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사보기
[정운스님의 스님이야기] 지우스님
참선·교학공부 모두 열심
“많은 병고 인욕으로 승화”

부처님의 설법을 수기설법(隨機說法), 대기설법(對機說法)이라고 한다. 부처님께서는 각 중생들의 근기에 맞추어 가르침을 설하셨고 중생들의 뭇 아픔을 어루만져 주셨다. 교학에서 이런 근기에 대한 용어가 일반적으로 쓰이다 보니 언제부터인가 스님들에게도 이 용어를 적용시키고 있다. 중생들 삶의 방식이 다양하듯, 스님들 수행 방식에도 여러 갈래 길이 있다. 옛부터 불가에는 상근기가 선방에서 수행정진하고, 중근기가 경전공부 통해 강의를 하며, 하근기는 가람 수호하는 역할을 한다는 말이 있다.
내가 보기에 말 그대로 상근기 중 상근기가 바로 지우스님인것 같다. 한마디로 지우 스님은 참 열심히 산다. 선방수좌로 화두를 챙기는 일은 물론, 학문에도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절을 수호하는 데에도 단단히 한 몫 하고 있다. 스님은 운문강원에서는 선배로, 대학원에서는 후배로 인연이 맺어졌다. 스님은 강원을 졸업한 뒤 7~8년간을 선방수좌로 오로지 화두챙기는 일에만 전념하다가 교학에 대한 갈증과 참선하는 데 대한 정립이 필요했다고 한다. 이런 목마른 갈증을 해소코자 중앙승가대학에서 공부를 마치고 졸업 후 동국대 대학원에 들어갔다. 스님은 주위에서 ‘선객으로 남아 있지 무슨 세속공부냐’고 염려스런 충고도 들었다고 한다.
스님은 이에 대한 답변처럼 내게 자주 “대학 공부를 한 것에 후회는 없다. 학업의 길에 들어 본인이 책임지고 학비를 마련해야 하고 서울이라는 곳에서 의식주 짐까지 떠맡다보니 수행이 아니라 삶의 고달픔도 함께 배웠으며, 중생들의 삶이 얼마나 힘든가를 알게되어 도리어 수행이나 포교에 도움이 되었다”고 토로하였다. 교(敎)를 하다 참선수행에 몰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를 사교입선(捨敎入禪)이라고 한다. 부처님의 마음을 선(禪)이라 하고 말씀을 교(敎)라 한다면, 수행자는 선교일여(禪敎一如)한 수행을 구심점으로 삼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열반경> 성행품에 ‘흑암녀·공덕천 이야기’가 나온다. 좋은 일이 있으면 그에 수반한 좋지 않은 일이 꼭 생긴다는 것이다. 한평생 승려로서 열심히 정진하겠다는 구도자의 투철한 일념의 바퀴에도 가끔 펑크가 난다. 병고이다.
자비문중을 표방하지만 불가에서 병든 스님들을 적극적으로 돌보거나 보살피는 곳은 아직 어디에도 없다. 어찌 보면 참으로 이율배반적이다. 그럼에도 근 2500년이 넘는 세월동안 청정승단으로 존재해 왔다는 것은 역대 스님들의 수행에서 나온 힘이 아닌가 싶다. 주위의 병든 스님네들에게서 한결같이 “옛 조사스님들이 수행자는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고 병고를 수행의 방편으로 삼으라는 말씀을 치유하는 약으로 삼고 수행 방편으로 간주한다”고 하는 말을 자주 듣는다. 나도 불문에 들어선 지 20년이 넘었지만 육신의 병고를 겪는 스님들을 보면 가슴 한구석이 아려온다. 지우스님은 바로 수많은 병고를 겪어온 스님이다.
급성폐렴, 갑상선, 자궁수술, 발목부상 등 참으로 가지가지로 아픔을 끌어안고 있었다. 아무리 수행자지만, 회의감이 없을 리 만무하다. 그런데도 참 꿋꿋하다. 몇 년전 대수술을 받은 두어달 뒤, 대학원 수업에 임했으니 말이다. 스님은 병고를 치르면서 힘이 부칠 때는 “이것이 업장소멸하는 길이며 육신의 고(苦)를 인욕으로 승화시켜야 한다. 병마라는 손님을 맞아들이는 것도 인생의 순리이거니, 수행자는 아픔이 클수록 깨달음의 깊이도 깊을 것이다”며 스스로에게 다짐했다고 한다. 아픔을 통해 성숙된 수행자로 거듭나게 되는 것은 맞는 말이다. 병고를 치른 지우스님은 처음 보았을 때보다도 무척이나 편안해 보였다.
선방에서든 학교에서든 포교를 하든간에 어느 위치에서건 최선을 다하는 것, 그저 묵묵히 무소의 뿔처럼 열반의 언덕을 향해 열심히 정진하는 수행자가 상근기지, 참선만이 상근기요, 포교가 하근기라는 말 자체가 어불성설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진정한 상근기는 자신이 상근기라는 것조차 염두에 두지 않고 열심히 수행하는 수행자일 것이다.
지우스님은 매사에 열심이다보니 노래실력도 대단하다. 원래 스님은 음치도 보통 음치가 아니었다. 헤비급 수준의 음치인데도 본인은 상당히 노래를 잘한다고 여긴다. 대학원에서 학기마다 답사를 가면 꾀꼬리같은 목소리라고 자부하면서 박자도 맞지 않는 노래를 끊임없이 흥얼댄다. 그 힘이 어디서 나오는지 대단하다.
스님은 현재 여름방학을 이용하여 내원사에서 하안거 한철 공양주소임을 자청하였다. 결제에 들어가기 전 이런 말을 했다. “스님들도 부지런히 복을 쌓아야 해요. 복은 쌓지 않고 지혜만 추구하면 매사에 장애가 옵니다. 이번 철, 한소식 할 만큼 열심히 정진하고 싶어요.”
■서울 니련선하원 한주
2002-07-03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