달려오고 있는가 보다. 서늘한 가을바람이 휑한 가슴을 가볍게 스치고 지나간다. 그러면 늘 가을바람처럼 맑고 시원한 성격으로 녹차 한잔을 들이밀던 그 스님의 웃음소리가 생각난다.


석두(石頭)스님.


어릴 적부터 무척 개구장이였었나 보다. 산중에서는 대개 그믐날과 보름전날에 삭발을 하는데 어쩌다 그 스님의 머리를 깎아주다 보면 마치 머리 전체가 휴화산의 분화구를 연상케 할만큼 흉터가 많다. 여간 조심하지 않고는 베어지기 십상이다. 아마도 석두스님은 어릴 적 골목대장쯤은 되지 않았을까 ?


이 석두스님의 행자시절, 재미있는 이야기가 하나있다. 어느 날 은사스님께서 개울가에 쭈그리고 앉아 고무신을 닦는 모습이 이 행자가 보기에는 무척이나 죄송하고도 안타까웠던 모양이다. “어떻게 하면 저 고무신을 매일 닦지 않아도 될까?” 그래서 고민 끝에 그 해답을 찾았다. 그리고는 은사스님에게 자랑스럽게 고하였다. “시님, 이제는요, 그 고무신을 애써 씻을 필요는 없걸랑요. 지가요 다 조치를 취해 놓았걸랑요.” 은사스님이 요놈이 또 무슨 짓을 저질렀나 싶어 따라가 보니 정말로 고무신이 유난히도 반짝거리는 게 아닌가. 그래도 미심쩍어 가까이 가보니 아뿔싸 흰 고무신에 니스를 칠해 놓았던 것이다. 하나만 더 소개해 보자.


산중에서는 스님들 방마다 차상(茶床)이 있어 항상 차를 가까이 벗하고 사는데 하루는 사숙스님 방에 가보니 창살문짝에 바퀴를 달고 유리를 얹은 그 차상이 석두스님 보기에는 무척이나 좋았다. 그래서 스님도 하나 만들려고 작심을 하게 되는데 도통 문짝을 구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급한 김에 화엄사 보수공사로 잠시 떼어 보관해둔 국보급 문짝을 가지고 차상을 만들었다니 정말 못 말리는 스님이었다. 스님 법명이 돌 석(石)자 머리 두(頭)자 된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니란 생각이 든다. 은사스님께서 어떤 마음으로 지어 주셨는지는 모르지만 우리는 그렇게 믿고 있었다.


석두 스님은 무엇이든 자신이 소유하는 법이 없다. 가진 것 있으면 다 주어버리고 그도 모자라면 어디서 구해서든 줘 버려야만 직성이 풀리는 성격이다. 석두스님이 해인 강원에 있을 때다. 석두스님의 은사스님께 없었던 버릇이 생겼다고 하는데 그것이 석두스님 때문이란다. 석두스님이 다녀간 자리는 온전하게 보전된 것이 없었다. 온갖 곳을 다 뒤져 옷이며 내의며 양말이며 또 기타 것들을 주섬주섬 담아 가지고는 주위 어려운 사람이나 필요한 사람들에게 다 나누어 줘 버리는 통에 급기야 은사스님께서는 자물통을 채웠다나 어쨌다나?


하지만 석두스님의 생각이 모자라서 생기는 일들이 아님을 알고 있다. 그 어떤 스님보다 속이 꽉 차고 정이 많은 스님이라 너무나 알차고 알차서 삐져나온 행동임을 잘 알고 있다.


석두스님이 사미계를 받을 때의 일이다. 힘든 행자생활을 마치고 계를 받은 사미들은 열심히 중생활 잘하겠노라고 서원하며 서로가 서로의 신심을 북돋워 주며 삼삼오오 일주문을 나설 때였다. 어디선가 격한 목소리가 들리고 있었다. “야 이눔아, 네가 뭐가 부족해서 중이 되려고 하느냐 ?” 호통소리와 함께 한 사미가 가족들의 손에 붙잡혀 어디론가 끌려가는데 또 다른 한곳에서는 손에 꽃다발을 든 중년부부가 한 사미에게 꽃공양을 올린 다음, 비가오는 진흙탕 속에서 삼배를 올리고 있었다. 그 사미가 석두스님이며 중년부부는 석두스님의 부모님이었다. 그런 부모님 밑에서 자란 석두스님이었으니 그 심성이 맑기야 오죽하겠는가.


지금 석두스님은 해인사 승가대학을 졸업한 후 천은사에서 천일기도 중이다. 강원졸업하고 얼마 후 시작했으니까 한 오백일쯤 되나보다. 항상 베풀기 좋아하고 남의 아픔을 자신의 아픔으로 간직할 줄 아는 스님. 가끔씩 엉뚱한 행동으로 곤혹스럽게도 만들고 곧잘 응석도 부릴 줄 아는 스님. 이 석두스님을 만난지도 칠팔 년이 되어간다. 항상 어린 줄만 알았던 스님이지만 정말로 출가의 정신을 잊지 말고 열심히 정진하자던 경책의 말로 나태해진 나 자신을 곧잘 일깨우기도 하는 스님. 이제는 이십대 후반의 나이에 하루 사분정근의 기도를 하면서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지금 나의 손목엔 관솔을 손으로 빚어만든 염주가 걸려있다. 얼마 전 석두스님이 서울 생활 중에서도 항상 초발심의 마음을 잃지 말라고 천은사에서 보내준 선물이다. 언제든지 손목을 들면 솔 향기가 난다. 이 솔 향기는 석두스님을 닮아 있다. 항상 언제까지나 이 솔 향기처럼 푸르고 성성하게 천진무구함을 잃지않는 스님으로 정진하길 기원해 본다.


*앞으로 3개월간 스님이야기를 연재할 호산스님은 1989년 지원스님을 은사로 해인사에서 출가, 해인사승가대학을 졸업했다. 월간 <해인> 출판부장, 봉은사 포교국장을 역임하고 현재 고려대장경연구소 기획실장으로 있다.
2000-10-11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