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사보기
[설곡스님의 스님이야기] 지월스님
노소불문 누구에게나
자비와 하심으로 대해

(전호에서 계속)
스님의 하심하시는 모습은 누운 풀처럼 부드러웠다. 언제 어디서고 누구에게나 자비심 충만한 부드러운 모습으로 대했으며, 또 인욕하시는 모습은 높은 산처럼 견고해 어떤 경우에도 수도자에서 벗어난 흐트러진 모습을 볼 수 없었다.
내가 동료들과 언쟁을 하고 분을 삭이지 못하고 억울해 하고 있으면 어느새 다가오셔서 “사나이 대장부가 이왕지사 출가하였으면 모든 것을 산문 밖에 던져버리고 부처님 될 일만 생각해야지요”하고 위로하셨다. 내가 이런 저런 하소연을 하면 “아, 보살이 생각해 보세요. 출가한 자로서 이것저것 세상의 옳고 그름을 모두 따지다 보면 언제 수행합니까? 참으세요. 어금니를 지그시 물고 꾸욱 참아야 합니다. 그 스님이 당신에게 참으라는 법문을 해주는 겁니다. 억울할 때 참아야지 언제 참습니까?” 하시며 내가 분을 삭이고 흥분된 마음이 가라앉을 때까지 내 손을 잡고 마음으로 어루만져 주셨다.
어떠한 경우에도 마음의 평정을 잃지 않고 한결같이 하심과 인욕을 실천하셨고 따뜻함 하나로 모든 이들을 대하셨던 그분을 모시고 살았던 모든 이들은 잊지 못할 것이다. 스승이란, 이름을 걸어 인연을 맺었다고 해서 되는 것은 아니다. 제자가 무엇을 고민하고 있는지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알고 그것을 해결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것이 경책(警責)이며 지도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지월스님은 대중들이 가슴에 품고있던 문제를 모두 자상하게 지도해 주셨던 영원한 스승이었다.
수행의 힘이란 이론과 논리의 전개에 있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박학다식하더라도 자비심을 실현하지 않으면 진정한 수행인이라고 할 수 없다. 지월스님께서 가끔 설법하실 때가 있었다. 스님께선 무슨 거대한 이론을 펼치진 않았으나 누구에게나 가슴에 와 닿는 살아있는 법문을 하셨던 것으로 기억된다. 나는 그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지식이 아니라 자비가 살아 숨쉬는 따뜻함이란 것을 알았다. 강함보다는 부드러움이 얼마나 큰 힘을 발하던가, 하심의 모습만큼 큰 가르침이 있던가. 이를 알게 하는 일화가 있다.
어느 날 스님께서 일주문 부근에서 휴지를 줍고 계실 때, 한 젊은 스님이 커다란 걸망을 메고 올라왔다. 통도사 강원 학인으로, 알고 보니 통도사 강원에 문제가 발생해 싸움을 하고 반이 깨져 해인사로 방부들이러 오는 길이었다. 스님은 휴지를 줍던 손을 놓고 젊은 객스님에게 허리를 굽혀 인사를 하며, 어느 도량에서 오는지, 은사스님은 누군지, 예의 그 따뜻함으로 물었다. 젊은 객스님은 통도사의 ‘통’ 자에 힘을 주며 통도사에서 온다는 것과 은사스님의 이름을 자랑스럽게 대답했다. 스님께서 “통도사는 우리나라 제일의 도량이니 참 거룩한 도량에서 오셨습니다. 그리s고 그 은사스님은 참으로 거룩한 스님이지요” 하시자, 객스님은 “알아 보니 다행입니다” 하며, 이름을 모르는 노스님에게 무례하게 굴었다.
나중에 그 젊은 객스님으로부터 들은 이야기이지만, 지월스님께서는 객스님이 사양하는 걸망을 끝내 받아 지고 친히 안내하여 화장실까지 자세하게 안내해 주셨다고 한다. 그리고는 “장래 한국불교 운명이 보살의 두 어깨에 달려 있으니 중노릇 잘할 것을 특별히 부탁한다”는 말씀과 “사나이 대장부가 출가를 했으니 이제는 어금니 물고 모든 것을 참으며 오직 부처되는 길만을 생각하라”는 당부를 잊지 않으셨다는 것이다. 스님의 이러한 자상한 당부는 저녁 예불을 마친 뒤 삼경종(三更鐘) 칠 시간까지 계속되었다. 노스님께서 젊은 스님의 손을 잡은 채, 하신 말씀을 거듭하니 젊은 스님은 이제 노스님께서 빨리 돌아가 주었으면 싶었다. “이젠 그만 쉬십시오. 내일 새벽 예불마치고 또 오겠습니다”라는 스님의 말씀에 젊은 스님은 화들짝 놀라며 소리치다시피 “또 오시겠다구요? 도대체 노스님은 불명을 뭐라고 하십니까?” “어이구, 죄송합니다. 소승이 실수를 했군요. 소승은 지월이라고 합니다”라는 말씀에 젊은 스님은 놀라 넘어질 뻔했다. 지월스님이 해인사 주지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아직 얼굴을 뵙지는 못했던 터였다. 주지스님이 이렇게 키가 작고, 기워신은 검정 고무신에다 누덕누덕 기운 가사를 입고 계시리라고는 생각지 못했다. 젊은 스님이 자신의 무례함에 용서를 구하자 스님께서는 도리어 “아닙니다. 제가 잘못했습니다. 진즉 말씀을 드려야 했는데 그렇지 못해 죄송합니다”라며 깊숙이 머리숙여 사과하셨다는 것이다.
그렇게 오만하고 혈기에 차있던 젊은 스님은 그날 단 하루만에 자신의 오만을 꺾고 하심하게 되었다. 자신에게 잘못이 없다고 하더라도 노스님처럼 먼저 사과하지 못하고 통도사에서 다투고 나온 자신이 부끄러웠고, 모든 것을 자신의 잘못이라고 생각한 순간 마음이 평온해지기 시작했다고 한다.(계속) ■구미 영명사 주지
2002-06-05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