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68. 10.23 (음)
> 종합 > 기사보기
[정운스님의 스님이야기]법인스님
‘삶 자체가 수행’ 수범으로 깨닫게

아랫사람에게 항시 존댓말·배려

법인스님의 은사스님이 돌아가셨다는 연락을 받았을 때, 평소에 스님께서 젊은 수좌들에게 베풀었던 마음씀씀이를 떠올리며 절에 갔다. 마침 결제철에다, 설날도 얼마 남지 않은 때라 내심 걱정했는데 많은 스님들이 와 있었다. ‘스님께서 누구에게나 보여주셨던 정성스러움과 평소 당신 상좌가 아니더라도 젊은 수좌들에게 베풀었던 마음 씀씀이에 보답한다’는 보은의 마음으로 온 스님들이 많았던 것이다.
평소 스님은 말씀 하나를 하시더라도 아랫사람에 대한 배려를 담아 하신다. 도반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법인스님이 먼저 받으시는 경우가 있다. 그럴때면 항상 반갑게 먼저 인사하신다. 또 절대 반말을 하지 않는다. “몸은 어때요? 공부는 잘되지요?”하며 일상적인 안부를 물으시고 전화를 바꿔준다. 권위만을 내세우는 어른이 얼마나 많은가. 그렇지만 스님께서는 언제 어느때나 먼저 아랫사람을 걱정하고 챙겨주신다. 서열이 엄격한 수직사회의 대표격으로 군대를 들지만 불가(佛家)도 엄격한 수직사회다. 자비와 평등을 내세우는 불가지만 평등 사회가 되지 못하다는 점은 한번쯤 재고해 보아야 한다. 승가내서만이 아니라, 일부 스님들이 신도들을 대하는 태도에서도 고압적인 면이 있는 것을 가끔 볼 때가 있다.
내 도반중 강단에서 강의를 하는 스님이 있다. 법인스님은 그 강사스님이 제자뻘 되지만 절을 올리면 꼭 맞절을 하신다. 부처님 법을 전하는 강사이니 당신보다 아래라도 ‘어른’이라는 것이다. 언젠가 강원 도반들이 스님 절에 모인 적이 있다. 그 스님이 잠깐 자리를 뜬 사이, 우리들에게 “아무리 도반이라도 저 스님을 강사로서 어른 대접해야지 함부로 하면 되느냐”고 훈계를 하셨다.
일전에 감명깊게 본 영화 중에 ‘원 트루 씽(One True Thing)’이 있다. 줄거리는 ‘도시 생활하던 딸이 암투병중인 어머니를 돌보러 고향에 돌아온다. 기자로서 얻은 명예까지 내던지고 어머니를 돌보지만, 자신이 손해보는 것 같아 매사에 불만이 가득했고 어머니의 평범한 삶을 하찮은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어머니와 단둘만의 시간을 가지면서 차츰 예전에 느끼지 못했던 어머니의 소중한 가치들을 발견해가고, 사소한 것에도 인생의 깊이가 담겨 있음을 깨닫는다’는 것이다. 이 영화처럼 중생들과 더불어 살아가되 그 안에서 인간의 따스한 정을 내포하는 자체가 수행이요, 소욕지족으로 일관된 수행을 지향하는 것 또한 선(禪)이 아닐까(?) 억지부려 본다.
법인스님은 삶 자체가 수행이 되야 한다는, 평범한 지혜를 후학들이 스스로 느끼게 해주시는 분이다. ‘일상생활이 곧 진리’임을 주장한 분이 중국 당나라 때 마조선사다. 이후 중국·한국의 선수행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선사상이 ‘일상의 마음’이다. 물론 깨닫고 난 뒤의 마음과 깨닫기 전의 마음은 다르다고 하겠지만, 그 본바탕은 같은 차원이다. 법인스님께서는 넉넉치는 않지만 자신의 형편대로 베푸시는 인간적 정이 일상인 분이다. 이것이야말로 근원적인 마음바탕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스님들은 자기에게 맞지않는 승복은 서로 주고 받기도 하고, 젊은 스님들은 어른 스님들로부터 승복을 물려입기도 한다. 언젠가 가을에 도반 절에 가서 스님과 합석한 자리에서 차를 마시면서 “밖에 자주 나가다 보니 춘추옷 여벌이 없어 불편하다”고 하자, 스님께서는 당신이 입지 않는 옷이라고 하면서 한 벌을 주셨다. 스님께서는 “공부하는 학인에게 옷 한 벌 제대로 해주지 못해 미안하다”며 도리어 사과까지 하셨다. 필요한 물품이나 음식 등 누구에게나 챙겨주시는 것을 잊지 않으시는 분이 법인스님이다.
절 집에는 법회, 불공등 큰 행사를 치르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일이 많다. 큰 일을 치를 때, 어른 스님들은 분주하기는 한데 일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으면 힘겨운 기색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스님께서는 무슨 행사를 하더라도 역정 내거나 힘겨워 하지 않는다. 아랫 사람들과 하나가 되어 농담도 들어주고 부드럽게 응해 주시니 모든 일이 원만하게 이루어지기 마련이다. 평소에도 모시고 차를 마실때면 어른 스님들의 수행이야기와 함께 ‘세월이 덧없고 빨리 흘러가니 젊어서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는 충고를 곁들여 해주신다.
<법화경> 서품에 ‘초선 중선 후선 (初善 中善 後善)’ 이라는 말이 있다. 즉 처음도, 중간도, 후에도 여일(如一)함을 말한다. 그러나 고단하고 갈등이 많은 인간관계에서 처음처럼 여일하기란 쉽지 않다. 법인스님을 처음 뵈었을 때나 근 15년이 훌쩍 넘은 지금도, 스님은 사람을 대하는 자세가 여전하시다. 요즘 불가에서조차 내 문중, 내 상좌만 챙기는 시대에 스님은 설령 당신의 제자가 아닐지라도 그런 차별없이 당신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성의를 베풀고 따뜻한 어머니와 같은 마음으로 젊은 수좌들을 거두고 있다.
■서울 니련선하원 한주
2002-08-14
 
 
   
   
2024. 11.2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원통스님관세음보살보문품16하
 
   
 
오감으로 체험하는 꽃 작품전