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사보기
법해스님
대중과 함께 20여년 정진
초납자들의 버팀목 역할

스님들 모두가 출가의 동기도 다르고 수행의 방법도 각기 다 다르다.

요즈음은 기초교육 기관에서 공부하는 것이 의무화가 되었지만 몇년 전만 해도 자유였고, 마음자리 하나 닦으면 되지 뭘 글공부냐고 생각하는 어른 스님들이 이끄는 방향에 따라 자신의 수행방향도 달라지기 마련이었다. 보통 기초교육 기관에서 공부를 마칠 때까지는 비슷한 수행의 모양으로 닮기는 하지만 그 교육 기관에서 떠나면 각자의 살림살이는 다르다. 학문을 위해 서울로 가는 스님, 각자의 사찰로 돌아가서 포교와 주지의 소임을 사는 스님, 아니면 선원으로 들어가 참선하는 스님… 각기 다른 모양으로 수행의 자리를 굳혀간다.

법해스님은 법주사 수정암으로 출가를 했다. 그리고 운문사 강원(지금은 승가대학이라 하지만 강원이 더 정감이 가는 말이다)을 졸업한 후 곧장 선원에서 한 안거도 쉼없이 수행정진하고 있다. 지금은 대구 동화사 양지암에서 입승 소임을 맡고 있다. 이제는 스님의 나이 또래 수좌들이 나름대로 정진의 힘을 모아 보겠다고 대중보다는 토굴을 찾고 있는 실정인데도 스님은 대중과 더불어 정진을 해야만 게으름이 생기지 않고, 모두 토굴을 찾아 가면 각 사찰마다의 선원을 찾는 초납자들의 버팀목 역활은 누가 하느냐면서 대중과 함께 정진하고 있다. 높은 수행의 경지는 오르지 못했지만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이런 일이 아니겠느냐는, 스님의 평소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많은 편리함속에 묻혀있는 내 살림살이가 그저 초라해 보이기만 하다
스님은 선원에서 정진하면서도 지병으로 오래 고생하신 은사스님의 병 간호도 지극했다.

때론 짜증을 부릴만 한데도 이것도 수행의 한몫이며, 노후에 나도 이러지 말라는 법이 있느냐는 것이다. 그동안 열심히 수행해 오신 은사스님의 시봉을 할수 있는것도 나만이 가지는 큰 복이고 화두를 챙겨 가는 만큼 소중한 일이며, 수행의 한 부분이지 수행을 따로 떼어서 좌복 위에서만 이루워 진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수좌의 근본 생각이 아니라고 하며 맑은 미소를 보인다.

은사스님 열반 후에도 스님은 입승 소임을 맡아 대중을 외호하면서도 틈틈이 스님 영전 앞에 49일 동안 기도하는 그 효성은 정말 지극했다.
또 스님은 학문을 하고 포교를 하는 도반들을 만나면 칭찬과 격려도 아끼지 않는다
나는 산중에서 앉아서 졸기만 하면 되지만 학문을 하거나 포교를 하여 한사람의 마음을 불심으로 바꿔 놓는 일만큼 어려운 일이 있겠느냐는 것이다. 스님은 모아 둔 용돈을 학인들에게 책값으로 주기도 하고 포교하는 스님들에게는 포교비용으로 사용하라고 넌즈시 건네 주기도 한다.
지난해 일이다. 도반의 은사스님 49재가 법해스님이 안거하고 있는 사찰에서 봉행됐다.

오래간만에 만난 도반들은 스님의 온기가 감도는 좁은 방안에서 손수 끓여 주는 차를 마시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데 스님이 문득 일어나 벽장에서 무언가를 꺼내왔다. 스님의 손에 들린 것은 다름 아닌 신문스크랩이었다. 지면으로만 만날 수 있는 정운스님이기에 이 지면 속에 도반의 생각과 모습이 담겨있는 듯 하여 스크랩해 두었다고, 그리고 우리 도반이 쓴 글이라고 선원대중들에게 읽어주고 자랑을 했다고 하면서 방안에 있는 도반들에게 그 내용을 읽어 주었다. 내 도반 중에 이리 글을 쓰고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고 일깨워 주는 도반이 있다는 것이 든든한 힘이 된다고 하며 다시 벽장속으로 넣는다. 작은 것 하나도 내 일인 양 기뻐하는 스님의 맑은 심성, 불립문자(不立文字)를 내세우는 수좌들의 근본자세와는 달리 좋은 글이 있으면 그냥 스치지 않고 읽을 줄 아는 스님이다. 수좌라고 대접받고 싶어하거나, 학문하는 스님, 포교하는 스님을 사판(事判)이라고 나무라기는 커녕 받아들이고 인정해 준다.

스님은 참으로 가식이 없다. 법해스님을 보고 있노라면 비운다는 것이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결코 아님을 확신한다. 그것은 20년동안 불철주야 오로지 챙겨온 화두의 참의미를 다듬고 실천하려고 노력해왔기에 가능 한지도 모르겠다.

겨울산사는 지금 고요한 무언의 침묵이 끊임없이 흐르고 있을 것이다. 그 침묵이 오래 잠들지 않게 죽비의 큰 깨침으로 초납자들의 버티목 역할을 해 주는 법해스님이 안거하는 도량엔 겨울의 거친 바람도 결코 창호지를 뚫지 못하고 잠들 것이다.

납월 8일, 문득 부처님께서 새벽 별을 보고 “모든 것은 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평범한 사람에서 이 세상의 모든 진리를 깨우친 자리에 우뚝 선 것처럼 지금 법해스님도 산중에 묻혀 그 심오한 진리 터득을 위해 죽비를 치는 한, 산중의 침묵은 침묵으로만 있지는 않을 것이다.

이번호부터 3개월동안 ‘스님이야기’를 연재하는 정운스님은 74년 석남사에서 성우스님을 은사로 출가, 운문사 강원과 중앙승가대를 졸업했다. 현재 보령 세원사 주지로 청소년포교에 남다른 원력을 보이고 있고, <가슴으로 사는 사람들> 등 다수의 시집과 수필집을 펴냈다.
2001-01-01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